본 연구는 서구 중심 종교성(기독교)의 무비판적 수용으로 인해 자기 기만적이고 타자를 향해 폭력을 일삼는 종교성을 지닌 한국의 종교성을 탈식민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이로부터의 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04586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2016.2
2016
한국어
혼종성 ; 양가성 ; 제3의 공간 ; 호미바바 ; 배타성 ; 폭력성 ; 동일화 ; 해방 ; 희망 ; 저항 ; 대화 ; 인정 ; 책임 ; 탈신화화 ; hybridity ; ambivalence ; the third space ; Homi Bhabha ; exclusion ; violence ; identification ; liberation ; hope ; resistance ; communication ; recognition ; responsibility ; demythification
서울
A study on religiosity restructuring through hybridity of Homi Bhabha
v, 120 p. ; 26 cm
지도교수: 방연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구 중심 종교성(기독교)의 무비판적 수용으로 인해 자기 기만적이고 타자를 향해 폭력을 일삼는 종교성을 지닌 한국의 종교성을 탈식민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이로부터의 해...
본 연구는 서구 중심 종교성(기독교)의 무비판적 수용으로 인해 자기 기만적이고 타자를 향해 폭력을 일삼는 종교성을 지닌 한국의 종교성을 탈식민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이로부터의 해방을 위하여 호미바바(Homi K. Bhabha)의 혼종성(hybridity)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종교적 인식론의 틀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동기는 “‘신에 대한 사랑과 이웃 사랑’을 강조하는 종교가 왜 배타적이고 폭력적인 태도를 취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보다 근본적인 질문은 “어떠한 인식을 통해 신의 이름으로 배타와 폭력이 자행되는가?”이다. 이 질문에 대해 필자는 호미바바의 혼종성에서 해답과 대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종교의 배타성과 폭력성의 문제와 그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서구 종교의 물상화 과정과 주체성의 문제를 논의했다. 그 결과 한국의 종교성이 서구 종교성에 의해 식민화 현상에 놓여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식민화 상태에 놓인 종교성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호미바바의 혼종성 논의와의 접목을 시도했다.
배타성과 폭력성의 문제의 원인이 되는 인식의 근저에는 본질주의, 순수주의, 절대주의라는 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이는 종교를 가진 주체로 하여금 배타와 폭력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도록 만드는 요인이다. 그러나 호미바바의 혼종성은 배타성과 폭력성의 정당성이 더 이상 성립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바바의 혼종성에 의하면 본질주의, 순수주의, 절대주의의 토대가 양가적이고 혼종적인 주체의 ‘환상과 상상’을 통한 이항대립의 접합으로 탄생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종교의 핵심이자 터부시 되어온 ‘본질’이라는 장소를 해체시킨 결과 인식의 틀은 완전히 초토화 되었다. 그렇기에 대안적 인식의 틀이 필요한데, 이를 제3의 공간으로 찾아볼 수 있다. 제3의 공간은 혼종이 위치하는 장소로써 시공간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교섭과 전이가 이뤄지는 곳이다. 이 공간에서는 기존의 배타성과 폭력성을 가능케 했던 이분법적 사고가 불가능하다. 이 공간은 탈(脫)중심화, 연결성, 관계성, 개방성, 보편성, 혼종성, 양가성이 혼재하는 위치이기에 ‘보편’을 향하는 장소가 된다. 이 장소에서 종교적 인식이 이뤄질 때에 비로소 종교는 해방으로, 나아가 희망으로 자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igiosity of Korea with a violent religiosity toward the others and self-deception due to uncritical acceptance of Western central religious (Christian) through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to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igiosity of Korea with a violent religiosity toward the others and self-deception due to uncritical acceptance of Western central religious (Christian) through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to present a framework for a new religious epistemology and looking at Homi Bhabha‘s the concept of hybridity to the liberation from it. Motivation of this study began in this question: "the Religion that emphasizes love your neighbor and love God, Why does it take exclusive and violent behavior?" The more fundamental question is "what cognition does exclusion and violence perpetrate in the name of God?". For this question, I find the answers and alternatives from the hybridity of Homi Bhabha.
To analyze the issues and the process of exclusivity and violence of Korean religion, this study discussed the issue of subjectivity and reification process of Western religion. As a result, the religiosity of Korea lies in the colonization phenomenon by the Western religiosity was found. And I have tried to combine with Homi Bhabha's hybridity discuss for liberation from the religiosity in the colonization status.
Underlying the recognition that is causing the problem of exclusion and violence, there are consciousness of essentialism and purism, absolutism, those are factors that make the subject with religion can never be free from exclusion and violence. However hybridity of Homi Bhabha argues that the justification of exclusivity and violence can not be valid any more. According to the Homi Bhabha's hybridity, because essentialism and purism, absolutism, those are born from a result of joining the binary opposition through 'fantasy and imagination' by the hybrid ambivalence of the subject.
As a result the core of religion and taboo-ed 'essence' of religion which have been dismantled, recognition frame has been completely devastated. So it needs a frame of the alternative recognition, it can be seen in this third space. The third space is constantly negotiating and transition goes where in the flow of time and space as a place for hybrid location. Dichotomous thinking that enables the existing exclusion and violence is impossible in this space. This space is decentralized, connectivity and relationships, openness, universality, hybridity, ambivalence is a mixed position, so it becomes the place towards the 'universal'. when religious recognition achieved in this place, Finally religion will finally be able to go to the desired place and to libe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