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 조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16968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5.18 판사항(5)

      • DDC

        617.60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 36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34-3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인 : 구강보건,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행태, 대학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보건 행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한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대학생 292명(남:186명, 여:106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성적 :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는 남성(71.0%)의 사용률이 높게 나타났고, 자취(69.1%)를 하는 대학생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월 평균 용돈 41~50만원을 받는 대학생에서 72.0%로 높게 나타났고, 흡연자(81.5%)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선호도는 구강세정액(43.3%), 치간 칫솔(26.6%), 치실(18.7%), 기타 용품(5.9%), 전동칫솔(5.4%)의 순서로 나타났다.
      구강 질환으로 인한 활동 제한 경험 유무에 대해서 생활 지장 경험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41.8%로 나타났고, 학업 지장 경험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17.5%로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 문제는 우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92.5%로 신경을 쓰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구강건강의 중요도가 덜 중요(70.2%), 중요하지 않다(10.6%)가 중요하다(19.2%)보다 높게 나타났다. 치과 진료가 필요하나 받지 못한 이유로는 시간적 이유(46.4%)가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 교육 경험 유무는 교육을 받은 응답자가 45.2%로 나타났고, 장소로는 학교(39.4%)가 높게 나타났다.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 인지 여부 및 찬반 여부에서는 모르거나 처음 듣는 대학생이 78.8%로 높게 나타났고, 사업실시 찬반 여부는 모르겠다가 53.8%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구강보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낮으므로 그에 대한 교육도 강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색인 : 구강보건,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행태, 대학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보건 행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대학생의 구강건강...

      색인 : 구강보건,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행태, 대학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보건 행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한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대학생 292명(남:186명, 여:106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성적 :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는 남성(71.0%)의 사용률이 높게 나타났고, 자취(69.1%)를 하는 대학생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월 평균 용돈 41~50만원을 받는 대학생에서 72.0%로 높게 나타났고, 흡연자(81.5%)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선호도는 구강세정액(43.3%), 치간 칫솔(26.6%), 치실(18.7%), 기타 용품(5.9%), 전동칫솔(5.4%)의 순서로 나타났다.
      구강 질환으로 인한 활동 제한 경험 유무에 대해서 생활 지장 경험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41.8%로 나타났고, 학업 지장 경험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17.5%로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 문제는 우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92.5%로 신경을 쓰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구강건강의 중요도가 덜 중요(70.2%), 중요하지 않다(10.6%)가 중요하다(19.2%)보다 높게 나타났다. 치과 진료가 필요하나 받지 못한 이유로는 시간적 이유(46.4%)가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 교육 경험 유무는 교육을 받은 응답자가 45.2%로 나타났고, 장소로는 학교(39.4%)가 높게 나타났다.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 인지 여부 및 찬반 여부에서는 모르거나 처음 듣는 대학생이 78.8%로 높게 나타났고, 사업실시 찬반 여부는 모르겠다가 53.8%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구강보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낮으므로 그에 대한 교육도 강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eywords : oral health, oral health recogn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s, college student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ose asp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8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colleges in Joenbuk. They included 186 male students and 106 female student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Results : As for th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the male students(71.0%) made mor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among those who lived alone and cooked their own meals(69.1%), among the students whose monthly mean allowance was between 410 and 500 thousand won(72.0%) and among the smokers(81.5%).
      Their favorite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was mouthwash(43.3%), followed by interdental brush(26.6%), dental floss(18.7%), other products unspecified (5.9%) and electronic toothbrush(5.4%).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ether they ever had any difficulties in getting around due to oral diseases, 41.8 percent replied they did. 17.5 percent answered that their studies were ever disturbed by oral diseases.
      In terms of subjective oral health problems, dental caries were identified as a common problem with their oral health, and many were concerned about their own oral health, as 92.5 percent replied they were.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students who considered oral h ealth less important(70.2%) or not important(10.6%) outnumbered the others who deemed it important(19.2%). Time constraints(46.4%) were cited as a dominant reason that they couldn't receive dental treatment though it was necessary.
      Concerni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45.2 percent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and schools(39.4%) were common places where they received that education.
      In relation to awareness of the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and being for or against it, as many as 78.8 percent didn't know about that or heard about it for the first time, and 53.8 percent replied they had no idea whether it should be implemented or not.

      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more education about the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should be offered as they weren't well aware of the program.
      번역하기

      Keywords : oral health, oral health recogn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s, college student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ose a...

      Keywords : oral health, oral health recogn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s, college student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ose asp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8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colleges in Joenbuk. They included 186 male students and 106 female student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Results : As for th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the male students(71.0%) made mor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among those who lived alone and cooked their own meals(69.1%), among the students whose monthly mean allowance was between 410 and 500 thousand won(72.0%) and among the smokers(81.5%).
      Their favorite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was mouthwash(43.3%), followed by interdental brush(26.6%), dental floss(18.7%), other products unspecified (5.9%) and electronic toothbrush(5.4%).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ether they ever had any difficulties in getting around due to oral diseases, 41.8 percent replied they did. 17.5 percent answered that their studies were ever disturbed by oral diseases.
      In terms of subjective oral health problems, dental caries were identified as a common problem with their oral health, and many were concerned about their own oral health, as 92.5 percent replied they were.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students who considered oral h ealth less important(70.2%) or not important(10.6%) outnumbered the others who deemed it important(19.2%). Time constraints(46.4%) were cited as a dominant reason that they couldn't receive dental treatment though it was necessary.
      Concerni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45.2 percent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and schools(39.4%) were common places where they received that education.
      In relation to awareness of the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and being for or against it, as many as 78.8 percent didn't know about that or heard about it for the first time, and 53.8 percent replied they had no idea whether it should be implemented or not.

      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more education about the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should be offered as they weren't well aware of the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II.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III. 연구성적 5
      • I. 서 론 1
      • II.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III. 연구성적 5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
      • 2. 연구 대상자의 구강보건행동 7
      • 3. 연구 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 14
      • 4. 연구 대상자의 구강보건 태도 19
      • 5. 연구 대상자의 구강보건 인식 24
      • 6. 연구 대상자의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에 대한 인식 28
      • IV. 고 안 29
      • V. 결 론 32
      • 참고 문헌 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