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과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초등돌봄전담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따른 초등돌봄프로그램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29241
2021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과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초등돌봄전담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따른 초등돌봄프로그램의 ...
본 연구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과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초등돌봄전담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따른 초등돌봄프로그램의 질적제고의 기초자료 마련 및 초등돌봄교실의 질적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교육청 소속 초등돌봄교실에서 오후돌봄을 운영하는 초등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전자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2.0의 통계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KMO와 Bartlett검증),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수는 주당 3개이며, 체육・음악・미술과 관련된 예체능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으로는‘무상프로그램의 필요성, 돌봄학생의 특기와 재능개발 도움, 인성과 창의성 함양 도움, 사교육비 절감 도움, 초등돌봄 운영 취지 도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그 외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으로는‘돌봄프로그램 질 저하, 초등돌봄전담사 역할에 대한 모호성, 초등돌봄 운영취지’그리고 ‘수요자 요구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무상프로그램만의 운영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수익자 부담과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혼합운영에 대하여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초등돌봄전담사가 프로그램의 기획 및 관리의 주체자가 되어야 하며 초등돌봄전담사의 전문성 향상이 초등돌봄교실의 질적 서비스 향상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mentary care free program and the awareness of the elementary care specialist, and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care programs and the quality of elemen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mentary care free program and the awareness of the elementary care specialist, and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care programs and the quality of elementary care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care practitioners operating afternoon care classes in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KMO and Bartlett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ree elementary care programs per week is three, and that sports, music, and art-related arts programs are mainly operated. The perception of free primary care program management was positive about the need for free programs, helping care students develop their talents and talents, helping to foster personality and creativity, reducing private education costs, and other problems were decreasing quality of care programs, ambiguous purpose of primary care and dem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ositively recognized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program, but for the mixed operation of the free program, the burden of beneficiaries and the free program were negatively recognized. This requires policy support because elementary care professionals should be in charge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elementary care professionals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services in elementary care class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혜전,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비교 -출발배경, 운영형태, 참여규모에서-"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327-354, 2018
2 조은교, "한국 방과후 보육정책의 비교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3 조영희,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139-157, 2012
4 박진수,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김민정,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의 운영실태와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내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김귀진,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최혜경,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양윤이, "초등돌봄교실의 운영 영역별 지향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11-228, 2016
9 박주희, "초등돌봄교실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운영현황 인식비교" 한국교원대학교 2019
10 고모현, "초등돌봄교실의 무용활동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서울문화재단 예술로 돌봄사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7
1 서혜전,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비교 -출발배경, 운영형태, 참여규모에서-"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327-354, 2018
2 조은교, "한국 방과후 보육정책의 비교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3 조영희,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139-157, 2012
4 박진수,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김민정,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의 운영실태와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내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김귀진,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최혜경,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양윤이, "초등돌봄교실의 운영 영역별 지향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11-228, 2016
9 박주희, "초등돌봄교실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운영현황 인식비교" 한국교원대학교 2019
10 고모현, "초등돌봄교실의 무용활동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서울문화재단 예술로 돌봄사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7
11 정영모, "초등돌봄교실 질 진단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2017
12 오시영, "초등돌봄교실 전담사의 직무분석" 숭실대학교 2017
13 김민정, "초등돌봄교실 운영 실태와 업무 담당자의 인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2015
14 노성향, "초등돌봄 연구 경향 분석" 13 (13): 55-74, 2016
15 유인혜, "청소년의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참여양상과 의미에 대한 사례연구" 공주교육대학교 2018
16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홈페이지"
17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2017
18 박항아, "일본의 방과후 프로그램(학동보육)에 관한 연구" 1996
19 김수동, "외국의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 정책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 일본,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회 13 (13): 103-125, 2008
20 김재인, "스웨덴과 일본의 방과후 아동보육제도 비교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111-148, 2005
21 최지춘, "사회복지기관의 방과 후 아동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22 백순회, "방과후학교 초등보육교실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23 문홍남,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24 조미숙, "방과후 교육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 스웨덴, 독일, 미국, 일본" 교육연구소 12 : 33-74, 2006
25 윤현희, "방과 후 아동지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의 방과 후 아동지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8
26 이경희, "미국의 방과후 프로그램" 8 (8): 85-103, 2003
2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내외 방과후 교육활동 사례 수집 및 분석・유형화" 2004
28 임양미, "경기도 ‘종일 초등 보육(edu-care)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 6 (6): 91-117, 2010
29 교육부, "2019학년도 신학기 초등돌봄교실 운영 방안" 2019
30 한국교육개발원, "2019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2019
31 대전광역시교육청, "2015학년도 초등돌봄교실 운영계획" 2015
32 교육부, "2015 방과후 돌봄서비스 연계 체제 구축・운영 매뉴얼" 2015
33 보건복지부, "2011년도 아동분야 사업안내"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한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 분석
수업분석(컨설팅) 사례 기반 연구 - H대학교 수업촬영분석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