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건강 2요인 모형에 기초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유형별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조절의 차이 =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and Goal Adjustment Among Mental Health Ty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71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 표본에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정신병리 유무와 정신적 웰빙 3수준(번영, 양호, 쇠약)을 구분하여 정신건강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정신건강 유형별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조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DASS-21, 정신적 웰빙 척도, 삶의 의미 척도, 학업참여 척도와 목표관여, 목표이탈, 목표재관여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4년제 대학교 재학생 78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정신건강 2요인 상관모형의 적합도가 2요인 독립모형과 1요인 모형보다 우수하였다. 정신건강 5유형이 분류되었고(양호 유형 59.6%, 쇠약 유형 16.5%, 쇠약․병리 유형 9.3%, 번영 유형 8.0%, 순수병리 유형 6.6%), 목표이탈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관여, 목표재관여에서 번영 유형이 가장 높았고, 쇠약 유형은 쇠약․병리 유형과 유의한 차이없이 순수병리 유형보다도 저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의 병리적 요인인 정신병리와 긍정적 요인인 정신적 웰빙이 관련되면서도 구분된 두 요인으로 설정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지지하고,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정신병리의 감소와 정신적 웰빙의 증가를 병행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 표본에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정신병리 유무와 정신적 웰빙 3수준(번영, 양호, 쇠...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 표본에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정신병리 유무와 정신적 웰빙 3수준(번영, 양호, 쇠약)을 구분하여 정신건강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정신건강 유형별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조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DASS-21, 정신적 웰빙 척도, 삶의 의미 척도, 학업참여 척도와 목표관여, 목표이탈, 목표재관여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4년제 대학교 재학생 78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정신건강 2요인 상관모형의 적합도가 2요인 독립모형과 1요인 모형보다 우수하였다. 정신건강 5유형이 분류되었고(양호 유형 59.6%, 쇠약 유형 16.5%, 쇠약․병리 유형 9.3%, 번영 유형 8.0%, 순수병리 유형 6.6%), 목표이탈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관여, 목표재관여에서 번영 유형이 가장 높았고, 쇠약 유형은 쇠약․병리 유형과 유의한 차이없이 순수병리 유형보다도 저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의 병리적 요인인 정신병리와 긍정적 요인인 정신적 웰빙이 관련되면서도 구분된 두 요인으로 설정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지지하고,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정신병리의 감소와 정신적 웰빙의 증가를 병행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Keyes’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in a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by testing differences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and goal adjustment among mental health types classified by the levels of mental illness (present, absent) and mental well-being (flourishing, moderate, languish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84 college students through a nationwide online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correlated dual-factor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independent dual-factor model and the single factor model. 5 mental health types were classified (moderate mental health 59.6%, languishing 16.5%, languishing & mental illness 9.3%, flourishing 8.0%, pure mental illness 6.6%). Differences among mental health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the variables except goal disengagement. The flourishing type was highest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goal 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The languishing type and the languishing & mental illness type were poorer than the pure mental illness type. Such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of the dual-factor mental health model with mental illness and mental well-being as related but distinct factor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Keyes’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in a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by testing differences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and goal adjustment among mental health types classified by the levels of...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Keyes’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in a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by testing differences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and goal adjustment among mental health types classified by the levels of mental illness (present, absent) and mental well-being (flourishing, moderate, languish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84 college students through a nationwide online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correlated dual-factor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independent dual-factor model and the single factor model. 5 mental health types were classified (moderate mental health 59.6%, languishing 16.5%, languishing & mental illness 9.3%, flourishing 8.0%, pure mental illness 6.6%). Differences among mental health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the variables except goal disengagement. The flourishing type was highest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goal 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The languishing type and the languishing & mental illness type were poorer than the pure mental illness type. Such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of the dual-factor mental health model with mental illness and mental well-being as related but distinct fac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나영, "한국판 정신적 웰빙척도의 요인구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6 (26): 105-121, 2019

      2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11-225, 2005

      3 임영진, "한국인의 정신건강" 233-257, 2010

      4 윤정미,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에서의 차이: 서울지역 청소년 대상 예비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73-196, 2017

      5 고영건,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과 생활안전행동 간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03-325, 2016

      6 임영진,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7 김현정, "정신건강과 일반적 신체건강 간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815-828, 2016

      8 이승연, "정신건강 2요인 모델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참여와 학업성취"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95-218, 2014

      9 백인규, "정신건강 2요인 모델 타당화 연구: 젊은 성소수자(LGB)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24 (24): 403-422, 2019

