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황룡사구층탑의 건립 과정을 640년대 전반의 신라가 처해 있던 국제정세와 그 변화 속에서 재검토한 결과물이다. 신라는 642년 백제의 침공으로 발생한 국내외 위기를 수습하려고 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황룡사구층탑의 건립 과정을 640년대 전반의 신라가 처해 있던 국제정세와 그 변화 속에서 재검토한 결과물이다. 신라는 642년 백제의 침공으로 발생한 국내외 위기를 수습하려고 당...
본고는 황룡사구층탑의 건립 과정을 640년대 전반의 신라가 처해 있던 국제정세와 그 변화 속에서 재검토한 결과물이다. 신라는 642년 백제의 침공으로 발생한 국내외 위기를 수습하려고 당에서 구법 중이던 승려 자장을 643년 3월 신라로 귀국시켰다. 또한, 백제와 고구려의 연합 공격을 막기 위해서 643년 대당 청병외교를 추진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여왕 통치의 정당성 문제가 재차 수면 위로 떠 오르게 되었다. 이에 자장은 신라 선덕왕에게 황룡사에 9층탑의 건립을 요청하였다. 선덕왕과 그 지지세력은 황룡사구층탑의 건립을 추진하여 선덕왕의 신성성과 권위를 강조하고 여왕 통치에 대한 세간의 불만을 불식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황룡사구층탑의 건립 준비가 진행되던 644년 여름, 당으로부터 대고구려 원정에 참전하라는 요구가 신라로 전달되었다. 신중한 논의를 거쳐 신라는 결국 파병을 결정하였고, 그사이에 발생할지 모를 백제의 역습에 대비하기 위해서 644년 9월부터 백제와 공방을 재개하였다. 마침내 당의 고구려 원정이 개시되었고, 신라도 645년 5월에 3만 명의 군사를 내어 참전하였다. 그러나 전쟁은 당 태종의 철군으로 별다른 성과 없이 종식되었고, 참전을 주장했던 선덕왕과 여왕지지세력은 책임을 지고 권력을 분점해야만 했다. 한편, 계속되는 고구려·백제와의 전쟁으로 당시 신라인들을 불안에 떨었고, 이에 신라는 전쟁으로 흔들리는 민심을 안정시키고 규합하기 위해서 황룡사구층탑의 건립에 더욱 박차를 가하였다. 그 결과 대고구려 전쟁이 실패로 끝나고 여왕 반대세력과의 권력 분점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황룡사구층탑 건립 사업은 지체없이 추진되어 마침내 646년에 완공하게 되었다. 결국 황룡사구층탑은 그 건립 과정을 거치면서 여왕의 신성성과 권위를 증명하는 장치를 넘어서, 전쟁의 위기를 극복하고 평화로운 시대가 도래하기를 희망하는 신라인들의 간절한 염원이 강하게 투영된 상징물로 자리매김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식, "자장의 불교시책과 그 성격-隋文帝 불교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8) : 307-343, 2012
2 김두진, "신라 진평왕대의 釋迦佛信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0 : 1987
3 남무희, "신라 자장 연구" 서경문화사 2012
4 최희준,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 羅唐關係" 한국고대학회 (47) : 59-88, 2016
5 "資治通鑑"
6 "舊唐書"
7 "續高僧傳"
8 양정석, "皇龍寺의 造營과 王權" 서경 2004
9 "皇龍寺刹柱本記"
10 박순교, "皇龍寺九層塔의 歷史的虛實" 청계사학회 16·17 : 2002
1 정영식, "자장의 불교시책과 그 성격-隋文帝 불교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8) : 307-343, 2012
2 김두진, "신라 진평왕대의 釋迦佛信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0 : 1987
3 남무희, "신라 자장 연구" 서경문화사 2012
4 최희준,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 羅唐關係" 한국고대학회 (47) : 59-88, 2016
5 "資治通鑑"
6 "舊唐書"
7 "續高僧傳"
8 양정석, "皇龍寺의 造營과 王權" 서경 2004
9 "皇龍寺刹柱本記"
10 박순교, "皇龍寺九層塔의 歷史的虛實" 청계사학회 16·17 : 2002
11 "玉海"
12 丁仲煥, "毗曇·廉宗亂의 原因考-新羅政治社會의 轉換期에 관한一試考-" 동아대학교 14 : 1977
13 盧重國, "新羅와 百濟의 交涉과 交流"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7·18 : 2000
14 崔在錫, "新羅王室의 王位繼承" 역사학회 98 : 1983
15 李基白, "新羅時代國家佛敎와 儒敎" 韓國硏究院 1978
16 權種湳,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 22" 경주시 신라문화선양회 22 : 2001
17 李基白,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18 蔡商植, "新羅史에 있어서 皇龍寺의 位相과 그 推移" 경주시 신라문화선양회 22 : 2001
19 김영하, "新羅中古期의 政治過程試論" 翰林大學校泰東古典硏究所 4 : 1988
20 金德原, "新羅中古政治史硏究" 景仁文化社 2007
21 李泳鎬, "新羅中代왕실사원의 官寺的기능" 한국사연구회 43 : 1980
22 金哲俊, "新羅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下)" 역사학회 2 : 1952
23 이종욱, "新羅上代王位繼承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980
24 "新唐書"
25 "文館詞林"
26 南東信, "慈藏의 佛敎思想과 佛敎治國策" 한국사연구회 76 : 1992
27 "太平御覽"
28 金正基, "國遺事의新硏究" 新羅文化宣揚會 1980
29 權悳永, "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 一潮閣 1997
30 "冊府元龜"
31 "全唐文"
32 工藤茂樹, "佛敎と政治·經濟" 平樂寺書店 1972
33 金相鉉, "中齋張忠植博士)華甲紀念論叢上:歷史學篇" 中齊張忠植博士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92
34 王静, "中国古代中央客馆制度硏究" 黑龙江敎育出版社 2002
35 "三國遺事"
36 "三國史記"
37 최희준,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 대한 재검토와 阿非의 출자" 한국학연구소 36 : 29-54, 2011
38 辛鍾遠, "『三國史記』 善德王知幾三事條의 몇가지 問題" 경주시 신라 17 : 1996
39 박승범, "7세기 전반기 新羅 危機意識의 실상과 皇龍寺9층木塔" 신라사학회 (30) : 301-347, 2014
40 최희준, "644년 당의 대고구려전 파병 요구와 신라의 대응" 신라사학회 (54) : 1-26, 2022
41 鄭炳三, "(譯註) 韓國古代金石文3"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42 朱甫暾,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上" 一潮閣 199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5-03-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Institute for uddhist Studies ->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5 | 1.569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