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호영, "국어 음성학", 서울: 태학사, 1996
2 이현복, "억양과 국어생활", 국어연구소, 국어생활, 10, 41-49, 1987
3 이호영, "한국어 억양체계", 한국어학회, 13, 129-151, 1991
4 이병도, "가장 쉬운 태국어 첫걸음", 서울: 동양문고, 2008
5 이현복, "“서울말의 리듬과 억양”",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어학연구, 10(2), 15-25, 1974
6 이현복, "한국어 발음의 이론과 실용", 한국학술정보,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2011
7 제갈명, "한국어 억양 교육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0
8 임홍빈, "국어 억양의 기본 성격과 특징",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3(1), 58-90, 1993
9 이호영, "한국어 문장 억양의 선택 과정", 한글학회, 한글학회, 255, 7-33, 1994
10 양순임, "한국어 발음교육의 내용과 방법", 태학사, 경기 파주: 태학사, 2014
1 이호영, "국어 음성학", 서울: 태학사, 1996
2 이현복, "억양과 국어생활", 국어연구소, 국어생활, 10, 41-49, 1987
3 이호영, "한국어 억양체계", 한국어학회, 13, 129-151, 1991
4 이병도, "가장 쉬운 태국어 첫걸음", 서울: 동양문고, 2008
5 이현복, "“서울말의 리듬과 억양”",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어학연구, 10(2), 15-25, 1974
6 이현복, "한국어 발음의 이론과 실용", 한국학술정보,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2011
7 제갈명, "한국어 억양 교육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0
8 임홍빈, "국어 억양의 기본 성격과 특징",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3(1), 58-90, 1993
9 이호영, "한국어 문장 억양의 선택 과정", 한글학회, 한글학회, 255, 7-33, 1994
10 양순임, "한국어 발음교육의 내용과 방법", 태학사, 경기 파주: 태학사, 2014
11 이현복, "“한국어 단음절어의 억양연구”",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1, 131-143, 1976
12 이숙향, "“한국어 문미억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84
13 박한상, "Praat을 이용한 음성 분석 1부: Editors", 한빛문화, 서울: 한빛문화, 2011
14 정명숙, "「일본인과 중국인의 한국어 억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4(1), 233-247, 2003
15 정명숙, "한국어 억양의 기본 유형과 교육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3(1), 225-241, 2002
16 박재희,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문미 억양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1
17 조은주, "태국인 학습자의 어두 파열음 산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3
18 이영근, "한국어 억양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87
19 이철재,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 현상 대조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20 김선철, "국어 의문문 억양의 음성학 음운론적연구", 서울대학교 언어연구회, 언어연구. 13, 1-51, 1996
21 김주연,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문문 억양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6
22 정명숙, "두 가지 의문문 억양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제17차 한 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3-42, 1998
23 김정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내용 선정 기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Korean 교육 국제 학술 토론회 자료집, 2006(2), 1-2, 2006
24 Kewalin, S., "태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05
25 송향근 ( Hyang Keun Song ), "핀란드 어 모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회, 이중 언어학, 25, 113-127, 2004
26 이정원, "불어와 한국어의 음성학적 비교 연구: 억양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언 어학, 16, 139-178, 1994
27 오재혁,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 양상",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한 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6, 35-61, 2014
28 홍혜련, "태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초급과정 중심으 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
29 Sattathamkul, L., "태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연구: 태국 수도 권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08
30 권성미,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나타나는 억양의 중간언어 연구", 한국어교육, 21(4), 1-23, 2010
31 Natthawut, L., "태국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장애음 발음의 실험 음성학적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2
32 Hee-Sun Kim, "한국어 억양 습득과 지도 방법 연구: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7(2), 69-94, 2006
33 오재혁, "국어 종결 억양의 문법적 기능과 음성 특징에 대한 지각 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1
34 박민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와 모국어 간섭현상의 연관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
35 장주연, "한국어 동형다의 종결어미의 억양 패턴에 대한 실험음성 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36 Boonma, S., "태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말하기와 듣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98
37 김보람, "한국어 자음 연쇄 발음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5
38 서보라,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실현 양상 연구: 중국인, 일본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4
39 분릿 코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발음 교육 연구: 한국어 발음지 각 및 산출 실험을 활용하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5
40 이진선, "한국어 의문문 억양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태국 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09
41 최현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강세 오류에 대한 실험 음성학 적 고찰을 통한 운율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9
42 최주희, "한국어 교육을 위한 화용론적 기능의 종결어미 억양 분 석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0
43 정효정,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장애음 청취와 조음 특성 연구: Kalvin과 Praat를 활용한 음성 실험을 바탕으로", 석사학위논문. 계 명대학교, 2012
44 박기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 특히 양태적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34, 373-397, 2009
45 이은선,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교육 방안 연구: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