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新 고유가 대응전략 연구 = 유가 상승의 원인과 파급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68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70년대 두 차례 석유위기 이후 1980~90년대 비교적 안정되어 있던 국제 원유가격은 2003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지역 원유 판매가격의 기준인 중동산 두바이유의 연평균 가격은 2002년 $24/배럴에서 2006년 $62/배럴로 2.6배나 상승하였고 2007년 들어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런데 최근 수년간의 원유가격 상승의 양태는 1970년대의 석유위기 때나 1990년 걸프전쟁 때의 그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과거의 급격한 유가 상승은 세계적으로 석유의 소비를 위축시키면서 일정 기간 이후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최근의 유가 상승은 소비 둔화를 유발하지 못하면서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유가 상승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위기를 경험한 이후 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어 왔고, 유가 상승으로 인한 에너지비용의 증가는 경제성장을 위협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계속되는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세계 경제지표는 매우 안정되어 있다.
      이처럼 1980~90년대의 저유가를 거쳐 다시 도래한 ‘新고유가’는 그 양태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의 고유가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고유가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특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新고유가 대응전략」의 제 1차년도 연구로서 신고유가의 원인을 분석하고 유가 상승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신고유가의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유가에 영향을 주는 각종 요인별 검토를 행하였다. 유가 상승의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유가-경제 관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신고 유가의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을 각종 경제지표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어서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여 유가 상승의 주요 거시경제변수에 대한 영향과 업종별 산업생산, 에너지원별 소비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계측 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신고유가에 대한 정부의 정책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및 결과
      먼저 최근 수년간의 유가 상승, 즉 신고유가의 원인은 과거의 고유가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고유가 상황은 대부분 산유국에서의 정치적 불안, 군사적 충돌 및 에너지 공급시설에서의 사고로 인한 석유의 공급교란과 그로 인한 일시ㆍ단기적인 가격의 상승이었다. 이와 같은 공급교란에 의한 급격한 유가 상승은 소비감소를 유발하고 공급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면 가격이 곧바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신고유가 상황은 기본적으로 중국을 비롯한 개도국의 높은 경제성장과 세계 경기회복으로 인한 수요의 급증에 기인한 것이어서 유가 상승이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물론 세계 석유수요 급증의 이면에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여유생산능력 부족이라는 공급측면의 불안이 유가 상승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즉, OPEC의 여유생산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은 공급차질이 발생했을 때 이를 대체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어서 원유구매자들의 우려가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더해 2000년 이후 발생한 일련의 지정학적 사건과 기후 여건도 시기에 따라 유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원유가격 상승의 요인으로서 논란의 대상이 되어온 정제시설 부족과 투기자금의 역할에 대한 본 연구의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제시설 병목 현상이 원유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국제 선물시장에서 정제시설 병목 현상으로 석유제품가격이 상승할 경우 석유제품가격과 원유가격 사이의 가격 스프레드가 급격히 벌어진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투기세력은 고평가된 석유제품을 매도하고 저평가된 원유를 매수하는 투기적 수요가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원유 선물가격도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투기적 요인은 제한적이거나 일시적이다. 또한 공급카르텔인 OPEC이 독점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면 OPEC은 정제능력 부족에 의한 제품가격 인상을 곧바로 원유가격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OPEC이 국제 석유시장에서 원유가격 결정에 독점적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볼 수는 없다.
