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 재정지원이 경상남도 사회적기업 고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in Gyeongsangnam-do Effect on employ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9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on employment, which was surveyed for social enterprises operating in Gyeongsangnam-do in 2020. We analyzed it by panel regression analysis model with variables such as total emplo...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on employment, which was surveyed for social enterprises operating in Gyeongsangnam-do in 2020. We analyzed it by panel regression analysis model with variables such as total employment, general employment, and employment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total employment increased by 0.92 percent as sales increased by 1 percent, whereas business development expenses or employment subsidies had few influences on total employment. General employment increased by 0.77 percent as sales increased by 1 percent, while it decreased as business development expenses or employment subsidies increased. Employment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increased by 0.92 percent as sales increased by 1 percent, and employment increased by 0.02 percent as employment subsidies increased by 1 percent. Therefore, sales had the greatest effect on employment increase for social enterprises in Gyeongsangnam-do, and sales increase had the greater effect on the employment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than on general employ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0년 현재 경상남도에서 기업활동을 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재정지원사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패널회귀분석모형을 통해 고용성과를 나타내는 ...

      본 연구는 2020년 현재 경상남도에서 기업활동을 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재정지원사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패널회귀분석모형을 통해 고용성과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총고용, 일반고용, 취약계층고용으로 분류하여 모형을 구축 후 분석한 결과 총고용에 대한 매출액, 사업개발비, 고용지원금의 효과를 보면 매출액이 1% 증가할 경우 총고용은 0.92% 증가하였으나, 사업개발비 및 고용지원금은총고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용은 매출액 1% 증가할 경우 0.77% 증가한 반면 사업개발비 및 고용지원금 증가는 일반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약계층 고용은 매출액 1% 증가시 0.92% 증가하였고, 고용지원금 1% 증가할 경우 고용은 0.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경상남도 사회적기업 고용 증가에 매출액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매출액의 증가는 일반고용보다 취약계층고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수,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4 (14): 207-245, 2021

      2 김종수, "충남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97-117, 2013

      3 고명일, "재정지원은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높이는가? :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의 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49-73, 2019

      4 김세운, "사회적기업의 정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영리・비영리기업 간 사회적 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24 (24): 101-121, 2020

      5 송정은,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지역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7 (27): 227-250, 2019

      6 권상집,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및 정책적 함의" 6 (6): 179-203, 2013

      7 김재홍,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지원금의 고용창출 효과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135-163, 2012

      8 최지혜,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재정지원의 고용 창출 효과 : 사회적 일자리와 자체 고용에 대한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9 (9): 87-120, 2019

      9 도수관,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정지원과 고용창출간의 관계 분석:2007~2011년 인증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8 (48): 499-524, 2014

      10 황덕순, "사회적기업, 사회적 일자리를 통한 고용창출" 2 (2): 1-3, 2004

      1 정희수,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4 (14): 207-245, 2021

      2 김종수, "충남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97-117, 2013

      3 고명일, "재정지원은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높이는가? :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의 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49-73, 2019

      4 김세운, "사회적기업의 정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영리・비영리기업 간 사회적 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24 (24): 101-121, 2020

      5 송정은,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지역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7 (27): 227-250, 2019

      6 권상집,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및 정책적 함의" 6 (6): 179-203, 2013

      7 김재홍,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지원금의 고용창출 효과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135-163, 2012

      8 최지혜,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재정지원의 고용 창출 효과 : 사회적 일자리와 자체 고용에 대한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9 (9): 87-120, 2019

      9 도수관,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정지원과 고용창출간의 관계 분석:2007~2011년 인증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8 (48): 499-524, 2014

      10 황덕순, "사회적기업, 사회적 일자리를 통한 고용창출" 2 (2): 1-3, 2004

      11 송원근,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연계과정 교육 사례 -" 산업경영연구소 39 (39): 251-275, 2016

      12 황정윤, "사회적 기업 지원의 딜레마 - 정부보조금, 약인가 독인가 -" 한국정책학회 26 (26): 225-258, 2017

      13 경상남도, "경상남도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2020

      14 경남연구원, "경남의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6 0.91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