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질적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Non-Face-to-Face Classes at Domestic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2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face-to-face classes in domestic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Qualitative meta-analysis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ndividual studies, and is a research method that can reinterpret new insights and conclusions extended from the results presented by the research. The papers to be analyzed are 14 research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KCI-registered journals) that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opic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s at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categories of the thesis to be analyzed, mutual 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studies, analysis, result derivation, comprehensive result derivation, and schematiz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emes of ambivalence, environment, and attitude were derived based on three themes. Six sub-themes were also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s at domestic universities were explained and comprehensive result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meaning was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classe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face-to-face classes in domestic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Quali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face-to-face classes in domestic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Qualitative meta-analysis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ndividual studies, and is a research method that can reinterpret new insights and conclusions extended from the results presented by the research. The papers to be analyzed are 14 research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KCI-registered journals) that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opic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s at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categories of the thesis to be analyzed, mutual 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studies, analysis, result derivation, comprehensive result derivation, and schematiz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emes of ambivalence, environment, and attitude were derived based on three themes. Six sub-themes were also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s at domestic universities were explained and comprehensive result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meaning was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classe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대학 비대면 수업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개별 연구물에 대한 종합적 분석으로 새로운 통찰과 연구물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확장된 결론을 재해석 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대학 비대면 수업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국내 학술지(KCI 등재지) 연구 논문 14편이다. 분석대상 논문의 자료코딩 및 범주, 개별 연구간 상호비교, 분석, 결과 도출, 종합적 결과 도출 및 도식화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3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양가감정, 환경, 태도라는 주제를 도출하였고 6가지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그 의미를 논의하고 비대면 수업의 개선점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대학 비대면 수업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대학 비대면 수업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개별 연구물에 대한 종합적 분석으로 새로운 통찰과 연구물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확장된 결론을 재해석 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대학 비대면 수업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국내 학술지(KCI 등재지) 연구 논문 14편이다. 분석대상 논문의 자료코딩 및 범주, 개별 연구간 상호비교, 분석, 결과 도출, 종합적 결과 도출 및 도식화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3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양가감정, 환경, 태도라는 주제를 도출하였고 6가지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그 의미를 논의하고 비대면 수업의 개선점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훈, "효과적인 가상강의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8 (8): 71-90, 2001

      2 서구원, "학습자 특성이 사이버대학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과 오프라인 강의선호도의 조절효과" 7 (7): 39-57, 2013

      3 권영애, "학습만족도 중심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 개선 방안 연구 - ‘한국디자인의 역사’와 ‘한국어’ 강의 사례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93-108, 2017

      4 최명희, "학교폭력 처리과정에서의 교사경험: 질적 메타종합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441-464, 2016

      5 강진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97-408, 2020

      6 장원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7-966, 2020

      7 김희영, "코로나19로 인한 예비유아교사의 원격 교육 수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85-508, 2021

      8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83-298, 2020

      9 권선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7-97, 2021

      10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421 : 1-25, 2020

      1 김태훈, "효과적인 가상강의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8 (8): 71-90, 2001

      2 서구원, "학습자 특성이 사이버대학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과 오프라인 강의선호도의 조절효과" 7 (7): 39-57, 2013

      3 권영애, "학습만족도 중심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 개선 방안 연구 - ‘한국디자인의 역사’와 ‘한국어’ 강의 사례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93-108, 2017

      4 최명희, "학교폭력 처리과정에서의 교사경험: 질적 메타종합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441-464, 2016

      5 강진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97-408, 2020

      6 장원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7-966, 2020

      7 김희영, "코로나19로 인한 예비유아교사의 원격 교육 수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85-508, 2021

      8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83-298, 2020

      9 권선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7-97, 2021

      10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421 : 1-25, 2020

      11 최선주, "코로나 팬데믹 속 대학 학습자의 비대면 성악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89-706, 2021

      12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13 오지수, "초등영어 온라인 수업: 도전과 극복, 남은 과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6 (26): 203-228, 2020

      14 이정숙, "청소년의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86-398, 2017

      15 최혜윤,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영ㆍ유아 안전에 관한 교사의 경험"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289-318, 2019

      16 류진아,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질적탐구학회 7 (7): 35-69, 2021

      17 나장함, "질적 메타분석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229-252, 2008

      18 이준, "원격교육의 교수지원에 대한 대학 행정가와 교수의 인식에 관한 연구" 7 (7): 147-164, 2001

      19 이동주, "원격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20 주인석,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523-555, 2020