      투기자금의 역할에 대해서는 선물시장의 구조상 투기자금이 독립적으로 가격상승을 유발할 여지는 미약하다고 판단된다. 현물시장이 불안하면 헷져들이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선물시장에서의 매도를 늘리고, 투기자들은 헷져들의 이러한 위험을 기꺼이 인수하기 위해 매입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가격상승이 반영되는 것일 뿐, 선물시장의 투기자가 독자적인 행동으로 매입을 늘리고 가격상승을 선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실증적 분석에서도 투기자본이 가격을 선도하는 가설은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신고유가의 경제적 영향은 과거 고유가의 경제적 영향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세계경제가 과거에 비해 유가 충격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 이유는 몇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최근의 유가 상승은 1970년대 석유위기 때에 비교하여 완만하게 상승함으로써 가계와 기업이 고유가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하여 경제활동에 대한 피해가 감소하도록 하였다. 둘째, 실질 원유가격은 아직 2차 석유위기 때의 가격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산업구조가 에너지 저소비형으로 이행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세계경제의 에너지 및 석유집약도가 낮아졌다. 넷째, 세계화의 진전으로 제조업 관련 기업이 중국의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여 임금인상 압박이 줄었고 중국이 저렴한 상품을 세계시장에 공급하면서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었다.
      그러나 유가 충격의 경제적 영향을 과소평가하기에는 위험요소가 많다. 그것은 지속적인 유가 상승이 소비심리나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는 경우 불황으로 급격하게 전환될 수 있다는 점I 미국 등에서 가계의 채무부담이 커지고 있어 유가 상승의 소비지출에 대한 영향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중국경제가 위축되면 유가 상승을 초래한 석유수요의 둔화로 석유가격은 하락하겠지만 세계 경제성장의 동력이 제거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우리 경제도 세계경제가 유가 충격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 것과 같은 이유로 신고유가의 경제적 영향이 아직은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지만 에너지집약도나 석유집약도의 감소로 인한 유가 영향의 둔화라는 측면에서는 선진국의 상황과 다소 차이가 있다. 즉, 1970년대의 석유집약도와 2000년대의 석유집약도는 그 크기 면에서 크게 줄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만, 그 추세가 1970년대에는 상승 추세였으나, 2000년대에는 하락 추세라는 점이다. 따라서 유가 영향의 둔화가 석유집약도의 변화에 기인한다면, 그것은 석유집 약도의 크기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석유집약도의 변화 추세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에너지집약도는 2000년대가 1970년대에 비하여 높다. 이는 유가 영향의 둔화가 에너지집약도와는 무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석유집약도는 최근 들어 낮아지고 있지만 타 에너지원의 집약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GDP 백만원을 생산하기 위하여 석유는 적게 사용하고 있지만 전체 에너지 사용이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국 2000년대 유가 충격의 영향 축소는 에너지 이용효율의 향상이 아닌 석유에서 석탄, 가스, 원자력 등 다른 에너지원으로의 대체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유가 상승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유가 상승이 주요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원유가 10% 상승 시 GDP는 0.25%p 감소하고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는 각각 0.03%p, 0.17%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DP에 미치는 영향은 내수부문 보다는 대외부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커서, 내수가 0.21%p 감소하고 순수출이 0.70%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수부문
      번역하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70년대 두 차례 석유위기 이후 1980~90년대 비교적 안정되어 있던 국제 원유가격은 2003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지역 원유 판...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70년대 두 차례 석유위기 이후 1980~90년대 비교적 안정되어 있던 국제 원유가격은 2003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지역 원유 판매가격의 기준인 중동산 두바이유의 연평균 가격은 2002년 $24/배럴에서 2006년 $62/배럴로 2.6배나 상승하였고 2007년 들어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런데 최근 수년간의 원유가격 상승의 양태는 1970년대의 석유위기 때나 1990년 걸프전쟁 때의 그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과거의 급격한 유가 상승은 세계적으로 석유의 소비를 위축시키면서 일정 기간 이후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최근의 유가 상승은 소비 둔화를 유발하지 못하면서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유가 상승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위기를 경험한 이후 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어 왔고, 유가 상승으로 인한 에너지비용의 증가는 경제성장을 위협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계속되는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세계 경제지표는 매우 안정되어 있다.
