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예술 체험활동 ‘국경없는마을 RPG’ 참여 고등학생의 다문화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Secondary Student participating the Arts and Culture Activities of ‘the Borderless Village RPG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25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experience effects on the high school student multicultural awareness while participating Arts and Culture activities. To do this, we have collected data through ‘The borderless village RPG’ which is a multicultural program using videos, media, and so on. Also, in-depth interview with 12 high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from 27. Oct. 2012 to 3. Mar.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ought not to change but they displayed a positive attitude to multiculture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particular, they showed admitted attitude toward the diversity of new culture and showed acceptable attitude with interest in multiculture. Second, they seem to have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mission based on multicultural spaces and food experiences. Third, participants though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propos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 for high school student.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through Arts and Culture activities contributes to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hanges on attitude. Therefore, political supporting is essential in resear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ivities program through Arts and Culture utilization of various genr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experience effects on the high school student multicultural awareness while participating Arts and Culture activities. To do this, we have collected data through ‘The borderless village RP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experience effects on the high school student multicultural awareness while participating Arts and Culture activities. To do this, we have collected data through ‘The borderless village RPG’ which is a multicultural program using videos, media, and so on. Also, in-depth interview with 12 high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from 27. Oct. 2012 to 3. Mar.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ought not to change but they displayed a positive attitude to multiculture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particular, they showed admitted attitude toward the diversity of new culture and showed acceptable attitude with interest in multiculture. Second, they seem to have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mission based on multicultural spaces and food experiences. Third, participants though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propos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 for high school student.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through Arts and Culture activities contributes to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hanges on attitude. Therefore, political supporting is essential in resear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ivities program through Arts and Culture utilization of various gen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경험이 참여 학생들의 다문화인식에 어떤 효과와 의미를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과 미디어 등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인 ‘국경없는마을 RPG’를 2012년 8월 1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참여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12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27일부터 2013년 3월 3일까지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 학생들은 당위가 아니라 체험에 기초한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판단과 태도를 보였다. 특히 새로운 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는 소통적 태도와 다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수용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참여 학생들은 미션 수행을 통해 다문화 공간과 음식 문화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경험에 기초한 깊이 있는 다문화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참여 학생들은 체험적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으며, 적절한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경험이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에 대한 태도변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연구와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경험이 참여 학생들의 다문화인식에 어떤 효과와 의미를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과 미디어 등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경험이 참여 학생들의 다문화인식에 어떤 효과와 의미를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과 미디어 등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인 ‘국경없는마을 RPG’를 2012년 8월 1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참여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12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27일부터 2013년 3월 3일까지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 학생들은 당위가 아니라 체험에 기초한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판단과 태도를 보였다. 특히 새로운 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는 소통적 태도와 다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수용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참여 학생들은 미션 수행을 통해 다문화 공간과 음식 문화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경험에 기초한 깊이 있는 다문화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참여 학생들은 체험적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으며, 적절한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경험이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에 대한 태도변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연구와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희, "초기 청소년의 문화적 경험과 다문화 인식: 개방성-수용성-존중성과의 관계 - G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7-50, 2012

      2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3 박혜준,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4 모경환,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79-100, 2007

      5 차윤경, "예술로 배우는 다문화" 대교 2011

      6 Campbell, D. E.,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 교육과학사 2010

      7 변정현, "문화교류 활동과 다문화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167-189, 2011

      8 최진우, "다문화인식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아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김현덕,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국제이해교육의 역할, In 다문화사회와 국제이해교육"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09

      10 최성환,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다문화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위상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285-316, 2012

      1 박순희, "초기 청소년의 문화적 경험과 다문화 인식: 개방성-수용성-존중성과의 관계 - G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7-50, 2012

      2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3 박혜준,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4 모경환,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79-100, 2007

      5 차윤경, "예술로 배우는 다문화" 대교 2011

      6 Campbell, D. E.,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 교육과학사 2010

      7 변정현, "문화교류 활동과 다문화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167-189, 2011

      8 최진우, "다문화인식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아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김현덕,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국제이해교육의 역할, In 다문화사회와 국제이해교육"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09

      10 최성환,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다문화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위상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285-316, 2012

      11 최충옥, "다문화교육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2 국회입법조사처,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2011

      13 오은순,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학지사 2012

      14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8

      15 오은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 In 다문화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0

      16 김선아, "다문화교육에서 문화예술의 가치와 역할"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17 김홍운,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29 (29): 41-63, 2008

      18 서종남,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2

      19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2006

      20 최문성,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실태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6) : 309-333, 2011

      21 김미순, "다문화 지역사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지리교육적 함의: 안산시 사례로" 2 (2): 234-269, 2012

      22 신수진, "다문화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99-328, 2011

      23 전영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경없는마을 RPG’ 참여 고등학생의 다문화 체험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91 : 2012

      24 황순영, "국제이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2

      25 안병환, "고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43-66, 2012

      26 양영자, "가정연계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1

      27 Ramsey, P. G., "Teaching and Learning in a diverse world" TEACHERS COLLEGE PRESS 2004

      28 Rothfard, S. H., "Perceptions of Intergroup Relations in Secondary Schools of Dade County Public Schools: Results of the Student Multicultural Relations Survey" Dade County Public Schools 1992

      29 Salili. F.,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y, issues, and practi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issues, policies, and practices" IAP 1-14, 2001

      30 Fritz, W.,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 24-29, 2001

      31 Larke, P. J.,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Inventory: Assessing the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12 (12): 23-30, 1990

      32 정문성,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33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개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