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벌과 불행: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 Credentialism and Unhappiness: The Degree of Subjective Happiness of the Korean Adolesc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20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는 학력 사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사회다. 한국사회에서 학력(學歷)은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누군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즉, ...

      한국사회는 학력 사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사회다. 한국사회에서 학력(學歷)은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누군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즉, 서로에게 사회적 압력을 강요하는 중요한 도구인 것이다. 사람들이 어떤 누군가를 만날 때 가장 먼저 질문하는 것이 그 사람이 학생인 경우 공부를 잘 하는가에서 만일 직장인이라면 어느 대학교를 졸업했나를 질문하곤 한다. 최근에는 외고를 졸업 했는가 혹은 아닌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럴 경우 우리는 한국사회를 학력주의(學歷主義)에 근거한 학벌사회(學閥社會)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사회 구조 속에서 언제나 자신의 사회 이동을 추구하도록 강요받는 개인들은 최대한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는 지점을 찾아가도록 한다. 가장 최대한으로 자신의 집단을 올리기 위한 수단은 학력 취득이다. 이런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부모는 자신들의 부를 재생산하기 위해서,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자신들의 아이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자녀들에게 학력을 취득하고 좀 더 명문대, 명문대를 위한 명문고, 명문고를 위한 명문 중학교를 찾아다니도록 강요한다. 소위 외고열풍은 한국사회의 이런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는 부르디외의 부모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진다는 것이 한국의 연구들에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부모의 학력이 높아질수록 자녀들의 하력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방정환 재단에서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구축과 국제 비교연구조사를 2009년, 2010년 연속적으로 실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국가들의 청소년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비록 객관적 환경 측면에서 물질적 행복, 보건과 안전, 교육 및 가족과 친구 관계, 및 건강관련 행위 등의 항목에서도 중간 이상의 행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행복지수에 있어서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학생들보다 보다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원인을 학업 및 학교의 교육 환경에서 찾고자 한다. 한국 사회가 학벌 획득을 강요하는 사회 구조이고 이런 구조 속에서 학생 개개인들은 하력의 신장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공부에 내몰리게 된다. 이때, 학생들의 부모들은 이런 것들이 자녀들의 미래 행복의 조건이라고 믿기 때문에 이런 구조 속에서 자신들의 자녀들이 스스로를 잃어버리고 소위 말하는 소외된 공부를 하도록 용인하거나 강요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society is so-called a society of credentialism. Degree is a great and important criterion with which people are going to judge or evaluate others. Therefore, most of Koreans are pursuing the degree of some prestigious universities. This so...

      The Korean society is so-called a society of credentialism. Degree is a great and important criterion with which people are going to judge or evaluate others. Therefore, most of Koreans are pursuing the degree of some prestigious universities. This social phenomenon has been built by the tradition that Koreans have tried to succeed in their society. This tradition is connected to the modern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has its strong impact on individuals` future of Koreans. Therefore, achieving educational degree at prestigious universities has become a means of success, which make the Korean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get those prestigious degrees. Under this social structure, elem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experiencing social pressures to compete with one anoth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success getting admission from only a few prestigious university. So everyday, they are studying at their schools, private tutor institutes and their homes. The subjective Indices of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students are relatively lower than ones of other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even though their objective conditions for their well-being are not low or even higher than ones of OECD children and students, This research aims at explaining the reasons of relatively low self-reliance and well-being with social structure which makes the Korean actor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achieve credentials. This strong social structure makes children and students feel unhappy and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