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의 재고 =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in the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0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호 외, "현대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1

      2 정종진, "학교학습의 극대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2004

      3 유영희, "창조적 글쓰기와 문학교육 평가"

      4 김주언, "종합적인 사고 행위로서의 창의적 글쓰기 방법 시론-대학에서의 실제 글쓰기 교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79-103, 2006

      5 박정하, "인문 교육의 근본 : 글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 철학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4 (14): 51-61, 2003

      6 김민정,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과 운영에 대한 연구" 34 : 2007

      7 오명선, "이공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수법의 방향" 34 (34): 2006

      8 박권수, "이공계 과학글쓰기 교육을 위한 강의 모형" 2 : 2006

      9 신선경, "의과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2 : 2006

      10 이황직, "사회과학 글쓰기의 논리와 과제" 2 : 2006

      1 강승호 외, "현대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1

      2 정종진, "학교학습의 극대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2004

      3 유영희, "창조적 글쓰기와 문학교육 평가"

      4 김주언, "종합적인 사고 행위로서의 창의적 글쓰기 방법 시론-대학에서의 실제 글쓰기 교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79-103, 2006

      5 박정하, "인문 교육의 근본 : 글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 철학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4 (14): 51-61, 2003

      6 김민정,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과 운영에 대한 연구" 34 : 2007

      7 오명선, "이공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수법의 방향" 34 (34): 2006

      8 박권수, "이공계 과학글쓰기 교육을 위한 강의 모형" 2 : 2006

      9 신선경, "의과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2 : 2006

      10 이황직, "사회과학 글쓰기의 논리와 과제" 2 : 2006

      11 우한용, "문학교육의 평가"

      12 박민미, "대학의 글쓰기 교재 비교 연구" 14 : 2006

      13 서정혁, "대학의 교양교육과 글쓰기 교육" (15) : 2006

      14 원만희,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의 위상과 ‘학술적 글쓰기’ 모델" (65) : 2005

      15 심보경, "대학생의 글쓰기 실태조사와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2006

      16 원진숙,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51 : 2005

      17 황성근, "대학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지도 방안"

      18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19 이정옥,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20 구자황?,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53 : 2007

      21 최상민,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전남대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62 (62): 183-206, 2007

      22 박정하, "논리적?비판적 사고’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54) : 2002

      23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학사 2006

      24 곽재용, "글쓰기 10단계 수행평가" 27 : 2000

      25 이광모, "글(쓰기) 평가규범의 해석학적 근거" 15 : 2005

      26 C.Coffin ect., "TEACHING ACADEMIC WRIT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