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조와 가사의 향유방식과 그 관련양상 = The enjoyment of way on Si-jo and Ga-sa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53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조와 가사는 한국의 시가문학을 대표하는 갈래이다. 우리의 시가문학에서 시조는 3장 6구 12음보의 형식을 갖추고, 한 수의 노랫말은 45자 내외의 길이를 지닌 정형시를 의미한다. 조선후기...

      시조와 가사는 한국의 시가문학을 대표하는 갈래이다. 우리의 시가문학에서 시조는 3장 6구 12음보의 형식을 갖추고, 한 수의 노랫말은 45자 내외의 길이를 지닌 정형시를 의미한다. 조선후기의 사설시조는 시조의 변화를 수용하여 대체로 3장의 기준만을 채택하고 그 내용과 형식을 확대하여 표현하고 있다. 한편 가사의 정의는 1행 4음보의 율격을 바탕으로 100행 내외로 연속하는 장시라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의 가사는 내용적으로 다양한 소재를 이야기로 연결하여 행수가 훨씬 많아지는 경향을 수용하여 대상과 사물의 총체성을 읊어내고 있는 장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는 정형시와 장시로 고전시가의 두 산맥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갈래라고 할 수 있다.
      조선전기에는 두 갈래의 노래가 서정을 기조로 하여 시조는 정형시의 양식을 계승했고, 가사는 장시라는 장르의 양식을 차지하여 시가문학을 융성하게 했다. 16세기 후반부터 두 갈래의 문학을 표현하는 방식의 변화와 함께 향유하는 계층이 늘어나면서 점차 이질성을 많이 드러내게 되었다. 시조는 시조창의 변화로 사설시조가 등장하며, 가사는 현실의 체험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이야기를 수용하여 길이가 길어지는 변화를 수용하여 규방가사와 서사가사가 성행했다. 그러나 단형의 정형시인 시조와 장시인 가사는 1행 4음보를 기준으로 창작되는 동질성을 조선후기까지 공유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시조와 가사에 나타난 향유방식과 그 상관성을 정형성과 비정형성, 은유의 수사학과 환유의 수사학, 가창의 문학과 음영하는 문학 등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에 나타난 향유방식을 살펴보는 작업은 오늘날 21세기 문화의 향유자들이 추구하는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글쓰기를 아우르며 화합과 소통의 새로운 세계를 항해하는 문화의 나침판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compare to the enjoyment of way on Si-jo and Ga-sa in Lyric poetry. Si-jo and Ga-sa were created in Joseon Dynasty. Si-jo and Ga-sa is the Lyric poetry in traditional genre, representing Korea. These forms include the lyric genre but hav...

      This paper is compare to the enjoyment of way on Si-jo and Ga-sa in Lyric poetry. Si-jo and Ga-sa were created in Joseon Dynasty. Si-jo and Ga-sa is the Lyric poetry in traditional genre, representing Korea. These forms include the lyric genre but have a difference between the fixed verse and the long-poem in Joseon Dynasty.
      However, the two genres are the two genres had opene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from the very beginning in terms of gentry layer is the main writers. Joseon Dynasty those who enjoy the fixed verse and the long-poem, the literature of singing songs and reciting literature,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metaphor and metonymy rhetoric will reflect the era of awareness and enjoyment of contemporary perception of reality characters.
      It can be said that performing Si-jo and Ga-sa of enjoyment fashion and work to compare with realistic about the versification principles but check ahead a lot of data, and add to the task of finding a logic that can explain clearly remain. This paper will have to complement the many points made in an attempt to unravel the complex issues in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on-pronged approach and enjoyment of the fixed verse and long-poem
      Si-jo and Ga-sa and similar expressions are writing and testing the various parties of the enjoyment of culture in today’s era of change in the 21st century can be the compass to navigate a new world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글
      • 2. 시조의 정형성과 가사의 비정형성
      • 3. 시조의 은유성과 가사의 환유성
      • 4. 시조의 가창성과 가사의 음영성
      • 〈국문초록〉
      • 1. 머리글
      • 2. 시조의 정형성과 가사의 비정형성
      • 3. 시조의 은유성과 가사의 환유성
      • 4. 시조의 가창성과 가사의 음영성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성현, "후기가사의 이행과정" 27 : 1991

      2 조윤제, "한국시가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8

      3 남송우, "한국서술시의 시학" 태학사 1998

      4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3

      5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아세아문화사 2005

      6 마이클 라이언,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 갈무리 197-, 1996

      7 김사엽, "이조시대의 가요연구" 대양출판사 1956

      8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9 윤영옥, "시조의 이해"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6

      10 안자산, "시조시학" 교문사 1947

      1 윤성현, "후기가사의 이행과정" 27 : 1991

      2 조윤제, "한국시가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8

      3 남송우, "한국서술시의 시학" 태학사 1998

      4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3

      5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아세아문화사 2005

      6 마이클 라이언,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 갈무리 197-, 1996

      7 김사엽, "이조시대의 가요연구" 대양출판사 1956

      8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9 윤영옥, "시조의 이해"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6

      10 안자산, "시조시학" 교문사 1947

      11 임종찬, "시조문학의 본질" 대방문화사 1986

      12 서원섭, "시조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77

      13 성기옥, "시가사와 예술사의 관련양상" 보고사 2000

      14 김대행, "시가․시학연구" 이화여자대학출판부 1991

      15 김문기, "서민가사연구" 형설출판사 1982

      16 신은경, "사설시조와 가사의 서술방식 대비" 4 : 1984

      17 로만 야콥슨,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1989

      18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19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71

      20 윌터 J,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55-60, 1995

      21 최동원, "고시조론" 삼영사 1980

      22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23 류해춘, "가사문학의 미학" 보고사 2009

      24 서원섭, "가사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79

      25 이능우, "가사문학론" 일지사 1977

      26 조규익, "가곡창사의 국문학적 본질" 집문당 1994

      27 李慧順, "歌詞 歌辭論" 서울대학교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