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2 개정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따른 지리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과제 = The Direction and Task of Developing the Geography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structur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0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the research results that form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at issues emerg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ields in this research process, and how those issues were resolved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the research results that form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at issues emerg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ields in this research process, and how those issues were resolved and emerged as major outcomes will take a look. In addition, it is to introduce and share the shortcomings and future tasks to th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The three goals that the researchers explicitly asserted and tried to achieve during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high school general elective subjects, a balance was created with four subjects, 1 each for each area. In the end, the researchers achieved what they claimed. Second, it was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in career and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other than general elective subjects and to develop competitive subjects in the school field. It will be known whether this goal can be achieved through substantial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and future application results. Third,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was divided into geography and general social studies, and textbooks were divided, and the name of the subject was found i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table. The request for separation of subjects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table was not accepted, and the division of textbooks became a content that had to be claimed before the announce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 important income from this study, other than the explicit claims, is that the geographical community has created a basis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regard to curriculum issues. Based on this foundation, geography will be firmly established in school education, academia, and real lif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연구의목적은 2022 개정교육과정각론개발의기초가 되는 연구 결과를알리고, 이연구과정에서다른영역들과의관계속에서나타난쟁점은무엇이었고, 그러한쟁점이어떻게해결되어주요성과로...

      본연구의목적은 2022 개정교육과정각론개발의기초가 되는 연구 결과를알리고, 이연구과정에서다른영역들과의관계속에서나타난쟁점은무엇이었고, 그러한쟁점이어떻게해결되어주요성과로나타났으며미진한점과향후과제는무엇인지를지리교육계에소개하고공유하는것이다. 연구과정에서연구진이명시적으로주장하여이루어내고자노력했던세가지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일반선택 과목에서 영역별 각 1개 과목씩 4개 과목으로 균형 개발하는 것이고 주장하는 바를이루어내었다. 둘째, 일반선택과목이외의진로및융합선택과목에서도균형개발을이루어내고학교현장에서경쟁력있는과목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는 내실 있는 각론 개발과 향후의 적용 결과를 통해 달성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중학교사회를지리와일반사회로과목을분리하고교과서도분책하며, 교육과정편제표에서지리라는이름을찾는것이었다. 과목분리와교육과정편제표 개선요구는수용되지않았고, 교과서분책은고시전까지 주장해야할내용이되었다. 명시적주장이외에이연구를통해얻게된중요한소득은지리공동체가교육과정문제에관심을가지고의사소통하여협력할수있는기반이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토대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학교 교육과 학계, 실생활에서 지리가 더 단단하게 자리 잡게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기, "포스트 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육부 2021

      2 조철기, "캐나다 퀘벡 주 지리교육과정과 지리과의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61-73, 2013

      3 김민성, "캐나다 온타리오주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역량기반 관점에서의 접근" 한국지리학회 9 (9): 441-456, 2020

      4 이상균 ; 정프랑수아 떼민느, "최근 프랑스 지리 교육과정 개정 동향과 지리과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45-56, 2014

      5 주형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국어, 도덕, 사회, 수학, 영어" 2021

      6 이민부 ; 김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97-107, 2017

      7 김민성 ; 김현미, "지리답사를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과학교육연구소 60 (60): 213-226, 2021

      8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9 심승희 ; 권정화,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10 차조일, "역량함양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2021

      1 박병기, "포스트 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육부 2021

      2 조철기, "캐나다 퀘벡 주 지리교육과정과 지리과의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61-73, 2013

      3 김민성, "캐나다 온타리오주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역량기반 관점에서의 접근" 한국지리학회 9 (9): 441-456, 2020

      4 이상균 ; 정프랑수아 떼민느, "최근 프랑스 지리 교육과정 개정 동향과 지리과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45-56, 2014

      5 주형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국어, 도덕, 사회, 수학, 영어" 2021

      6 이민부 ; 김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97-107, 2017

      7 김민성 ; 김현미, "지리답사를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과학교육연구소 60 (60): 213-226, 2021

      8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9 심승희 ; 권정화,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10 차조일, "역량함양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2021

      11 차조일, "역량 함양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공청회자료집"

      12 김현주, "역량 기반 대만 지리 교육과정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5-59, 2013

      13 임은진, "싱가포르의 교육 정책과 지리 교육과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15-32, 2014

      14 김선영, "싱가포르와 호주의 지리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대안적 방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85-312, 2019

      15 김민성,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교육과정- 핵심역량 관점에서의 해석과 지리교육적 함의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1-14, 2014

      16 안영진, "독일의 역량기반 지리 교육과정 및 교육표준에 관한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 27 (27): 92-107, 2021

      17 교육부, "더 나은 미래를, 모두를 위한 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18 이경한, "뉴질랜드 지리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주요 특성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33-43, 2013

      19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 계획(안)(2021. 4.)"

      20 조영달, "교육과정의 정치학" 교육과학사 2001

      21 교육부,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2021. 2. 16.)"

      22 김현미,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16, 2013

      23 온정덕,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기준 마련 연구" 교육부 2021

      24 교육부, "2021년 교육과정 1차 정책연구진 합동 워크숍 자료집(2021. 4. 26.)"

      25 배주경, "2015 개정 교육과정운영 실태 분석: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2020

      26 배주경, "2015 개정 교육과정운영 실태 분석: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2019

      27 주형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국어, 사회, 영어"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