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788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규장각 소장 〈도성도〉의 산세 표현을 살펴보고, 조선 후기 유행한 진경산수화풍이 〈도성도〉의 산세 표현에 미친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788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규장각 소장 〈도성도〉의 산세 표현을 살펴보고, 조선 후기 유행한 진경산수화풍이 〈도성도〉의 산세 표현에 미친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
이 글은 1788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규장각 소장 〈도성도〉의 산세 표현을 살펴보고, 조선 후기 유행한 진경산수화풍이 〈도성도〉의 산세 표현에 미친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도성도〉에서 도성 주변의 산세 표현은 한 폭의 산수화와 같이 회화성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의 지형은 동ㆍ서ㆍ남ㆍ북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도성도〉는 서울의 이러한 지형을 강조하기 위해 산을 부각시킨 도성지도이다. 산세 표현에 사용된 회화적 표현 기법은 당시 산수화에 나타난 실경산수화 표현 방법과 공통점이 있으며 특히 18세기 후반 겸재 정선(鄭敾, 1676~1759) 이후 유행한 진경산수화풍과 관련이 깊다. 조선 후기 산수화에 일대 변화를 가져왔던 진경산수화풍이 회화적 표현의 지도 제작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린다는 형식을 빌리는 지도 제작 역시 회화와 다르지 않고 지도를 그리는 제작자들은 그들에게 익숙한 당대의 화풍으로 지도를 제작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도적 특성상 〈도성도〉에 보이는 진경산수화풍은 산수화에 쓰이는 필치보다는 압축되고 경직되어있다. 그럼에도 1788년의 규장각 소장 〈도성도〉는 입체적이고 회화적인 산세 표현으로 왕조의 상징으로서 도성의 권위를 잘 드러낸다. 이를 통해 〈도성도〉는 지도를 제작한 사람과 제작을 주관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세계관과 사회적 요구 속에서 탄생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한국의 옛지도" 예맥 2008
2 이상태,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1999
3 이태호, "진경산수화" 국립광주박물관 1987
4 이태호,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학고재 1996
5 박정혜,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5
6 국립춘천박물관, "우리 땅, 우리의 진경" 국립춘천박물관 2002
7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생각의 나무 2010
8 양보경, "예술과 과학의 만남, 한국의 옛 지도" 지도와 지도그리기 2004
9 이상태, "서울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06
10 이찬, "서울의 옛지도"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1 문화재청, "한국의 옛지도" 예맥 2008
2 이상태,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1999
3 이태호, "진경산수화" 국립광주박물관 1987
4 이태호,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학고재 1996
5 박정혜,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5
6 국립춘천박물관, "우리 땅, 우리의 진경" 국립춘천박물관 2002
7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생각의 나무 2010
8 양보경, "예술과 과학의 만남, 한국의 옛 지도" 지도와 지도그리기 2004
9 이상태, "서울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06
10 이찬, "서울의 옛지도"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11 양보경, "서울의 공간확대와 시민의 삶" 서울학연구소 1994
12 양보경, "서울의 공간확대와 시민의 삶" 1 (1): 1994
13 서울역사박물관, "서울 지도"
14 현진상, "산경표" 풀빛 2000
15 "북한지"
16 양보경, "韓國의옛地圖" 영남대학교박물관 1998
17 이태호, "韓國의옛地圖" 영남대학교박물관 1998
18 이찬, "韓國의 古地圖" 범우사 1991
19 "朝鮮王朝實錄"
서양 고지도를 통해 본 울릉도와 독도 - 파인드코리아 웹사이트상의 고지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자료 연구 - 藏書閣소장 자료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