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편의군집표집한 중국 북경 소재 3개 고등학교의 학생 1,20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근거하여 위험군 기준 점수인 42점 이상을 받은 11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 동기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가 가장 높은 응답율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은 메신저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폭넓은 인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과 상관이 있는 변인은 학교생활 부적응,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들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편의군집표집한 중국 북경 소재 3개 고등학교의 학생 1,20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편의군집표집한 중국 북경 소재 3개 고등학교의 학생 1,20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근거하여 위험군 기준 점수인 42점 이상을 받은 11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 동기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가 가장 높은 응답율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은 메신저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폭넓은 인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과 상관이 있는 변인은 학교생활 부적응,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들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One thousand two-hundre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ree high schoo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of 117 students whose smartphone addiction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correlations,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motivation for using a smartphone was to communicate with close people.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a smartphone was messengers. The most satisfactory aspect of a smartphone was to form a support network. Second, smartphone addi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life adaptation, while smartphon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Third,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had impact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tress,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onger hours of using a smart phone,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One thousand two-hundre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ree high schools resp...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One thousand two-hundre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ree high schoo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of 117 students whose smartphone addiction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correlations,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motivation for using a smartphone was to communicate with close people.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a smartphone was messengers. The most satisfactory aspect of a smartphone was to form a support network. Second, smartphone addi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life adaptation, while smartphon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Third,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had impact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tress,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onger hours of using a smart phone,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천,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청소년의 MMPI 특성" 대한가정학회 42 (42): 135-147, 2004

      2 김진영,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3 (3): 63-79, 2013

      3 홍지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정신건강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격 5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최진오,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67-291, 2013

      5 양심영,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 43 (43): 1-16, 2005

      6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08-217, 2013

      7 전두배, "진로탐색프로그램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6

      8 박정아,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9 현은자,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07-225, 2013

      10 오선화,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7 (17): 17-35, 2014

      1 박순천,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청소년의 MMPI 특성" 대한가정학회 42 (42): 135-147, 2004

      2 김진영,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3 (3): 63-79, 2013

      3 홍지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정신건강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격 5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최진오,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67-291, 2013

      5 양심영,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 43 (43): 1-16, 2005

      6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08-217, 2013

      7 전두배, "진로탐색프로그램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6

      8 박정아,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9 현은자,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07-225, 2013

      10 오선화,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7 (17): 17-35, 2014

      11 고경봉,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157 (157): 707-719, 2000

      12 최현석,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005-1015, 2012

      13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스마트폰 중독진단척도 개발연구" 2011

      14 김형지,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55-93, 2012

      15 이은정,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충동성과 부모양육태도의 차이" 한국생애학회 4 (4): 1-17, 2014

      16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폰 가입자 1,000만 돌파, 스마트시대 본격개막"

      17 박순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89-297, 2014

      18 류미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여가관련변수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2 (32): 63-79, 2014

      19 김남선,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7 (37): 72-83, 2012

      20 김병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67-98, 2013

      21 황경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5-375, 2012

      22 송은주, "고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실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5 (15): 325-333, 2006

      23 노석준, "고등학생의 환경 및 개인심리요인, 스마트폰 이용동기,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659-691, 2013

      24 赵振鹏, "高校大学生手机依赖及其对策" 16 (16): 112-115, 2012

      25 任玉梅, "职业学校学生网络成瘾原因及敢于对策" 41 (41): 181-183, 2013

      26 美国市场研究公司尼尔森, "移动消费者报告"

      27 孙远, "武汉市居民"手机依赖症"的调查研究" 32 (32): 129-146, 2012

      28 李志英, "新疆医科大学独立学院学生网络成瘾状况调查" 29 (29): 133-135, 2011

      29 "新华社"

      30 胡欣欣, "大学生手机依赖分析及应对" 3 (3): 87-89, 2012

      31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 "信息统计" 2014

      32 "人民日报"

      33 "中国互联网信息中心第31次互联网调报告"

      34 Yang, S. C., "‘Comparison of Internet addicts and non-addicts in Taiwanese high school’" 23 (23): 79-96, 2007

      35 안병도, "[정보통신의 날 특집] 급성장한 스마트폰, 사용자 불만도 급증"

      36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Worldwide mobile phone market forecast to grow 7.3% in 2013 driven by 1 billion smartphone shipments"

      37 Chiu, S. I.,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aiwanese university student : A mediation model of learning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34 (34): 49-57, 2014

      38 Lepp, A.,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cademic performance, anxiety,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college students" 31 (31): 343-350, 2014

      39 Lee, Y. K., "The dark side of smartphone usage : Psychological traits, compulsive behavior and technostress" 31 (31): 373-383, 2014

      40 Salehan, M., "Social networking on smartphones : When mobile phones become addictive" 29 (29): 2632-2639, 2013

      41 Mohammad, S., "Social networking on smart phone : When mobile phones become addictive" 29 (29): 2632-2639, 2013

      42 Khang, H, K., "Self-traits and motivations as antecedents of digital media flow and addiction : The Internet, mobile phones, and video games" 29 (29): 2416-2424, 2013

      43 Jenaro, C., "Problematic internet and cell-phone use.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health corrleates" 15 (15): 309-320, 2007

      44 Arwa, J., "Patterns of use of ‘smart phones’ among female medical students and self-reported effects" 7 (7): 45-49, 2012

      45 Walsh, S. P., "Over-connected?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ustralian youth and their mobile phones Original Research Article" 31 (31): 77-92, 2008

      46 박남수, "Nature of Youth Smartphone Addiction in Korea: Diverse Dimensions of Smartphone Use and Individual Traits" 언론정보연구소 51 (51): 100-132, 2014

      47 Thomee, S.,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a prospective cohort study"

      48 Toda, M., "Mobile phone dependence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f university students" 34 (34): 1277-1284, 2006

      49 Ruder, F., "Mobile intent index"

      50 Tan, C., "Loneliness and Mobile Phone" 103 (103): 606-611, 2013

      51 Lu, X., "Internet and mobile phone text-messaging dependency :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 with dysphoric mood among Japanese adults" 27 (27): 1702-1709, 2011

      52 Hall, A. S., "Internet addiction : College student case study using best practices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23 (23): 312-328, 2011

      53 Oulasvirta, A., "Habits make smartphone use more pervasive" 16 (16): 105-114, 2012

      54 Çağan, O., "Evalu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Level of Addiction to Cellular Phone and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ship between the Addic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114 (114): 831-839, 2014

      55 Harwood, J., "Constantly connected–The effects of smart-devices on mental health" 34 (34): 267-272, 2014

      56 Lanaj, K., "Beginning the workday yet already depleted? Consequences of late-night smartphone use and sleep" 124 (124): 11-23, 2014

      57 Öztunç, M., "Analysis of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Feelings of Shyness and Loneliness in Accordance with Several Variables" 106 (106): 456-466, 2013

      58 Takao, M., "Addictive personality and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12 (12): 501-507, 2009

      59 Pourrazavi, S., "A socio-cognitive inquiry of excessive mobile phone use" 8 (8): 1-6, 2014

      60 Park, J. K., "A new algorithm of hinge mechanism design for a folder-type mobile phone" 50 (50): 121-133, 2012

      61 Hong, F., "A model of the relationship of mobile phones by Taiwanese university female students" 28 (28): 2152-2159, 2012

      62 Lim, J., "A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short-term sleep deprivation on cognitive variables" 136 : 375-389, 2010

      63 노컷뉴스, "10명중 3명 “휴대전화 없이는 못살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