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량 구조물의 구조형식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량 구조형식은 Girder교 형식이다. 이러한 Girder교의 설계에 있어서 Girder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재의 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93813
2001
Korean
504.000
학술저널
45-5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량 구조물의 구조형식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량 구조형식은 Girder교 형식이다. 이러한 Girder교의 설계에 있어서 Girder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재의 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량 구조물의 구조형식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량 구조형식은 Girder교 형식이다. 이러한 Girder교의 설계에 있어서 Girder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재의 설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Girder의 제작 과정에서 보강재의 부착을 위한 용접에 의해 인장 및 압축 잔류응력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휨에 의한 압축력을 받는 Girder교에 있어 압축 잔류응력은 구조물의 내하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Girder의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용접 잔류응력을 고려한 구조물의 내하력 평가가 필요하고, 보강재 용접에 의한 용접 잔류응력이 구조물의 내하력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Girder와 Box Girder에 대한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보강재 제작시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용접에 의한 잔류응력이 보강재가 있는 Girder교의 내하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irder bridge is the one of structural types which are being used in general. It is need to design stiffener for increasing stiffness of girder when we design girder bridge. But compressive and tensile residual stresses are generated necessarily b...
The girder bridge is the one of structural types which are being used in general. It is need to design stiffener for increasing stiffness of girder when we design girder bridge. But compressive and tensile residual stresses are generated necessarily by welding for attaching stiffener, and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s a cause of decreasing strength of girder bridge which compression force is being acted by bending. So it is need to evaluate load carrying capacity of structure which is considering welding residual stress. And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effect of welding residual stress on strength of structure.
So this study made clear effect of welding residual stress on load carrying capacity characteristic of the girder which have the stiffener through the FEM analysis about I-Girder and Box Girder.
폐콘크리트 재생세골재를 통한 매립지 침출수의 인 및 색도 제거 특성
SOC 건설사업의 사업금융기법 및 금융투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