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의 風水" 19901931
2 "진주시 도시구조에 관한 역사지리적연구: 고지도 및 지형도 분석을 중심으로" 2000
3 "조선전기 강원지역의 성곽연구" 1998
4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대구부성의 풍수 교육 및제사공간을 중심으로" 33 (33): 33-47, 1998
5 "조선시대 지방도 시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2): 대구 부성내의 관청시설을 중심으로" 34 (34): 7-23, 1999
6 "조선시대 강릉官衙에 대하여" 강릉문화원 26 : 103-135, 2002
7 "조선시대 邑治경관 독해" 157-162, 2003
8 "조선기 城邑의 입지체계와 장소성" 22 : 3-29, 2001
9 "영동지방의 역사기행" 신구문화사. 1995
10 "사천만 연안에 축성된 城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6 (6): 51-68, 2000
1 "한국의 風水" 19901931
2 "진주시 도시구조에 관한 역사지리적연구: 고지도 및 지형도 분석을 중심으로" 2000
3 "조선전기 강원지역의 성곽연구" 1998
4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대구부성의 풍수 교육 및제사공간을 중심으로" 33 (33): 33-47, 1998
5 "조선시대 지방도 시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2): 대구 부성내의 관청시설을 중심으로" 34 (34): 7-23, 1999
6 "조선시대 강릉官衙에 대하여" 강릉문화원 26 : 103-135, 2002
7 "조선시대 邑治경관 독해" 157-162, 2003
8 "조선기 城邑의 입지체계와 장소성" 22 : 3-29, 2001
9 "영동지방의 역사기행" 신구문화사. 1995
10 "사천만 연안에 축성된 城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6 (6): 51-68, 2000
11 "경상도 읍치경관의 鎭山에 관한 고찰" 163-168, 2003
12 "강릉지역의 성곽연구" 1999
13 "강릉지역의 성곽연구" 강릉문화원 23 : 34-96, 1999
14 "강릉지방 지리지 편찬에 관한 연구" 관동대 영동문화연구소 8 : 99-126, 2001
15 "昭和63年 同明社 日比野丈夫 昭和52年" 1988
16 "中國의 건축과 도시" Alec Tiranti Ltd 19871962
17 "中國城市歷史地理" 山東敎育出版社 1998
18 "“한국성곽도시의 발전과 공간패턴에 관한연구" 27-40, 1982
19 "“한국성곽도시의 공간구성원리와 기법에 관한연구" 4-19, 1984
20 "“한국 고도읍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이조시대를 중심으로" 서울대 행정대학원 212-224, 1974
21 "“한국 고도읍에 출현된 邑藪의 경관특성에 관한연구" 13 (13): 12-26, 1995
22 "“풍수지리설이 도읍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57-103, 1987
23 "“지방도시의 전통공간 보존을 위한 기초연구 울주지방의 성곽을 중심으로" 27-46, 1987
24 "“조선왕조시대의 도읍경관체계연구 공주목을 중심으로" 115-137, 1987
25 "“조선시대의 밀양읍성에 관한 기초연구" 175-190, 1991
26 "“조선시대 읍성정주지의 경관구성연구 전남 승주군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23-47, 1984
27 "“우리나라 도읍경관 변천과정의 기초연구" 101-113, 1987
28 "“우리나라 도시내 역사적 공간형성의과정과 현실-도시조직의 형성과 변화과정을중심으로-" 8-21, 1986
29 "“開港期도시시설의 도입과정" 73-95, 1980
30 "“李朝의 도시구성 서울과 지방도시의 비교" 61-80, 1974
31 "“客舍건축연구" 79-87, 1986
32 ", 한국의 자생풍수(2)" 민음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