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문 : 8, 15 해방 직후 조선어학회의 활동 -1945. 8. 15~1946. 2- =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on August 15 -from August 15. 1945 to February 194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39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Language Society(Joseoneohakhoe), which stopped its activities due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on October 1, 1942, reestablished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in August, 1945. This society opened an extraordinary...

      The Korean Language Society(Joseoneohakhoe), which stopped its activities due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on October 1, 1942, reestablished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in August, 1945. This society opene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and reorganized the society on August 25, 1945. The society immediately set to work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not only took steps to the Korean alphabet(Hangul) lessons for the public but also to the train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ddition, the society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were compiled by the society, and distributed them in the cooperation with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Also the society launched to put together the Korean dictionary again. The leaders of these activities in the society were Lee Geuk-ro, Choi Hyeon-bae, Lee Hee-seung, Jeong Yin-seung, Jeong Tae-Jin, Kim Yoon-gyeong, and other people who had ever been imprisoned because of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Many members including Kim Byeong-je, Lee Joong-hwa, Jeong Yeol-mo, Bang Jeong-hyeon participate in the society`s activities positively. The society changed the regulations of the society and reorganized the leadership in its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on February 3, 1946. As all of 7 directors who were Jang Ji-yeong, Lee Geuk-ro, Choi Hyeon-bae, Lee Hee-seung, Jeong Yin-seung, Kim Byeong-je remained in office in the regular general meeting in September, 1946, they took the lead in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until September, 1949. The work for keeping and propagation of the Korean language might have been punished as ante-nation during the colonial times of 35 years, however the society launched putting together the Korean dictionary to preserve Korean language, made a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and an orthography of adopted words, and screened a standard Korean language. The society has ever been scattered because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which Japanese imperialism invented to oppress, but the devotional efforts and academic fruits of the society which preserved the Korean brothers and hoped to restore Korea could be immediately put to practical use as important resource to build modern na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s the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already was made, Korean alphabet(Hangul) could be propagated a systematically and the textbook could be written under consistent standard. With the beginning of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s rule in September, 1945, the military government took charge of reconstruction of education officially, but the Korean Language Society played the leading part in urgent pending requests like writing textbooks, training teachers,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문화보급회, (창간) : 10-, 1946

      2 "해방된 한글 빗내자! 자랑할 교본이 나왓다"

      3 "한자철폐하자"

      4 문교부, "한자 안 쓰기의 이론"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8

      5 최현배, "한글을 위한 수난과 투쟁" 10 : 189-, 1973

      6 한글 학회 50돌 기념 사업회, "한글 학회 50년사" 1971

      7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75-83, 1991

      8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381-, 1964

      9 리처드 라우터베크, "한국미군정사" 국제신문사 39-, 1948

      10 조선어학회, "초등국어교본 한글교수지침" 군정청 학무국 3-, 1945

      1 한글문화보급회, (창간) : 10-, 1946

      2 "해방된 한글 빗내자! 자랑할 교본이 나왓다"

      3 "한자철폐하자"

      4 문교부, "한자 안 쓰기의 이론"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8

      5 최현배, "한글을 위한 수난과 투쟁" 10 : 189-, 1973

      6 한글 학회 50돌 기념 사업회, "한글 학회 50년사" 1971

      7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75-83, 1991

      8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381-, 1964

      9 리처드 라우터베크, "한국미군정사" 국제신문사 39-, 1948

      10 조선어학회, "초등국어교본 한글교수지침" 군정청 학무국 3-, 1945

      11 "중앙신문"

      12 "주한미육군사령부, 경성의 명칭을 서울로 통일"

      13 김민수, "조선어학회의 창립과 그 연혁" 5 : 62-, 1990

      14 이극로, "조선어학회의 임무" (1) : 44-, 1945

      15 김석득, "조선어학회 수난사건 - 언어관을 통해서 본 -" 32 : 29-, 2006

      16 김윤경, "조선어학회 수난기" (94) : 1946

      17 "조선어사전편찬경과"

      18 한말연구학회, "정인승 전집 6 국어운동사" 도서출판 박이정 74-77, 1997

      19 이희승, "일석이희승자서전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선영사 158-161, 2001

      20 문제안, "이순복, 철원에서 내금강까지레저열차가 있었어요, In 8ㆍ15의 기억" 한길사 244-, 2005

      21 이근엽, "이극로선생과 조선어학회 수난 (3)" (464) : 7-, 2011

      22 이근엽, "이극로 선생과 조선어학회 수난 (2)" (463) : 16-, 2011

      23 이은상, "우리글의 불통일은 잡지 경영란의 하나" (14) : 2-, 1934

      24 최현배, "옥중에서 읊음" 107-, 1982

      25 이응호, "언어정책의 역사적 연구 :한글전용 대책편" 한글전용국민실천회 15-, 1969

      26 "아놀드, 국립초등학교 9월 24일에 개교한다고 발표」"

      27 "성인 한글 강습회"

      28 리의도, "석인 정태진과 한글학회, In 석인 정태진 논설집" 범우사 305-, 2001

      29 석인 정태진 기념사업회, "석인 정태진 논설집" 범우사 326-327, 2001

      30 이응호, "미군정기 한글운동사" 207-,

      31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교육행정의 기구와요원의 연구" 6 : 1988

      32 玄恩柱, "미군정기 한국교육주도세력과 교육재건에 대한 일연구 : 1945-1948년 교육주도세력을 중심으로"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5

      33 한성진, "미군정기 한국 교육엘리트에 관한 연구" 2 : 148-, 1989

      34 한성진, "미군정기 한국 교육엘리트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86

      35 김용일, "미군정기 교육정책 지배세력 형성에 관한 연구" 13 : 27-30, 1995

      36 김용일, "미군정기 교육정책 지배세력 형성에 관한 연구" 13 : 1995

      37 손인수, "미군정과 교육정책" 민영사 82-, 1992

      38 이광호, "미 군정기 한국교육의 체제형성에 대한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39 이광호, "미 군정기 한국교육의 체제형성에 대한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40 문교40년사편찬위원회, "문교40년사" 문교부 1988

      41 "매일신보 1945년 9월 1일(국사편찬위원회, 자료대한민국사1(인터넷)"

      42 최현배, "나의 걸어온 학문의 길" (23) : 34-, 1955

      43 "나왔다 우리말 교과서"

      44 오천석, "군정문교의 증언 1" (213) : 115-116, 1972

      45 오천석, "군정문교의 증언 1" 115-, 1972

      46 정인승, "국어교본에 관한 유열 님의 감상 말씀을 받고" 96 : 6-31, 1946

      47 孫仁銖, "韓國敎育史 2" 文音社 637-642, 1987

      48 稲葉繼雄, "解放後におけるハングル專用論の展開-美軍政期を中心に-" 8 : 68-, 1983

      49 阿部洋, "解放後 韓國의 敎育改革" 財團法人 韓國硏究院 3-57, 1987

      50 稲葉繼雄, "美軍政期南朝鮮のハングル普及運動」, 筑波大學外國語センタ" 5 : 111-, 1983

      51 鄭泰秀, "美軍政期 韓國敎育史資料集(上)" 弘芝苑 1992

      52 尹在千, "新敎育序說" 朝鮮敎育硏究會 1-, 1946

      53 김기림, "文章論新講" 민중서관 287-, 1950

      54 사토 타쿠미(佐藤卓巳), "8월 15일의 신화" 궁리 32-,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6 1.8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