      이처럼 1980~90년대의 저유가를 거쳐 다시 도래한 ‘新고유가’는 그 양태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의 고유가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고유가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특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新고유가 대응전략」의 제 1차년도 연구로서 신고유가의 원인을 분석하고 유가 상승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신고유가의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유가에 영향을 주는 각종 요인별 검토를 행하였다. 유가 상승의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유가-경제 관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신고 유가의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을 각종 경제지표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어서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여 유가 상승의 주요 거시경제변수에 대한 영향과 업종별 산업생산, 에너지원별 소비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계측 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신고유가에 대한 정부의 정책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및 결과
      먼저 최근 수년간의 유가 상승, 즉 신고유가의 원인은 과거의 고유가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고유가 상황은 대부분 산유국에서의 정치적 불안, 군사적 충돌 및 에너지 공급시설에서의 사고로 인한 석유의 공급교란과 그로 인한 일시ㆍ단기적인 가격의 상승이었다. 이와 같은 공급교란에 의한 급격한 유가 상승은 소비감소를 유발하고 공급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면 가격이 곧바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신고유가 상황은 기본적으로 중국을 비롯한 개도국의 높은 경제성장과 세계 경기회복으로 인한 수요의 급증에 기인한 것이어서 유가 상승이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물론 세계 석유수요 급증의 이면에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여유생산능력 부족이라는 공급측면의 불안이 유가 상승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즉, OPEC의 여유생산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은 공급차질이 발생했을 때 이를 대체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어서 원유구매자들의 우려가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더해 2000년 이후 발생한 일련의 지정학적 사건과 기후 여건도 시기에 따라 유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원유가격 상승의 요인으로서 논란의 대상이 되어온 정제시설 부족과 투기자금의 역할에 대한 본 연구의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제시설 병목 현상이 원유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국제 선물시장에서 정제시설 병목 현상으로 석유제품가격이 상승할 경우 석유제품가격과 원유가격 사이의 가격 스프레드가 급격히 벌어진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투기세력은 고평가된 석유제품을 매도하고 저평가된 원유를 매수하는 투기적 수요가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원유 선물가격도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투기적 요인은 제한적이거나 일시적이다. 또한 공급카르텔인 OPEC이 독점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면 OPEC은 정제능력 부족에 의한 제품가격 인상을 곧바로 원유가격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OPEC이 국제 석유시장에서 원유가격 결정에 독점적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볼 수는 없다.
      투기자금의 역할에 대해서는 선물시장의 구조상 투기자금이 독립적으로 가격상승을 유발할 여지는 미약하다고 판단된다. 현물시장이 불안하면 헷져들이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선물시장에서의 매도를 늘리고, 투기자들은 헷져들의 이러한 위험을 기꺼이 인수하기 위해 매입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가격상승이 반영되는 것일 뿐, 선물시장의 투기자가 독자적인 행동으로 매입을 늘리고 가격상승을 선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실증적 분석에서도 투기자본이 가격을 선도하는 가설은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신고유가의 경제적 영향은 과거 고유가의 경제적 영향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세계경제가 과거에 비해 유가 충격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 이유는 몇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최근의 유가 상승은 1970년대 석유위기 때에 비교하여 완만하게 상승함으로써 가계와 기업이 고유가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하여 경제활동에 대한 피해가 감소하도록 하였다. 둘째, 실질 원유가격은 아직 2차 석유위기 때의 가격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산업구조가 에너지 저소비형으로 이행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세계경제의 에너지 및 석유집약도가 낮아졌다. 넷째, 세계화의 진전으로 제조업 관련 기업이 중국의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여 임금인상 압박이 줄었고 중국이 저렴한 상품을 세계시장에 공급하면서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었다.
