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이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Online Community Usage on Affective Polarization of Korean Vo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799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의 양대 정당 지지자들 사이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각한 문제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주목하여,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이 양대 정당 지지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의식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의 빈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양극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상대 정당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빈도와 정서적 양극화 사이의 관계는 자신이 처한 경제적 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최근 우리나라의 양대 정당 지지자들 사이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각한 문제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주목하여, 온...

      최근 우리나라의 양대 정당 지지자들 사이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각한 문제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주목하여,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이 양대 정당 지지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의식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의 빈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양극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상대 정당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빈도와 정서적 양극화 사이의 관계는 자신이 처한 경제적 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studies highlight the serious issue of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supporters of South Korea’s two major political parties. This study focuses on online community usage as a cause of affective polarization and empirically analyzes its impact on the affective polarization of Korean voters. By analyzing data from the 20th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survey, this research found that a higher frequency of online community usage correlates with increased levels of affective polarization. Specifically, more frequent online community usage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more hostile feelings toward opposing political parties. Furthermore,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online community usage and affective polarization was heightened by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one's economic situation.
      번역하기

      Recent studies highlight the serious issue of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supporters of South Korea’s two major political parties. This study focuses on online community usage as a cause of affective polarization and empirically analyzes its impact...

      Recent studies highlight the serious issue of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supporters of South Korea’s two major political parties. This study focuses on online community usage as a cause of affective polarization and empirically analyzes its impact on the affective polarization of Korean voters. By analyzing data from the 20th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survey, this research found that a higher frequency of online community usage correlates with increased levels of affective polarization. Specifically, more frequent online community usage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more hostile feelings toward opposing political parties. Furthermore,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online community usage and affective polarization was heightened by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one's economic situ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