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를 적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 Study on Jewelry Design Applying Formative Principle in Fractal Geom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3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신구는 과거에 권력과 주술을 상징하는 수단에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미적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개성 표현의 수단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으며 오랜 세월동안 인간과 함께한 역사...

      장신구는 과거에 권력과 주술을 상징하는 수단에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미적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개성 표현의 수단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으며 오랜 세월동안 인간과 함께한 역사성이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장신구를 선호하게 되면서 조형성이 강조되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신구 디자인의 새로운 조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조형원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조형원리는 자연을 모티브로 하며, 다양한 조형성 도출이 가능한 자연 속의 프랙탈 현상을 선택하였다. 프랙탈 이론은 현대에 이르러서야 컴퓨터의 발달로 체계가 잡혀, 막연한 존재였던 자연 현상이 분석과 설명이 되면서 여러 분야에 활용되었다. 예술은 현시대를 반영하기에, 현대의 첨단과학이 발견한 자연 현상의 새로운 조형형태를 디자인으로 발전시킬 당위성을 갖는다. 새로운 조형원리를 위해 이론적 바탕으로는 프랙탈 기하학의 이론과 조형원리를 살펴보았다. 이론은 만델브로, 쥘리아 집합 등을 통해 정리하고,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성(자기유사성, 불규칙성, 비선형성)과 그 속에 있는 조형원리(반복, 중첩, 왜곡)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프랙탈 기하학이 현시대에서 응용되는 사례를 정리하였고. 또 장신구 디자인에 활용된 사례들을 찾아 분석하여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여기서 고찰한 조형적인 특성들을 새로운 장신구 제작에 응용할 수 있도록 개념과 조형적 효과를 정리하였다. 프랙탈 기하학은 자연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였으나, 다양하고 독특한 조형성으로 인해 장신구 제작에서 디자인의 모티브 역할을 충분히 한다. 인간의 미적욕구가 사라지지 않는 한, 장신구는 조형예술로서 계속된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하여 새로운 조형개념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 창출을 시도하고 제작자가 이를 수용할 것을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welry were used as a means to symbolize power or incantation in the past, but now, the meaning of them has been extended and they are used to satisfy our aesthetic needs and exhibit our personality. Historically, they have been with human beings for...

      Jewelry were used as a means to symbolize power or incantation in the past, but now, the meaning of them has been extended and they are used to satisfy our aesthetic needs and exhibit our personality. Historically, they have been with human beings for a long period. Particularly, today, users prefer jewelry fitting their taste, and formativity has become emphasized. Here, this study is going to present new formative principle in order to enhance new formativity in jewelry design. Formative principle takes nature as its motif and has selected fractal phenomena within nature from which a variety of formativities can be extracted. In this age, fractal theories have come to obtain the system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Natural phenomena deemed to be obscure previously have come to be used in many areas being analyzed and explained. Since art reflects the time, it has the appropriateness to develop the new forms of natural phenomena discovered by advanced science in this age into some sort of design. For new formative principle, this author examined as theoretical grounds the fractal theories and formative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This researcher arranged fractal theories with Mandelbrot and Julia sets and analyzed formativity in fractal geometry (self-similarity, irregularity, nonlinearity) and formative principle within that (repetition, overlapping, distortion) to discover the effects of expression, for example, unity, stability, dynamism, and space creation. This study found and analyzed the cases applying it to formative works and jewelry design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design. To app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considered here to designing new jewelry, this author arranged the concepts and formative effects. Although fractal geometry analyzed and explored nature mathematically, for its diverse and unique formativity, it plays enough roles as a motif in designing jewelry. Unless humans’ aesthetic needs disappear, jewelry need constant changes as formative arts. This author expects that with new formative concept, designs will be tried diversely, and producers will accept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성
      • Ⅲ.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 적용가능성 연구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성
      • Ⅲ.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 적용가능성 연구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경, "프랙탈의 기초" 교우사 2017

      2 윤수진, "프랙탈(Fractal)기하학의 이미지를 응용한 금속 조형 연구"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0

      3 김미진, "프랙탈 조형원리를 이용한 옵티컬 패턴의 주얼리 디자인 연구" 가야대학교 대학원 2011

      4 문소정, "프랙탈 원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5 최호영,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연구" 목원대학교 2016

      6 김희수, "프랙탈 기하학(Fractal Geometry)의 이해와 디자인에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5

      7 이진경, "프랙탈 기하학 조형원리를 적용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국립공원 탐방안내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8 나이절 레스므와 고든, "프랙탈 기하학" 김영사 2008

      9 심광현, "프랙탈" 현실문화연구 2005

      10 김승환, "프랙탈" 공간 1993

      1 김인경, "프랙탈의 기초" 교우사 2017

      2 윤수진, "프랙탈(Fractal)기하학의 이미지를 응용한 금속 조형 연구"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0

      3 김미진, "프랙탈 조형원리를 이용한 옵티컬 패턴의 주얼리 디자인 연구" 가야대학교 대학원 2011

      4 문소정, "프랙탈 원리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5 최호영,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연구" 목원대학교 2016

      6 김희수, "프랙탈 기하학(Fractal Geometry)의 이해와 디자인에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5

      7 이진경, "프랙탈 기하학 조형원리를 적용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국립공원 탐방안내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8 나이절 레스므와 고든, "프랙탈 기하학" 김영사 2008

      9 심광현, "프랙탈" 현실문화연구 2005

      10 김승환, "프랙탈" 공간 1993

      11 세르지 살라, "폴앙드류 : 비선형적 거대도시" 포럼 1991

      12 James Gleick, "카오스" 동문사 1994

      13 조선영, "지역사회공동체(community)로서의 교회환경디자인 연구 : 뵐폴린의 미적 지각이론과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14 이현열, "알기쉬운 프랙탈 입문" 영한출판사 1999

      15 이정연, "반복적 선(線)을 주제로 한 현대 장신구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16 배수경, "만델브로트가 들려주는 프랙탈 이야기" 자음과모음 2008

      17 조윤희, "디자인에 있어서 카오스(CHAOS)이론과의 연관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7

      18 서현, "건축을 묻다" 효형출판 2009

      19 Mandelbrot, Benoit B,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W.H. Freeman 1982

      20 J.M Blackledge, "Fractal geometry" Horwood Publishing Limited 2002

      21 John Briggs, "Fractal : The pattern of chaos" Touchstone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