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인경본의 자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Koryo Tripitaka(高麗大臧經)‘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東亞) Univers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case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 of Dong-A University. this printing-date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is case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 of Dong-A University. this printing-date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since the 1990s. hereby, this printing-date was utilized the source-material that research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Nevertheless, this printing-date was some cases that the source- material was missing or unclear. therefore, the missing source- material can be compensated from these sources. the complementary-data is the digital material of Tripitaka-Koreana- institute(八萬大藏經硏究院) in the Haein(海印)-Temple, the printing- material of the Otani(大谷) University, the printing-material of the Woljeong(月精)-Temple. the supplemented source-material can be used as follows. it i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the restoration of the Goryeo- Dynasty's Annals(高麗王朝實錄), the source material of the cultural content-development,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original woodbloc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인경본에 대한 자료적 가치와 보완방법 및 보완자료의 활용방안을 진단하였다. 1960년대 확보된 함진재 소장의 강화경판 인경본...

      이 글은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인경본에 대한 자료적 가치와 보완방법 및 보완자료의 활용방안을 진단하였다.
      1960년대 확보된 함진재 소장의 강화경판 인경본은 1990년대부터 원천자료의 체계적인 조사․정리작업을 수행하면서 자료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어 주목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해인사 소장 강화경판의 원천자료를 열람할 수 없었으므로,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원천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더구나 1970년대 동국대학교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 영인본 총48책에 비해, 보다 풍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좌․우 변란과 그 외곽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자료와 함께 ‘외장(外藏)’ 자료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함진재 소장 인경본 자료가 연구자료로 활용되면서 상당한 연구성과를 축적하도 하였다. 우선, 강화경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밝히는 원천자료로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학자들이 강화경판을 소위 초조대장경판의 복각판(復刻板)으로 파악한 문화적 정체성(停滯性) 등을 극복하는 원천자료로 활용하여 역사․문화적 객관성을 바로잡았다.
      다음으로, 조성사업의 주체와 목적에 대한 역사 실체를 객관적으로 정립하는 자료로도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역사학자와 해방 이후 한국 연구자들이 강화경판의 조성주체․목적과 조성공간의 위치 및 참여자의 범위를 최씨무인정권과 연계시켜 축소․평가한 이해방식을 객관적으로 바로잡는 데 함진재 소장의 원천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내용을 새롭게 밝히는 원천자료로도 활용되었다. 그 결과, 대장․분사도감의 운영조직체계와 역할, 그 산하의 판각공간, 분사도감의 위치 등이 구체적으로 탐색되었고, 조성사업 참여자들의 다양한 출신성분과 그들의 현실인식 등도 새롭게 밝히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1960년대 인출 당시 인경 전문가의 제한적 인식, 개별 경판의 마모나 훼손 등으로 원천자료가 누락되거나 불명확하게 인경된 경우도 있다. 특히 좌․우 변란의 밖이나 그 외곽 부분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공방(工房) 자료의 상당수도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누락된 원천자료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소장의 디지털자료를 원천텍스트로 삼고, 우왕 7년(1381) 인출된 일본 오오타니(大谷)대학 소장본의 자료집, 조선 고종 2년(1865)에 인출된 월정사 소장 인경본의 사진자료 등을 교차적으로 활용하여 보완할 수 있다. 보완된 자료는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고려왕조실록의 복원,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의 원천소스, 마모․훼손된 원판의 복원, 원판과 후대 보각판의 진위여부 진단 등 다양한 영역에도 활용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2 金光哲, "한국 역사학계의 회고와 전망 : 1998-고려-" 163 : 1999

      3 朴相國, "대장도감과 고려대장경판" 국사편찬위원회 21 : 1996

      4 채상식, "고려후기 불교사 연구 현황과 과제" 12 : 1998

      5 배상현, "고려시기 晉州牧 지역의 寺院과 佛典의 조성 -分司 南海大臟都람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72 : 1-39, 2003

      6 "고려사"

      7 馬場久幸, "고려대장경이 일본불교에 미친 영향" 원광대학교 2008

      8 金潤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불교시대사 2002

      9 "고려대장경연구소"

      10 최연주, "고려대장경 연구" 경인문화사 2006

      1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2 金光哲, "한국 역사학계의 회고와 전망 : 1998-고려-" 163 : 1999

      3 朴相國, "대장도감과 고려대장경판" 국사편찬위원회 21 : 1996

      4 채상식, "고려후기 불교사 연구 현황과 과제" 12 : 1998

      5 배상현, "고려시기 晉州牧 지역의 寺院과 佛典의 조성 -分司 南海大臟都람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72 : 1-39, 2003

      6 "고려사"

      7 馬場久幸, "고려대장경이 일본불교에 미친 영향" 원광대학교 2008

      8 金潤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불교시대사 2002

      9 "고려대장경연구소"

