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漢書·本紀》通假字 용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27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汉书》同《史记》是中国史学史上代表性的著作,是继司马迁写到汉武帝的《史记》而写的正史,也称为“第二个正史”。《史记》为通史,是从皇帝开始到汉武帝太初年间(BC104~101)的记彔,《汉书》为断代史,是从汉高祖元年(BC206)到王莽地黄4年(AD23)间的记彔。班固编纂汉书不仅承袭了《史记》的体系,还通过承袭很多资料和修改等过程完成了伟大的杰作。《汉书》由12帝纪、8表、10志、70列传,共100卷组成,其文献性价值同史记一起,在中国文献学史上有非常重要的评价。为理解这样的《汉书》,需要了解多种语言现象,其中有关音,认为非常重要的现象就是通假。 通假字是想要表达意思的字虽然存在,但是写字的人写的时候想不起来,而借用意思不同但发音相同的字写出的字。古籍中有很多这种通假现象,如果不知道通假现象,就会存在不能正确理解文章意思的情况。 此论文的主要目的为,分析《汉书》中存在的通假现象.其中可以找出一定的通假现象规律,可分为,第一,声母相同的字;第二,韵母相同的字;第三,声母、韵母都相同的字;第四,声母和韵母都不同的字。尤其,找出《汉书、本纪》中可以看见的通假字,并进行翻译,进而为了了解如何通假,想对上古音进行比较。
      번역하기

      本《汉书》同《史记》是中国史学史上代表性的著作,是继司马迁写到汉武帝的《史记》而写的正史,也称为“第二个正史”。《史记》为通史,是从皇帝开始到汉武帝太初年间(BC104~101)...

      本《汉书》同《史记》是中国史学史上代表性的著作,是继司马迁写到汉武帝的《史记》而写的正史,也称为“第二个正史”。《史记》为通史,是从皇帝开始到汉武帝太初年间(BC104~101)的记彔,《汉书》为断代史,是从汉高祖元年(BC206)到王莽地黄4年(AD23)间的记彔。班固编纂汉书不仅承袭了《史记》的体系,还通过承袭很多资料和修改等过程完成了伟大的杰作。《汉书》由12帝纪、8表、10志、70列传,共100卷组成,其文献性价值同史记一起,在中国文献学史上有非常重要的评价。为理解这样的《汉书》,需要了解多种语言现象,其中有关音,认为非常重要的现象就是通假。 通假字是想要表达意思的字虽然存在,但是写字的人写的时候想不起来,而借用意思不同但发音相同的字写出的字。古籍中有很多这种通假现象,如果不知道通假现象,就会存在不能正确理解文章意思的情况。 此论文的主要目的为,分析《汉书》中存在的通假现象.其中可以找出一定的通假现象规律,可分为,第一,声母相同的字;第二,韵母相同的字;第三,声母、韵母都相同的字;第四,声母和韵母都不同的字。尤其,找出《汉书、本纪》中可以看见的通假字,并进行翻译,进而为了了解如何通假,想对上古音进行比较。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漢書·本紀》에 나타난 通假字 용례 분석
      • 3. 결론
      • <參考文獻>
      • <中文提要>
      • 1. 서론
      • 2. 《漢書·本紀》에 나타난 通假字 용례 분석
      • 3. 결론
      • <參考文獻>
      • <中文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돈, "중국어 음운학" 학고방 2007

      2 이상옥, "예기 하" 명문당 2003

      3 이상옥, "예기 상" 명문당 2003

      4 김학주, "시경" 명문당 2002

      5 김원중, "사기세가" 민음사 2010

      6 사마천, "사기" 신원문화사 2006

      7 맹자, "맹자" 전통문화연구회 2005

      8 許慎,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8

      9 許愼, "說文解字今釋.下" 岳麓書社 2009

      10 許愼, "說文解字今釋.上" 岳麓書社 2009

      1 이재돈, "중국어 음운학" 학고방 2007

      2 이상옥, "예기 하" 명문당 2003

      3 이상옥, "예기 상" 명문당 2003

      4 김학주, "시경" 명문당 2002

      5 김원중, "사기세가" 민음사 2010

      6 사마천, "사기" 신원문화사 2006

      7 맹자, "맹자" 전통문화연구회 2005

      8 許慎,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8

      9 許愼, "說文解字今釋.下" 岳麓書社 2009

      10 許愼, "說文解字今釋.上" 岳麓書社 2009

      11 民衆書林 編輯局, "漢韓大字典" 民衆書林 2007

      12 董同龢, "漢語音韻學" 汎學圖書 1975

      13 王 輝, "古文字通假字典" 中華書局 2008

      14 中華書局, "前漢書" 臺灣中華書局 1982

      15 鄭張尙方, "上古音系" 上海敎育出版社 2003

      16 李方桂, "上古音硏究" 商務印書館 1982

      17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43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