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간 병상수급 불균형이 가용성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 : 다수준분석과 패널분석을 이용하여 = The Effect of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of Hospital Beds Between Regions on Availability Related Unmet Medical Needs : Using multilevel analysis and pane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707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병상수급 불균형이 가용성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병상 배분을 위한 정책제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만 18세 이상 성인과 70개 중진료권을 ...

      목적: 병상수급 불균형이 가용성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병상 배분을 위한 정책제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만 18세 이상 성인과 70개 중진료권을 대상으로 병상수급의 불균형과 연도별 변화, 가용성 미충족 의료의 성, 연령, 지역별 격차와 추이를 파악하였다. 병상수급 불균형이 가용성 미충족 의료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수준 분석과 7년간 지역 통계를 이용한 패널 분석을 하였다. 결과: 가용병상은 필요 병상보다 약 1.2배 많았으며, 지난 7년간 필요 병상과 가용병상 이 모두 증가하였다. 병상공급 과잉지역은 감소하나 부족 지역은 증가하는 양상이다. 시 간이 지남에 따라 가용성 미충족 의료는 감소했지만, 지역 간 상대격차는 커졌다. 다수 준 분석결과, 중년에는 개인, 가구, 지역 요인을 통제했음에도 병상공급이 부족하거나 (OR=1.27) 과잉(OR=1.22)인 지역이 적정한 지역에 비해 가용성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패널 분석에서는 병상수급이 적절한 지역에 비해 부족(β =0.119, p=0.019)이거나 과잉(β=0.106, p=0.012)인 지역에서 가용성 미충족 의료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병상 부족이나 과잉과 같은 수급 불균형이 가용성 미충족 의료 증가의 결정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병상수급계획 수립의 주체인 정부 는 병상 수요에 따라 적절한 공급 수준을 진단하고 의료자원의 균형적 배분을 보장하여 지역 간 미충족 의료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ly-demand imbalance of hospital beds and the impact of bed availability on unmet medical needs, thereby providing a basis for policy recommendations for appropriate bed 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ly-demand imbalance of hospital beds and the impact of bed availability on unmet medical needs, thereby providing a basis for policy recommendations for appropriate bed allocation. Methods: The imbalance and yearly changes in bed supply and demand, and gender, age, and regional disparities and trends in unmet medical needs were identified for adults aged 18 years and older and 70 medical service regions. To determine the impact of regional imbalances in bed supply and demand on unmet medical needs, we conducted a multilevel analysis and a panel analysis using 7 years of regional statistics. Results: The number of available beds was approximately 1.2 times greater than the number of needed beds, and both the number of needed and available beds increased quantitatively over the past seven years. The number of oversupplied regions is decreasing, but the number of undersupplied regions is increasing. While unmet medical needs have decreased over time, relative disparities between regions have increased. In multilevel analyses, in middle age, people in regions with insufficient (OR=1.27) or excess (OR=1.22) bed capacity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medical needs than those with adequate capacity,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household, and regional factors. In panel analysis, the rate of unmet medical nee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reas with either a shortage (β=0.119, p=0.019) or surplus (β=0.106, p=0.012) compared to areas with an adequate supply of hospital beds.
      Conclusion: We found that supply and demand imbalances, such as bed shortages or surpluses, are determinants of increased unmet medical needs. Based on this, the government, which is the main body of bed supply planning, should diagnose the appropriate supply level according to the demand for beds and ensure a balanced allocation of medical resources to reduce the disparity of unmet medical needs between reg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