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작업은 다른 작업에 비해 정적인 자세에서 장시간에 걸친 근육의 활동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목, 어깨부위의 근골격계 질환을 초래하는데 가장 위험한 요인이 되고 있다. 컴퓨터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1012
부산 : 경성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경성대학교 대학원 , 물리치료학과 물리치료학 , 2020. 2
2020
한국어
컴퓨터작업 ; 깊은목굽힘근 지구력 ; 머리척추각 ; 근활성도
부산
60 ; 26 cm
지도교수: 이상열
I804:21002-0000000118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컴퓨터작업은 다른 작업에 비해 정적인 자세에서 장시간에 걸친 근육의 활동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목, 어깨부위의 근골격계 질환을 초래하는데 가장 위험한 요인이 되고 있다. 컴퓨터를 ...
컴퓨터작업은 다른 작업에 비해 정적인 자세에서 장시간에 걸친 근육의 활동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목, 어깨부위의 근골격계 질환을 초래하는데 가장 위험한 요인이 되고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신체는 모니터를 주시하기 위하여 목과 몸통은 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동시에 상지의 경우에는 동적인 키보드 작업을 요구되며 이는 작업자를 장시간동안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만들며 지속적인 정적부하에 노출을 시키는 동시에 목 어깨 근육들에 과도한 부하를 발생시켜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컴퓨터작업 중 깊은목굽힘근지구력이 머리척추각변화량과 변화속도 및 목, 어깨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10분의 컴퓨터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카메라로 촬영하여 머리척추각변화량과 변화속도를 측정하였으며 표면근전도를 대상자의 목, 어깨 근육에 부착하여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10분의 컴퓨터작업을 2분씩 5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마다의 평균머리척추각과 평균근활성도를 측정하여 깊은목굽힘근지구력과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깊은목굽힘근지구력과 머리척추각변화량, 변화속도, 목, 어깨 근활성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피어만의 상관분석을 실시 하였다.
깊은목굽힘근지구력과 0 ~ 2분의 머리척추각변화량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498, p<.05). 깊은목굽힘근지구력과 0~2분의 머리척추각변화속도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498, p<.05). 또한 깊은목굽힘근지구력과 0~2분의 목빗근의 근활성도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r=-.364, p<.05) 0~2분의 위쪽등세모근의 근활성도값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477, p<.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컴퓨터작업 시 깊은목굽힘근지구력이 약할수록 작업초반시점에 머리척추각변화와 목, 어깨 근활성도의 변화가 동시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깊은목굽힘근지구력은 컴퓨터작업 시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깊은목굽힘근지구력의 강화 운동프로그램을 만들어 실시한다면 작업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차원으로 좋은 중재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