      그러나 유가 충격의 경제적 영향을 과소평가하기에는 위험요소가 많다. 그것은 지속적인 유가 상승이 소비심리나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는 경우 불황으로 급격하게 전환될 수 있다는 점I 미국 등에서 가계의 채무부담이 커지고 있어 유가 상승의 소비지출에 대한 영향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중국경제가 위축되면 유가 상승을 초래한 석유수요의 둔화로 석유가격은 하락하겠지만 세계 경제성장의 동력이 제거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우리 경제도 세계경제가 유가 충격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 것과 같은 이유로 신고유가의 경제적 영향이 아직은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지만 에너지집약도나 석유집약도의 감소로 인한 유가 영향의 둔화라는 측면에서는 선진국의 상황과 다소 차이가 있다. 즉, 1970년대의 석유집약도와 2000년대의 석유집약도는 그 크기 면에서 크게 줄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만, 그 추세가 1970년대에는 상승 추세였으나, 2000년대에는 하락 추세라는 점이다. 따라서 유가 영향의 둔화가 석유집약도의 변화에 기인한다면, 그것은 석유집 약도의 크기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석유집약도의 변화 추세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에너지집약도는 2000년대가 1970년대에 비하여 높다. 이는 유가 영향의 둔화가 에너지집약도와는 무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석유집약도는 최근 들어 낮아지고 있지만 타 에너지원의 집약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GDP 백만원을 생산하기 위하여 석유는 적게 사용하고 있지만 전체 에너지 사용이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국 2000년대 유가 충격의 영향 축소는 에너지 이용효율의 향상이 아닌 석유에서 석탄, 가스, 원자력 등 다른 에너지원으로의 대체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유가 상승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유가 상승이 주요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원유가 10% 상승 시 GDP는 0.25%p 감소하고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는 각각 0.03%p, 0.17%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DP에 미치는 영향은 내수부문 보다는 대외부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커서, 내수가 0.21%p 감소하고 순수출이 0.70%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수부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Research Purpose
      After the two oil crises that occurred in the 1970s, the international price of crude oil was relatively stable in the 1980s and 1990s. Since 2003, however, it has begun to increase consistently. The yearly average price of Dubai oil from the Middle East, which is marker price of crude oil in Asian market, including Korea, increased 2.6 times, from US$24/barrel in 2002 to US$62/barrel in 2006, and it has continued to increase in 2007.
      The trend of the skyrocketing price of crude oil in the last several years has a huge difference, however, from the circumstances of the oil crises in the 1970s and the Gulf War in 1990. The rapid rise of the price of oil in the past caused global oil consumption to shrink, and the price of oil fell after some time. The recent rise of the price of oil, however, is not affecting global oil consumption at all and may thus persist for a longer time.
      Meanwhile, the impact on the economy of the recent rise of the price of oil appears to be considerably weaker than that in the past. In the two oil crises that occurred in the 19705,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was considered a major factor in inflation, and the increase of energy expenses due to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was also recognized as the biggest threat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At present, however, despite the continually rising price of oil, the global economic index is very stable.
      As such, the new high-oil-price era, which emerged after the low-oil-price periods in the 1980s and 1990s, is very different from the past high-oil-price period. Their effects on the global economy are likewise different.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ew era should be examined closely so that effective countermeasure strategies could be proposed.
      In its first year, this study on the countermeasure strategies in the new high-oil-price era concentrated on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and its far-reaching effects on the Korean economy. Towards that end, the study investigated various elements that affect the price of oil. Moreover, the effects of the new high-oil-price era on the global and Korean econom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on the oil price-economy relationship and various economic indices. This was followed by a shock simulation, using the macroeconometric model, where the effects of the rising price of oil on the major macroeconomic variables, on industrial production by business, and on energy consumption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a policy direction was proposed for Korea to allow it to cope with the continuing rise of the price of oil.
      2. Major Contents and Results
      The causes of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in the recent several years, or of the new high-ail-price era,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high-ail-price era.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in the past was caused mainly by political instability and limited oil supply due to accidents or military conflicts in and around the energy supply facilities of the oil-producing countries. The resulting rise in the price of oil then was thus temporary and short-term. Furthermore, the rapid rise of the price of oil then led to a global oil consumption reduction, and when the supply reverted to its normal state, the price of oil almost immediately fell. The persistent rise of the oil price during the recent years, however, is fundamentally due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to the soaring demand for oil due to the recovery of the global economy. As such, the rise of the oil price may continue for a long time.
