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MeFOT을 활용한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 활동이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Page-Break Activities for Picture Books by MeFOT on Preschooler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32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ffect of page-break activities for picture books by MeFOT has on preschooler creativity and difference in that activities according to those preschooler gender,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ffect of page-break activities for picture books by MeFOT has on preschooler creativity and difference in that activities according to those preschooler gender,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45 young children. The device used to measure those preschooler creativity is the Korean TTCT(Figure) B, an adaptation by Kim Young Chae(2002) of the Torrance Test Creativity Thinking (TTCT, revised in 1990) which was developed by Torrance(1962). MeFOT is the initials of metacognitive four operations thinking that is a compound word, and is a thinking training program that was designed by Park Young-tae to foster creativity. That denotes metacognitive four operations thinking that combines temporal thinking and spatial thinking, which respectively implies the flow of thinking and focuses on coming up with new ideas. There are five different stages in it: question making, information creation, information association, information sophistica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e page-break activities for picture books refer to imagining what is likely to happen between pages of a picture book, namely what is likely to be omitted in the book, and expressing it in drawing or writing. The study started with the teacher training, followed by the pre-test, 6-week experimental treatments and the post-test in orde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ge-break activities for picture books by MeFOT is effective in improving younger preschooler creativity as a whole and its sub-areas, or fluency, originality and elaborateness. Second, the effect of page-break activities for picture books by MeFOT on younger preschooler creativity as a whole and its sub-areas, or fluency, originality and elaborateness are equal, irrespective of those preschooler gen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MeFOT을 활용한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나아가 그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유아 45명을 대...

      본 연구는 MeFOT을 활용한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나아가 그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유아 45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Torrance(1962) 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Torrance Test Creative Thinking: TTCT. 1990년 개정판)를 김영채(2001)가 편역한 한국판 TTCT(도형) B형을 사용하였다. MeFOT은 Metacognitive Four Operations Thinking(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의 첫 자를 따서 만든 합성어이며, 박영태가 고안한 창의성 함양을 위한 사고훈련 프로그램으로 사고의 흐름에 따른 시간적 사고와 아이디어의 산출에 중점을 둔 공간적 사고가 결합된 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방법을 말하며 질문생성, 정보생성, 정보연상, 정보정교화, 정보수용의 5단계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 활동이란 그림책의 책장을 넘기면서나타나는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의 틈새, 즉 이야기의 생략된 부분을 상상하여그림이나 글로 완성하는 활동이다. 연구절차는 교사훈련, 사전검사, 6주간의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eFOT을 활용한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특히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에 효과적이다. 둘째, MeFOT을활용한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특히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현주, "프로젝트접근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허지영, "프로젝트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0

      3 박 윤,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4 차명은, "통합적 접근법에 의한 유아 미술활동의 효율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 이진이, "통합적 미술교육 접근법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6 이나영, "통합적 미술감상활동 시의 교사의 확산적 질문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2001

      7 조윤영, "컴퓨터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03

      8 석승희, "컴퓨터를 활용한 CoRT 사고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대학원 1999

      9 김은영, "컴퓨터 활동에 대한 흥미와 개방적 소프트웨어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10 김옥민, "컴퓨터 동화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사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11 이수희, "컴퓨터 CD-ROM을 활용한 연관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2 권민경, "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훈련에서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3 이현숙, "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홍미현, "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15 윤영선, "초인지-사칙연산에서 지식망 및 나열식 사고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6 최종봉, "초등학교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7 김영채, "창의적 문제 해결 :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2001

      18 박영태, "창의성의 별" 학지사 2002

      19 박영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창지사 2008

      20 차미정,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방법, 교사훈련 여부가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0

      21 윤영남, "종이 조형 활동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종이접기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2 윤현용,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교육대학원 2005

      23 박기숙, "유아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사고 요소 유형별 발문 전략" 98 : 156-174, 2001

      24 홍순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정서발달에 관한 연구 = 발달적 특성과 그 지도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 1998

      25 예지현, "유아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창의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4 : 45-64, 2000

      26 김춘일, "유아를 위한 창의성 교육" 교육과학사 2000

      27 권미숙, "유아 컴퓨터 활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창의성 신장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8 김용현, "유아 수학용 컴퓨터 소프트웨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9 조일선,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30 차주연, "여섯 색깔 모자 기법을 적용한 학습이 아동의 창의성과 언어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1 김춘화, "아동의 창의력 계발을 위한 표현작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2

      32 이명희, "심리적 기질 유형에 따른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33 이선희, "신문을 활용한 꾸미기·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4 김효진, "소집단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35 김은정, "발상법을 통한 그림표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36 지두현,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37 이고은, "미술교육에서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과 창의성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8 노경숙, "문학적 접근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21 : 195-216, 2000

      39 김지미, "문제해결을 위한 그림표현 활동방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40 정수정,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1 문원자, "매체유형과 사고유형에 따른 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4

      42 이춘희, "동화제시 및 질문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동화구조이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43 박수정, "동화재구성 활동이 유아의 동화재구성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44 김도진, "동화와 음악활동 중심의 유아의 창의성 프로그램의 창의성 증진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45 박정순, "동화애니매이션을 이용한 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46 이윤희, "동화를 활용한 유아의 창의성 증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47 박명희, "동화를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8 유정희, "동화 프로젝트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9 김성욱, "동화 재구성 활동을 통한 창의적 표현 능력 신장 방안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0 허근, "동화 읽어주기에 있어서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른 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1 박유미, "동화 들려주기에서 토의 활동시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3

      52 이은영, "동기화 방법이 유아의 미술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3 신경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활동과 후속이야기짓기가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4 정수진, "글 없는 그림책 활용 활동과 컴퓨터 연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5 김지연, "글 없는 그림책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6 김영실, "그림책의 페이지브레이크에 대한 만 4세·5세 유아의 언어적 반응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87-308, 2010

      57 송주진,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58 김수향,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59 변윤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및 유아 창의성 루브릭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60 조현숙,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6

      61 오정은, "그림책을 통한 후속이야기짓기가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4

      62 송명기, "그림자료를 활용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하기 위한 쓰기 지도 방안"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3 박현선, "그림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64 신수영,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0

      65 김준규, "과학탐구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지각적 충실도와 조언이 유아의 과제성취도 및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66 하수연, "WBI에서 초인지-사칙연산적 사고교육과 피드백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3

      67 Lubart, T. I.,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289-332, 1994

      68 Piaget,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orton 1962

      69 Torrance, E. P., "Manual for scoring and interpreting results: Torre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Verbal A, B)"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1990

      70 Torrance, E. P., "Guiding creative talent" prentice-Hall 1962

      71 Cropley, A. J., "Foste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Ablex 1992

      72 Torrance, E. P.,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The University of Minneapolis Press 1963

      73 Meeker, M., "Divergent production sourcebook" SOI Institute 1973

      74 Osborn, A. F.,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Scribner's 1963

      75 Sternberg, R. J., "Answering question and questing answer" 76 (76): 136-138,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7-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지발달지원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 Mediation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 1.298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