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제석유상류부문의 M&A 추진동기 및 사후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68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신고유가가 시작된 2004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석유상류 부문(Oil Upstream)의 M&A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그 배경과 원인, 그리고 사후 효과에 대한 연구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의아하게도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석유상류 M&A의 배경과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최근 2년간 발생하였던 대규모 석유상류 M&A들을 선별하여 그 사후 효과를 추정함으로써 석유상류 M&A에 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ㆍ실증적 분석의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최근의 석유자원 경쟁시대에서 우리나라가 고려해야 할 전략적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2. 주요 분석 내용 및 결과
      198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일반산업 M&A와 비교하여 석유상류 M&A 활성화의 배경 요인 및 특징을 정성적으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A의 활성화는 시장붕괴나 경기침체 후에 경기 회복기 상황과 맞물려 발생하였으며, 둘째, 급격한 신용 확대와 주식시장 부양시기와 때를 같이 하였으며, 셋째, 기술 및 금융 혁신 형태의 산업 및 기술 쇼크, 공급 쇼크(유가 쇼크 등), 탈규제, 해외경쟁 증대 등이 M&A를 활성화 시켰으며, 마지막으로 규제변화가 발생할 때(반독점 혹은 인수합병 방어 규제 관련) M&A 거래가 보다 활성화되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위의 네 가지 특징은 일반산업에서의 M&A와 공유하는 것이며, 석유 상류 M&A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요소는 국제유가 등락을 꼽을 수 있다.
      석유상류 M&A와 국제유가와의 관계는 1980년대 중반 명확하게 드러난다. 1985년, 세계 경제가 경기침체에서 벗어나 주식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전체 산업의 M&A 거래가 동반상승하던 시기였던 반면 석유산업 M&A만 유독 하락세로 전개되면서 일반 M&A 상승세와 탈 동조 현상을 보였다. 문제는 1985년 12월 9일, 전체 OPEC 할당량 목표를 맞추면서 시작되었다. 그동안 완충국 역할을 담당하였던 사우디아라비아가 그 역할을 그만두고 잃어버린 시장 점유율 회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 선언하면서 국제유가는 급락하였고 그로 인해 석유산업의 M&A 시장이 크게 위축되었다. 이 후 석유산업의 재편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경제적 동기현상들을 석유시장과 부합되게 해석, 석유상류 M&A의 특징적 요소들로 재정리하였다. 즉, 90년대 이후 유정 회수율 증가를 위한 기술습득 경쟁 및 석유 가격상승으로 인한 석유산업의 환경 호전, 석유수요 급등에 대한 공급확보 경쟁 심화, 규제완화 및 국가 정책적 요인에 의한 국영 석유기업의 거대화, 마지막으로, 전반적 거시경재 환경의 호전 등이 본 보고서가 정리한 석유상류 M&A 활성화의 세부적 배경 요인이다.
      본 보고서는 정성적 분석을 통해 도출한 석유 상류부문의 M&A 특징 및 배경 요인을 수리적 모형으로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비록 일반화된 수리 모형은 아니지만, 신고전 개념을 기반으로 한 구조적 수리분석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석유상류 M&A를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 이론모형 설계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정성적 분석법을 통해 M&A 특징과 동기들을 산발적이고 나열식으로 설명하였다면, 본 보고서는 하나의 수리 모형을 통해 석유상류산업에서의 주요 M&A 특징 및 동기들을 구조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론분석을 통해 알아본 석유상류 M&A의 배경적 요소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본 보고서는 자본시장의 환경, 새로운 기회, 석유 상류 부문의 경쟁도, 미국의 GDP 대비 시가총액, 원유가격, 시추 유정 수, 탐사, 개발 및 시추비용, 산유국 위험지수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석유상류 M&A의 거래규모와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1986년부터 2006년까지의 실증자료를 통한 분석의 결과는 대부분 M&A 이론을 지지하였다. 특징적 주요 결과는, 원유가격의 경우, t-1기의 유가상승이 t기의 M&A 거래수를 상승시켜주는 원인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었으며, t기에 발생하는 M&A의 가치 금액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동기의 원유가격 상승이 절대적임을 보여주었다. 산업의 경쟁도 증가가 M&A 활성화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사실은 t-1기의 시추 수 증가가 t기의 M&A 거래 수 상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로 나온 추정값도 매우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마지막 수행 작업으로서 본 보고서는 과연 석유상류 M&A가 인수기업들에게 경제적 효과를 주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 유무의 검토는 정치ㆍ안보적 목적에 집중된 석유상류 자원확보 전략에 대한 해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존의 M&A 이론모형들(신고전 모형, 경영자 이익추구 모형, 시장타이밍 모형)도 결정을 내릴 수 없었던, 인수기업 가치에 미치는 M&A의 파급효과를 석유상류의 사례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기존 M&A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분석결과에서 