      10 이명자, "완전한 정신건강모형 검증" 31 : 47-68, 2008

      1 신나영, "한국판 정신적 웰빙척도의 요인구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6 (26): 105-121, 2019

      2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11-225, 2005

      3 임영진, "한국인의 정신건강" 233-257, 2010

      4 윤정미,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에서의 차이: 서울지역 청소년 대상 예비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73-196, 2017

      5 고영건,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과 생활안전행동 간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03-325, 2016

      6 임영진,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7 김현정, "정신건강과 일반적 신체건강 간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815-828, 2016

      8 이승연, "정신건강 2요인 모델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참여와 학업성취"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95-218, 2014

      9 백인규, "정신건강 2요인 모델 타당화 연구: 젊은 성소수자(LGB)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24 (24): 403-422, 2019

      10 이명자, "완전한 정신건강모형 검증" 31 : 47-68, 2008

      11 유성경,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1997년-2013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3 (33): 441-465, 2014

      12 박선영,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 31 (31): 741-768, 2012

      13 신현숙, "대학생의 정신건강 유형별 진로 불확실성 조절전략의 차이"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2565-2580, 2021

      14 추헌택, "대학생용 학업참여 척도(UWES-S)의 타당화: 학업동기, 참여 및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485-503, 2012

      15 김현정, "긍정적 정신건강 모형의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6 King, L. A., "What makes a life good?" 75 (75): 156-165, 1998

      17 Boudrenghien, G., "Unattainable educational goals: Disengagement, reengagement with alternative goals, and consequences for subjective well-being" 62 : 147-159, 2012

      18 Keyes, C. L. M.,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43 : 207-222, 2002

      19 Steger, M. 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53 (53): 80-93, 2006

      20 Wu, D., "The impacts of uncertainty stress on mental disorde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Evidence from a nationwide study" 11 (11): 1-9, 2020

      21 이은현, "The 21-Item and 12-Item Versions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Psychometric Evaluation in a Korean Population" 한국간호과학회 13 (13): 30-37, 2019

      22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23 Appleton, J. J., "Student engagement with school: Critical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construct" 45 (45): 369-386, 2008

      24 Keyes, C. L. M., "Social well-being" 61 (61): 121-140, 1998

      25 Davis, C. G., "Searching for meaning in loss: Are clinical assumptions correct?" 24 : 497-540, 2000

      26 Keyes, C. L. M.,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as flourishing: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roving national mental health" 62 (62): 95-108, 2007

      27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2015

      28 Curran, P. G.,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carelessly invalid responses in survey data" 66 : 4-19, 2016

      29 Keyes, C. L. M., "Mental health and/or mental illness?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73 : 539-548, 2005

      30 Lovibond, S. H., "Manual for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Psychology Foundation 1995

      31 Tomasik, M. J., "Individuals negotiating demands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 15 (15): 246-259, 2010

      32 Deci, E. L., "Hedonia, eudaimonia, and well-being: An introduction" 9 : 1-11, 2008

      33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34 Keyes, C. L. M.,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5-59, 2005

      35 Wrosch, C., "Goal adjustment capacities,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7 : 847-860, 2013

      36 Barlow, M. A., "Goal adjustment capacities and quality of life: A meta-analytic review" 88 : 307-323, 2020

      37 Godinic, D., "Effects of economic uncertainty on mental health in the COVID-19 pandemic context: Social identity disturbance, job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odel" 6 : 61-74, 2020

      38 Upadyada, K., "Development of school engagement in association with academic success and well-being in varying social contexts" 18 (18): 136-147, 2013

      39 Schaufeli, W.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 national study" 33 : 464-481, 2002

      40 Renshaw, T. L., "Bidimensional emotional health in college students: A comparison of categorical and continuous analytic approaches" 38 : 681-694, 2016

      41 Tomasik, M. J., "Beneficial effects of disengagement from futile struggles with occupational planning: A contextualist- motivational approach" 48 (48): 1785-1796, 2012

      42 Antaramian, S., "Assessing psychological symptoms and well-being: Application of a dual-factor mental health model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 performance" 33 (33): 419-429, 2015

      43 Eklund, K., "Applicability of the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for college students" 25 (25): 79-92, 2011

      44 Wrosch, C., "Adaptive self-regulation of unattainable goals: Goal disengagement, goal reeng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29 (29): 1494-1508, 2003

      45 오경자, "ASEBA 성인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휴노 2014

      46 Heckhausen, J., "A motivational theory of life-span development" 117 (117): 32-60,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