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性相近 習相遠’을 통해 본 禮樂思想 = Understanding the Thoughts on Propriety and Music(禮樂) i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similar to each other but habit makes the differences(性相近 習相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94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s have both a moral and natural character. Mencius regarded only mo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and Xun zi regarded only natu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Realistically, humans have both moral character and natural character. Mencius however, ...

      Humans have both a moral and natural character. Mencius regarded only mo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and Xun zi regarded only natu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Realistically, humans have both moral character and natural character. Mencius however, mentioned the different side of human nature that only humans have moral character, not animals, and Xun zi saw the disputable nature in natural character such as people’s greed and selfishness which became known from experience.
      In human nature, there exists both moral and natural character, so it is natural to consider moral and natural character together as human nature. Confucius’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similar to each other but habit makes the differences(性相近 習相遠)' is a theory including both moral and natural character as human nature. That nature is similar means that among people there are not big differences. This do not mean they are all the same. The words mean that people’s moral characters are the sam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disposition due to the natural character. There also exist differences but without any large gaps because humans have the same moral character. For this reason, humans innately have a similar nature, but as they grow and become good or evil they develop many differences according to environment and education. We should therefore restore good nature through education. We should educate the intellectual part, moral part, and physical part all together, and one way to educate is by using the ‘Six Manners’. Among the themes, we should establish morality through ‘Propriety and Music’ because individual morality affects home, society, nation, world and the universe. This is the reason why the principles of the ‘Six Chinese Classics’ conclude in one way that ‘it is urgent to use propriety and music’. We should reconstruct the education of propriety and music in the modern period and educate children in their youth before they have acquired bad habi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에게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이 있다. 孟子는 도덕적 본성을 인간만의 본성이라고 보았고 荀子는 자연적 본성만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다. 인간에게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

      인간에게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이 있다. 孟子는 도덕적 본성을 인간만의 본성이라고 보았고 荀子는 자연적 본성만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다. 인간에게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이 다 있다. 다만 孟子는 인간과 동물과는 다른,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도덕적인 면을 보고 본성을 말한 것이고, 荀子는 경험적으로 드러난 인간의 욕심과 이기심으로 다투기 쉬운 자연적인 본성만을 본성으로 본 것이다.
      인간의 본성에는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이 다 있으므로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을 함께 봐야 인간의 본성을 총체적으로 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孔子의 ‘性相近 習相遠’론은 인간의 도덕적 본성과 자연적 본성을 함께 보고 논한 것이다 . 性이 서로 가깝다고 한 것은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같은 것은 아니다. 인간의 도덕적 본성은 같으나 氣質에 따른 자연적 본성 때문에 차이가 있다. 차이가 있긴 하나 큰 차이가 없는 것은, 도덕적 본성이 같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태어날 때는 본성이 서로 비슷하나 자라면서 환경이나 교육에 의해서 본성이 善해지기도 하고 惡해지기도 하여 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하여 본래 善한 본성을 회복시켜야 한다. 이 때 智⋅德⋅體를 함께 교육시켜야 하니 六藝가 그것이다. 그 중에서도 禮樂을 통하여 도덕성을 확립시켜야 한다. 개인 하나하나의 도덕성의 확립이 가정⋅사회⋅국가⋅세계⋅만물에까지 미치기 때문이다. “六經의 道가 한 가지로 귀결되니 禮樂을 쓰는 것이 급하다”라고 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그러므로 禮樂敎育을 오늘날에 맞게 재구성하여 習性이 쌓이기 전인 어릴 때부터 시켜야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呂氏春秋"

      3 劉寶楠, "論語正義" 中華書局 2007

      4 "論語"

      5 류영훈, "피타고라스를 말하다" 퉁크 2005

      6 김충렬, "중국철학산고2" 온누리 1994

      7 이택후, "중국미학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8 성대유학과, "유학사상" 성대출판부 1999

      9 채인후, "맹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10 한국동양철학회,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연세대출판부 2003

      1 "禮記"

      2 "呂氏春秋"

      3 劉寶楠, "論語正義" 中華書局 2007

      4 "論語"

      5 류영훈, "피타고라스를 말하다" 퉁크 2005

      6 김충렬, "중국철학산고2" 온누리 1994

      7 이택후, "중국미학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8 성대유학과, "유학사상" 성대출판부 1999

      9 채인후, "맹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10 한국동양철학회,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연세대출판부 2003

      11 채인후, "공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12 클라우디아 해먼드, "감정의 롤러코스터" 사이언스북스 2007

      13 박상화, "韓國의 詠歌" 共和出版社 1976

      14 "詩經"

      15 "朱子語類"

      16 "朱子大全"

      17 "書經"

      18 "春秋左傳"

      19 "小學"

      20 "孟子"

      21 "大學"

      22 "周易"

      23 鮮于美貞, "先秦儒家의 禮樂思想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2008

      24 박범수, "先 儒家의 音樂蘂術論 -?於藝의 예술정신" 한국미학회 (32) : 5-38, 2002

      25 李相殷, "儒家의 禮樂思想에 관한 硏究,-藝術論的 理解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1991

      26 "中庸"

      27 유일환, "<論語> 「性相近」章 新解" 유학연구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철학연구(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 동양철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39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