한발 더 나아간 수준의 사례별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이벤트 스터디 방법론을 이용하여 추정한 우리의 석유상류 M&A의 경제적 효과 분석의 결과는 ‘M&A는 일반적으로 주가를 상승시킨다’는 일반 통념(Conventional wisdom of M&A effect)과 상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14개의 M&A 거래와 17개 대장 기합들을 통한 분석 결과 Chevron을 비롯한 7건의 M&A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파악되나, ConocoPhillips를 비롯한 7건은 특별한 효과가 없었고, 심지어 Birchcliff Energy와 관련된 M&A는 오히려 부정적인 사후 효과가 발생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본 보고서는 앞서 제시한 수리적 예제를 통해 ‘죄수의 딜레마’적 상황에서 기업가치의 상승이 절대적으로 기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기업들은 M&A 시장에 뛰어들 유인을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가지고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수합병 시장에 있어서 석유 상류산업과 일반산업은 매우 유사한 메카니즘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일반산업에서와 같이 경기진작, 금융시장의 활성화, 신기술 개발, 규제완화 등으로 석유상류 M&A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석유상류기업이 반응하는 M&A 동기는 일반 경제학 틀로도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가 석유 상류산업 진출에 있어 기존에 가졌던 극단적인 정치적ㆍ안보적 시각에서 벗어나 경제적 시각으로도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둘째로, 석유 산업의 진출 시점 및 방법에 대하여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석유상류 부문을 생각할 때 본 보고서는 새로운 유전의 시추 및 개발만을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유가상승과 시추 및 개발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매장량 증가를 위한 노력이, 신규유전 개발에서, 기존 생산유전 확보를 위한 인수합병 쪽으로 옮겨가고 있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의 연구는 이러한 인수합병 참여의 시점에 대해 유가 수급 자체뿐만 아니라, 거시적 차원의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 석유 기업들은, 경영환경이 다소 열악한 상황에서는 자체 구조조정에 노력하면서 때를 기다려, 국제 경제 상황이 호전되는 시점을 틈타 본격적인 확장으로 나서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금융시장의 호전은 산업을 막론하고 M&A 증가에 결정적 영항을 끼친다. 결과론이긴 하지만, 2000년대 초 미국의 메이저 석유기업들의 인수합병이 일어날 때 본 보고서는 향 후 석유시장에서 급격한 변화가 올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을 예상했어야만 하였고, 그에 따를 대규모 자원 확보경쟁에 대한 대비를 했어야 했던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어느 특정 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옳은 것인지, 아니면 어느 특정 석유매장지를 구입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비슷한 규모의 매장량을 가진 석유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답을 내려줄 수는 없다. 추후에 타깃(Targe
      번역하기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신고유가가 시작된 2004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석유상류 부문(Oil Upstream)의 M&A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그 배경과 원인, 그리고 사후 효과에 대한 연구적 관심이 고조...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신고유가가 시작된 2004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석유상류 부문(Oil Upstream)의 M&A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그 배경과 원인, 그리고 사후 효과에 대한 연구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의아하게도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석유상류 M&A의 배경과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최근 2년간 발생하였던 대규모 석유상류 M&A들을 선별하여 그 사후 효과를 추정함으로써 석유상류 M&A에 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ㆍ실증적 분석의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최근의 석유자원 경쟁시대에서 우리나라가 고려해야 할 전략적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2. 주요 분석 내용 및 결과
      198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일반산업 M&A와 비교하여 석유상류 M&A 활성화의 배경 요인 및 특징을 정성적으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A의 활성화는 시장붕괴나 경기침체 후에 경기 회복기 상황과 맞물려 발생하였으며, 둘째, 급격한 신용 확대와 주식시장 부양시기와 때를 같이 하였으며, 셋째, 기술 및 금융 혁신 형태의 산업 및 기술 쇼크, 공급 쇼크(유가 쇼크 등), 탈규제, 해외경쟁 증대 등이 M&A를 활성화 시켰으며, 마지막으로 규제변화가 발생할 때(반독점 혹은 인수합병 방어 규제 관련) M&A 거래가 보다 활성화되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위의 네 가지 특징은 일반산업에서의 M&A와 공유하는 것이며, 석유 상류 M&A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요소는 국제유가 등락을 꼽을 수 있다.