      21 임소희, "온택트 시대의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195-205, 2021

      22 임경화, "온라인학습플랫폼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훈련 모델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11 (11): 75-86, 2019

      23 조석연, "온라인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에서의 국악교육" 한국국악교육학회 44 (44): 215-238, 2017

      24 오은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행태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23-131, 2019

      25 이정기, "온라인 대학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26 권해숙, "오프라인과 온라인 회계교육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인식과 학습성과의 차이"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21-41, 2014

      27 이선,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 2 (2): 27-41, 2020

      28 송수연,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29 김상홍, "스마트교육기반 이러닝 설계 전략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1-25, 2020

      30 임걸, "수능 인터넷강의 선호요인 사례분석 : 학업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477-491, 2010

      31 류진아, "상담자 소진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22 (22): 239-273, 2021

      32 김봉환, "상담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2년~2011년)"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729-752, 2012

      33 정민승, "사이버 수업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분석: K사이버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8 (8): 149-171, 2005

      34 최정헌, "비대면 전면 전환 학습경험: 상담전공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105-1135, 2020

      35 오영범, "비대면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자의 원격수업 역량 탐색: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15-744, 2020

      36 조승희, "비대면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의 학생 발표 평가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335-348, 2021

      37 김동일,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수업 구성요소: 대학교 이론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42 (42): 35-60, 2021

      38 임희주,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 교수자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 교양영어수업을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학회 22 (22): 203-220, 2021

      39 정정훈, "비대면 대학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통합적 연구" 한국질적탐구학회 7 (7): 171-204, 2021

      40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미술교육 이론의 탐색" 예경 2003

      41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42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43 임이랑,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학습자 경험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23-54, 2020

      44 임철일, "대학에서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 유형별 수업설계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7 (37): 459-488, 2021

      45 이윤희, "대학생의 원격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55-785, 2021

      46 이소민,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수업 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3 (33): 341-361, 2021

      47 박진희, "대학생 학습자의 온라인 예술치료 수업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5 : 167-193, 2020

      48 이헌수,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 23 (23): 377-395, 2020

      49 엄미리, "교수와 학생 인식 분석을 통한 대학 온라인 강의 지원 방안 탐색"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3 (3): 1-26, 2020

      50 정순경, "교사의 정체성 형성요소와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181-202, 2016

      51 교육부,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4조의 2 관련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

      52 서명희, "간호대학생의 혼합 수업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129-137, 2021

      53 김선아,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dir/2020/05/25/2020052502660.html"

      54 Britten, N., "Using meta ethnography to synthesise qualitative research : A worked example" 7 (7): 209-215, 2002

      55 Moore, M. G., "The effects of distance learning"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merican Center for the Study of Distance Education 1997

      56 Gillies, D., "Students perspectives on videoconferening in teacher education at a distance" 29 (29): 107-118, 2008

      57 Sandelowski, M., "Qualitative meta-synthesis : Issues and techniques" 20 (20): 365-371, 1997

      58 Walsh, D., "Outcomes of free-standing, midwife-led birth centers : A structured review" 31 (31): 222-229, 2004

      59 Walsh, D., "Meta-synthesis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 A literature review" 50 : 204-211, 2005

      60 Paterson, B. L., "Meta-study of qualitative health research : A practical guide to meta-analysis and meta-synthesis" Sage 2001

      61 Noblit, G. W., "Meta-ethnography : Synthesizing qualitative studies" Sage 1988

      62 권호순, "MZ세대의 e-Book 이용에 관한 통합모델론적 접근" 한국출판학회 46 (46): 5-38, 2020

      63 조진숙, "K-MOOC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51-572, 2020

      64 Groves, M, "Instructional technology adoption in higher educartion : An action research case study" 27 (27): 57-65, 2000

      65 Levitt, M. Heidi, "How to conduct a qualitative meta-analysis : Tailoring methods to enhance methodological integrity" 28 (28): 367-378, 2018

      66 Sandelowski, M., "Handbook for synthesizing qualitative research"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7

      67 Roverts, J., "Future and changing roles of staff in distance education: A study to identify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39 (39): 37-53, 2018

      68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9 (9): 1-6, 2001

      69 Schütz, A., "Collected papers 1" Martinus Nijhof 1962

      70 김지원, "COVID-19에 따른 대학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경험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80 : 33-58, 2021

      71 Lloyd, J. M., "Application of systematic review methods to qualitative research : Practical issues" 48 (48): 271-278, 2003

      72 이혜정,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 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5 (15): 59-84,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 1.90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