      10 최연주, "고려대장경 연구" 경인문화사 2006

      11 閔賢九, "高麗의 對蒙抗爭과 大藏經" 1 : 1978

      12 許興植, "高麗高宗官版大藏經의 造成經緯와 思想性" 13 : 1990

      13 許興植, "高麗高宗官版大藏經補板의 範圍와 思想性, In 美術史學論叢, 蕉雨黃壽永博士古稀紀念" 1988

      14 黃壽永, "高麗禪源寺址發見과 高麗大藏經板의 由來" 동국대학교 강화도학술조사단 1977

      15 池內宏, "高麗朝の大藏經(下)" 14 (14): 1924

      16 洪榮義, "高麗後期大藏都監刊『鄕藥救急方』의 刊行經緯와 資料性格, In 韓國史學史硏究, 于松趙東杰先生停年紀念論叢Ⅰ" 1997

      17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일조각 1991

      18 金甲周, "高麗大藏都監硏究" 영취불교문화연구원 (창간) : 1990

      19 金潤坤, "高麗大藏經의 造成機構와 刻手의 成分, In 民族史의 展開와 그文化 상, 碧史李佑成敎授停年退職紀念" 1990

      20 文暻鉉, "高麗大藏經雕造의 史的考察, In 佛敎와 歷史, 李箕永博士古稀紀念論叢" 1991

      21 김윤곤, "高麗大藏經彫成名錄集"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1

      22 "高麗大藏經"

      23 최영호, "高麗國大藏都監의 조직체계와 역할" 한국중세사학회 (31) : 337-370, 2011

      24 金潤坤, "高麗國分司大藏都監과 布施階層"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6 : 1996

      25 千惠鳳, "高麗典籍의 集散에 관한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 : 2000

      26 채웅석, "韓國歷史學界의 回顧와 展望2000~2001 : 고려" 175 : 2002

      27 李基白, "韓國上代古文書資料集成" 일지사 1987

      28 池內宏, "滿鮮史硏究, 中世2" 吉川弘文館 1937

      29 朴相國, "海外典籍文化財調査目錄-日本大谷大學所藏高麗大藏經-"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30 崔永好, "海印寺에 소장된 江華京板『高麗大藏經』의 ‘外藏’ 연구(Ⅱ)-高麗經板의 조성성격" 22 : 2012

      31 최영호, "海印寺에 소장된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外藏’ 연구(Ⅰ) - 高麗經板의 조성시기 재검토" 석당학술원 (53) : 279-315, 2012

      32 崔永好, "海印寺所藏本『大藏一覽集』刻成時期의 재검토와 판각의 현실관" 6 : 1999

      33 崔永好, "海印寺所藏本『大方廣佛華嚴經疏』․『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의 판각성격" 4 : 1997

      34 吳龍燮, "江都시기에 완성한 高麗大藏經의 의미와 제 문제" 인천시립박물관 2 : 2004

      35 최영호, "江華京板高麗大藏經의 연구현황과 문화콘텐츠 개발방향" 경남발전연구원 116 : 2011

      36 韓基汶, "江華京板高麗大藏經소재 均如의 著述과 思想" 4 : 1997

      37 최영호,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판각사업 연구" 경인문화사 2008

      38 최영호,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판각공간과 海印寺의 역할"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1 (21): 31-62, 2012

      39 최연주, "江華京板 高麗大藏經 각성인과 도감의 운영 형태" 부산경남사학회 (57) : 57-85, 2005

      40 최영호,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조성사업에 대한 근대 100년의 연구사 쟁점" 석당학술원 (44) : 135-165, 2009

      41 김방울, "月精寺所藏高麗再彫大藏經印經本에 대하여" 한국서지학회 31 : 2007

      42 兪瑩淑, "崔氏武人政權과 曹溪宗" 33 : 1986

      43 朴相國, "大藏都監의 板刻性格과 禪源寺問題, In 韓國佛敎文化思想史(上), 伽山李智冠스님華甲紀念論叢" 1992

      44 文明大, "大藏都監禪源寺址의 發見과 高麗大藏經板의 由來" 3 : 1976

      45 安啓賢, "大藏經의 雕板" 국사편찬위원회 6 : 1975

      46 常盤大定, "大藏經彫印攷" 28 (28): 1913

      47 李智冠, "大藏經傳來및 再雕本印經考, In 韓國佛敎文化思想史(上), 伽山李智冠스님華甲紀念論叢" 1992

      48 "印經回向文"

      49 최연주, "修禪社와 강화경판《고려대장경》彫成" 대구사학회 81 : 35-62, 2005

      50 李智冠, "伽倻山海印寺誌" 伽山文庫 1992

      51 金相永, "一然과 再造大藏經補板" 중앙승가대학 2 : 1993

      52 金晧東, "『禪門拈頌』과 眞覺國師慧諶" 18 : 1998

      53 崔永好, "『江華京板高麗大藏經』邊界線소재 인명의 판각사업 참여형태" 한국중세사학회 2 : 1995

      54 金潤坤․金晧東, "『江華京板高麗大藏經』 刻成活動의 參與階層" 3 : 1996

      55 최영호, "『江華京板』『高麗大藏經』의 조성기구와 판각공간" 세종문화사 2009

      56 金聖洙, "13世紀前期刊行佛書의 分析" 27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