      석유상류 M&A와 국제유가와의 관계는 1980년대 중반 명확하게 드러난다. 1985년, 세계 경제가 경기침체에서 벗어나 주식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전체 산업의 M&A 거래가 동반상승하던 시기였던 반면 석유산업 M&A만 유독 하락세로 전개되면서 일반 M&A 상승세와 탈 동조 현상을 보였다. 문제는 1985년 12월 9일, 전체 OPEC 할당량 목표를 맞추면서 시작되었다. 그동안 완충국 역할을 담당하였던 사우디아라비아가 그 역할을 그만두고 잃어버린 시장 점유율 회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 선언하면서 국제유가는 급락하였고 그로 인해 석유산업의 M&A 시장이 크게 위축되었다. 이 후 석유산업의 재편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경제적 동기현상들을 석유시장과 부합되게 해석, 석유상류 M&A의 특징적 요소들로 재정리하였다. 즉, 90년대 이후 유정 회수율 증가를 위한 기술습득 경쟁 및 석유 가격상승으로 인한 석유산업의 환경 호전, 석유수요 급등에 대한 공급확보 경쟁 심화, 규제완화 및 국가 정책적 요인에 의한 국영 석유기업의 거대화, 마지막으로, 전반적 거시경재 환경의 호전 등이 본 보고서가 정리한 석유상류 M&A 활성화의 세부적 배경 요인이다.
      본 보고서는 정성적 분석을 통해 도출한 석유 상류부문의 M&A 특징 및 배경 요인을 수리적 모형으로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비록 일반화된 수리 모형은 아니지만, 신고전 개념을 기반으로 한 구조적 수리분석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석유상류 M&A를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 이론모형 설계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정성적 분석법을 통해 M&A 특징과 동기들을 산발적이고 나열식으로 설명하였다면, 본 보고서는 하나의 수리 모형을 통해 석유상류산업에서의 주요 M&A 특징 및 동기들을 구조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론분석을 통해 알아본 석유상류 M&A의 배경적 요소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본 보고서는 자본시장의 환경, 새로운 기회, 석유 상류 부문의 경쟁도, 미국의 GDP 대비 시가총액, 원유가격, 시추 유정 수, 탐사, 개발 및 시추비용, 산유국 위험지수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석유상류 M&A의 거래규모와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1986년부터 2006년까지의 실증자료를 통한 분석의 결과는 대부분 M&A 이론을 지지하였다. 특징적 주요 결과는, 원유가격의 경우, t-1기의 유가상승이 t기의 M&A 거래수를 상승시켜주는 원인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었으며, t기에 발생하는 M&A의 가치 금액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동기의 원유가격 상승이 절대적임을 보여주었다. 산업의 경쟁도 증가가 M&A 활성화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사실은 t-1기의 시추 수 증가가 t기의 M&A 거래 수 상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로 나온 추정값도 매우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마지막 수행 작업으로서 본 보고서는 과연 석유상류 M&A가 인수기업들에게 경제적 효과를 주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 유무의 검토는 정치ㆍ안보적 목적에 집중된 석유상류 자원확보 전략에 대한 해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존의 M&A 이론모형들(신고전 모형, 경영자 이익추구 모형, 시장타이밍 모형)도 결정을 내릴 수 없었던, 인수기업 가치에 미치는 M&A의 파급효과를 석유상류의 사례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기존 M&A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분석결과에서 한발 더 나아간 수준의 사례별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이벤트 스터디 방법론을 이용하여 추정한 우리의 석유상류 M&A의 경제적 효과 분석의 결과는 ‘M&A는 일반적으로 주가를 상승시킨다’는 일반 통념(Conventional wisdom of M&A effect)과 상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14개의 M&A 거래와 17개 대장 기합들을 통한 분석 결과 Chevron을 비롯한 7건의 M&A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파악되나, ConocoPhillips를 비롯한 7건은 특별한 효과가 없었고, 심지어 Birchcliff Energy와 관련된 M&A는 오히려 부정적인 사후 효과가 발생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본 보고서는 앞서 제시한 수리적 예제를 통해 ‘죄수의 딜레마’적 상황에서 기업가치의 상승이 절대적으로 기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기업들은 M&A 시장에 뛰어들 유인을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가지고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수합병 시장에 있어서 석유 상류산업과 일반산업은 매우 유사한 메카니즘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일반산업에서와 같이 경기진작, 금융시장의 활성화, 신기술 개발, 규제완화 등으로 석유상류 M&A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석유상류기업이 반응하는 M&A 동기는 일반 경제학 틀로도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가 석유 상류산업 진출에 있어 기존에 가졌던 극단적인 정치적ㆍ안보적 시각에서 벗어나 경제적 시각으로도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둘째로, 석유 산업의 진출 시점 및 방법에 대하여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석유상류 부문을 생각할 때 본 보고서는 새로운 유전의 시추 및 개발만을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유가상승과 시추 및 개발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매장량 증가를 위한 노력이, 신규유전 개발에서, 기존 생산유전 확보를 위한 인수합병 쪽으로 옮겨가고 있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의 연구는 이러한 인수합병 참여의 시점에 대해 유가 수급 자체뿐만 아니라, 거시적 차원의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 석유 기업들은, 경영환경이 다소 열악한 상황에서는 자체 구조조정에 노력하면서 때를 기다려, 국제 경제 상황이 호전되는 시점을 틈타 본격적인 확장으로 나서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금융시장의 호전은 산업을 막론하고 M&A 증가에 결정적 영항을 끼친다. 결과론이긴 하지만, 2000년대 초 미국의 메이저 석유기업들의 인수합병이 일어날 때 본 보고서는 향 후 석유시장에서 급격한 변화가 올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을 예상했어야만 하였고, 그에 따를 대규모 자원 확보경쟁에 대한 대비를 했어야 했던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어느 특정 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옳은 것인지, 아니면 어느 특정 석유매장지를 구입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비슷한 규모의 매장량을 가진 석유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답을 내려줄 수는 없다. 추후에 타깃(Targe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Research Purpose
