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음악적성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음악적성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음악적성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음악적성은 어떠한가?
1-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어떠한가?
1-2. 유아의 성별에 따라 음악적 흥미가 어떠한가?
1-3. 유아의 성별에 따라 음악적성이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음악적성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 5세 담임교사 31명과 만 5세 유아 4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윤지영(2014)이 개발한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척도’와 김향숙(2016)이 개발한 ‘유아의 음악적 흥미 측정척도’ 그리고 Gordon(1979)이 개발한 PMMA를 이헬렌(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음악적 흥미 및 음악적성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음악적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평균 2.86으로 조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교사의 학력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교사의 연령과 경력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음악적 흥미는 유의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음악적성을 살펴보면 하위요인인 리듬감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음악적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이 높을수록 유아의 음악적 흥미, 음악적성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음악적성이 유아의 음악발달에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 세 변인이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들이 성장하는데 효과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유아의 음악 능력 향상에도 효과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