      The current soaring global demand for oil is accompanied by global anxiety on account of OPEC's inability to produce enough oil to meet such global demand. This means that when the amount of oil that is available does not meet the demand, OPEC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provide an alter
      번역하기

      1. Research Purpose After the two oil crises that occurred in the 1970s, the international price of crude oil was relatively stable in the 1980s and 1990s. Since 2003, however, it has begun to increase consistently. The yearly average price of Duba...

      1. Research Purpose
      After the two oil crises that occurred in the 1970s, the international price of crude oil was relatively stable in the 1980s and 1990s. Since 2003, however, it has begun to increase consistently. The yearly average price of Dubai oil from the Middle East, which is marker price of crude oil in Asian market, including Korea, increased 2.6 times, from US$24/barrel in 2002 to US$62/barrel in 2006, and it has continued to increase in 2007.
      The trend of the skyrocketing price of crude oil in the last several years has a huge difference, however, from the circumstances of the oil crises in the 1970s and the Gulf War in 1990. The rapid rise of the price of oil in the past caused global oil consumption to shrink, and the price of oil fell after some time. The recent rise of the price of oil, however, is not affecting global oil consumption at all and may thus persist for a longer time.
      Meanwhile, the impact on the economy of the recent rise of the price of oil appears to be considerably weaker than that in the past. In the two oil crises that occurred in the 19705,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was considered a major factor in inflation, and the increase of energy expenses due to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was also recognized as the biggest threat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At present, however, despite the continually rising price of oil, the global economic index is very stable.
      As such, the new high-oil-price era, which emerged after the low-oil-price periods in the 1980s and 1990s, is very different from the past high-oil-price period. Their effects on the global economy are likewise different.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ew era should be examined closely so that effective countermeasure strategies could be proposed.
      In its first year, this study on the countermeasure strategies in the new high-oil-price era concentrated on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and its far-reaching effects on the Korean economy. Towards that end, the study investigated various elements that affect the price of oil. Moreover, the effects of the new high-oil-price era on the global and Korean econom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on the oil price-economy relationship and various economic indices. This was followed by a shock simulation, using the macroeconometric model, where the effects of the rising price of oil on the major macroeconomic variables, on industrial production by business, and on energy consumption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a policy direction was proposed for Korea to allow it to cope with the continuing rise of the price of oil.
      2. Major Contents and Results
      The causes of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in the recent several years, or of the new high-ail-price era,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high-ail-price era. The rise of the price of oil in the past was caused mainly by political instability and limited oil supply due to accidents or military conflicts in and around the energy supply facilities of the oil-producing countries. The resulting rise in the price of oil then was thus temporary and short-term. Furthermore, the rapid rise of the price of oil then led to a global oil consumption reduction, and when the supply reverted to its normal state, the price of oil almost immediately fell. The persistent rise of the oil price during the recent years, however, is fundamentally due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to the soaring demand for oil due to the recovery of the global economy. As such, the rise of the oil price may continue for a long time.
      The current soaring global demand for oil is accompanied by global anxiety on account of OPEC's inability to produce enough oil to meet such global demand. This means that when the amount of oil that is available does not meet the demand, OPEC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provide an al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원유가격 상승의 원인과 특징
      • Ⅲ. 유가-경제 관계의 이론적 분석
      • Ⅳ. 신고유가의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
      • Ⅴ. 유가 상승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
      • Ⅰ. 서론
      • Ⅱ. 원유가격 상승의 원인과 특징
      • Ⅲ. 유가-경제 관계의 이론적 분석
      • Ⅳ. 신고유가의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
      • Ⅴ. 유가 상승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
      • Ⅵ. 결론
      • 참고문헌
      • 요약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