      Although the public interest in the causes and effects of oil-upstream M&A's as the number of contracts and the volume of the M&A dramatically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04, there are little researches on the fiel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trend,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M&A's in the upstream oil industry and performed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s to find the reasons and incentives of oil-upstream M&A, suggesting several implications for related policies.
      2. Main Analysis and Its Results
      The number of M&A's in general industries has been exhibiting an upward trend in a 10-yearcycle since the mid-1980s for several reasons. For one, M&A was brisk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recovery following the market meltdown due to war or energy crisis and economic depression. Likewise, such increase was in line with the rapid credit expansion and booming stock markets. In addition,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impacts caused by technological and financial innovation, supply impact (oil price impact), deregulation, and intensified overseas competition preceded M&A in many cases. Finally, M&A transactions had been better facilitated when some changes occurred in the regulations (related to anti-monopoly or anti-M&A). The results of analyses on past data were almost consistent with the data on the upstream oil industry. Note, however, that the upstream oil industry shows several differences from general industries.
      The most notable difference is that M&A transactions in all industries boomed in the mid-1980s following the recovery from the world economic depression alongside the rally in the stock market. Still, why was it that only the M&A in the oil industry went in the other direction? The reason for this was thought to be the sluggish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the oil industry compared to that of other general industries. On December 9, 1985, Saudi Arabia vowed to regain its lost market share by ceasing to play its role as a shock absorber that balances OPEC's allocated volume. This announcemen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rude oil market, with oil prices plummeting. This shock resulted in the serious shrinkage of the M&A market in the oil industry.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were classified by combining the various symptoms occurring in the course of restructuring the oil industry. This study then attempted to come up with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anation for such. Those factors were: competition in acquiring technology to increase the collection ratio of oil rigs after the 1990s improving environment of the oil industry due to the oil price increase intensifying competition in securing the supply channel as demand for oil rapidly increased; deregulation of large state-owned oil companies, and overall turnaround of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Explaining the transitional changes of M&A in the upstream oil industry in connection with these factors and making a predictable model were the primary concerns of this study. Although not a standardized model, the proposed model was partly based on the neoclassical model. This study also tried to show that setting up a general, theoretical model for M&A in the upstream oil industry was not impossible by presenting an example of a structural mathematical model. The sample model was able to explain the transitional change in M&A in the oil industry, where external impact cannot be ignored. The biggest advantage of this model is that it can show that there are still driving factors based on the prediction on the profitability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despite the absence of fundamental changes in corporate productivity. In addition, the M&A of one company was shown to be able to stimulate other companies thus, M&A can flourish through the three persons, four cases model Ⅱ even without original productivity increase.
