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변화 방향과 미래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전망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패러다임을 CLI, GUI, NUI, 유비쿼터스로 나누고 각각의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변화 방향과 미래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전망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패러다임을 CLI, GUI, NUI, 유비쿼터스로 나누고 각각의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재...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변화 방향과 미래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전망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패러다임을 CLI, GUI, NUI, 유비쿼터스로 나누고 각각의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재매개론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재매개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결과, 재매개화가 가지고 있는 투명한 즉시성과 하이퍼 매개라는 두가지 재매개화 전략과 차용(borrowing), 재현(representation), 확장(fidelity), 공격(aggressive), 흡수(absorb), 개조(refashion) 등의 6가지 재매개화 특성은인간과 미디어를 매개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변화를 살펴보기에 적합한 이론임을 알 수 있었다.
재매개론적 관점에서 고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러다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은 전통적인 계면개념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를 둘러싼 환경 개념의인터페이스로 진화하고 있다.
둘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은 투명한 즉시성을극대화하고 하이퍼매개성을 최소화하여 은폐시키는 방향으로 진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내재된 재매개화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인터페이스의변화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인터페이스의 진화에 있어서 디자이너가 능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를 개척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헌, "휴먼 인터페이스 디자인" 다성출판사 1999
2 나하나, "컨텍스트 인식의 응용디자인을 위한 구조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2004
3 이창근, "재매개 수단으로서의 웹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5
4 박기순,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5 김태옥, "은유와 실재" 한국문화사 2000
6 하원규, "유비쿼터스 IT 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2003
7 오재인, "서비스@유비쿼터스" 전자신문사 2004
8 박기순, "매개와 재매개 : 디지털 정보시대의 뉴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7): 1999
9 백욱인,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1 김창헌, "휴먼 인터페이스 디자인" 다성출판사 1999
2 나하나, "컨텍스트 인식의 응용디자인을 위한 구조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2004
3 이창근, "재매개 수단으로서의 웹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5
4 박기순,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5 김태옥, "은유와 실재" 한국문화사 2000
6 하원규, "유비쿼터스 IT 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2003
7 오재인, "서비스@유비쿼터스" 전자신문사 2004
8 박기순, "매개와 재매개 : 디지털 정보시대의 뉴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7): 1999
9 백욱인,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10 정일형,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의 재매개화 연구" 경희대학교 2005
11 "http://www.webdirections.org/resources/august-de-los-reyes-predicting-the-past"
12 "http://uxfactory.com/790, 809"
13 Anind K. Dey, "Understanding and Using Context" 5 (5): 2001
14 Weiser Mark, "The Computer for 21th Century" 265 : 1991
15 Shirk, H. N, "Some issues influencing computer icon design" 41 : 1994
16 Bloter, J. D,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2001
17 Steuer, J., "Defining virtual reality :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42 (42): 1992
기업이미지 신문 광고의 의미생성 연구 - 롤랑바르트와 장 마리 플로슈의 모형을 중심으로 -
디지털 미디어의 가상성에 나타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특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