      Variables such as market capitalization compar
      번역하기

      1. Research Purpose Although the public interest in the causes and effects of oil-upstream M&A's as the number of contracts and the volume of the M&A dramatically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04, there are little researches on the field. this study...

      1. Research Purpose
      Although the public interest in the causes and effects of oil-upstream M&A's as the number of contracts and the volume of the M&A dramatically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04, there are little researches on the fiel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trend,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M&A's in the upstream oil industry and performed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s to find the reasons and incentives of oil-upstream M&A, suggesting several implications for related policies.
      2. Main Analysis and Its Results
      The number of M&A's in general industries has been exhibiting an upward trend in a 10-yearcycle since the mid-1980s for several reasons. For one, M&A was brisk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recovery following the market meltdown due to war or energy crisis and economic depression. Likewise, such increase was in line with the rapid credit expansion and booming stock markets. In addition,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impacts caused by technological and financial innovation, supply impact (oil price impact), deregulation, and intensified overseas competition preceded M&A in many cases. Finally, M&A transactions had been better facilitated when some changes occurred in the regulations (related to anti-monopoly or anti-M&A). The results of analyses on past data were almost consistent with the data on the upstream oil industry. Note, however, that the upstream oil industry shows several differences from general industries.
      The most notable difference is that M&A transactions in all industries boomed in the mid-1980s following the recovery from the world economic depression alongside the rally in the stock market. Still, why was it that only the M&A in the oil industry went in the other direction? The reason for this was thought to be the sluggish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the oil industry compared to that of other general industries. On December 9, 1985, Saudi Arabia vowed to regain its lost market share by ceasing to play its role as a shock absorber that balances OPEC's allocated volume. This announcemen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rude oil market, with oil prices plummeting. This shock resulted in the serious shrinkage of the M&A market in the oil industry.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were classified by combining the various symptoms occurring in the course of restructuring the oil industry. This study then attempted to come up with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anation for such. Those factors were: competition in acquiring technology to increase the collection ratio of oil rigs after the 1990s improving environment of the oil industry due to the oil price increase intensifying competition in securing the supply channel as demand for oil rapidly increased; deregulation of large state-owned oil companies, and overall turnaround of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Explaining the transitional changes of M&A in the upstream oil industry in connection with these factors and making a predictable model were the primary concerns of this study. Although not a standardized model, the proposed model was partly based on the neoclassical model. This study also tried to show that setting up a general, theoretical model for M&A in the upstream oil industry was not impossible by presenting an example of a structural mathematical model. The sample model was able to explain the transitional change in M&A in the oil industry, where external impact cannot be ignored. The biggest advantage of this model is that it can show that there are still driving factors based on the prediction on the profitability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despite the absence of fundamental changes in corporate productivity. In addition, the M&A of one company was shown to be able to stimulate other companies thus, M&A can flourish through the three persons, four cases model Ⅱ even without original productivity increase.
      Variables such as market capitalization comp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석유상류 부문 M&A 추이 및 특징
      • Ⅲ. 이론 모형을 통한 석유상류 M&A 이해
      • Ⅳ. 석유상류 M&A의 특징 및 동기의 실증 분석
      •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 Ⅰ. 서론
      • Ⅱ. 석유상류 부문 M&A 추이 및 특징
      • Ⅲ. 이론 모형을 통한 석유상류 M&A 이해
      • Ⅳ. 석유상류 M&A의 특징 및 동기의 실증 분석
      •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 참고문헌
      • 요약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