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25전쟁으로 남북이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지내 온 지 벌써 5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전통 음악을 보존 계승 발전시켜 왔던 남한에 비해 민족 음악의 현대화와 혁명적 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454709
서울 : 淑明女子大學校, 2001
학위논문(석사) -- 淑明女子大學校(傳統文化藝術大學院) , 傳統音樂學專攻 , 2001. 8
2001
한국어
679.73 판사항(3)
679.73 판사항(15)
서울
ix, 75 p. : 삽도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6. 25전쟁으로 남북이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지내 온 지 벌써 5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전통 음악을 보존 계승 발전시켜 왔던 남한에 비해 민족 음악의 현대화와 혁명적 음...
6. 25전쟁으로 남북이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지내 온 지 벌써 5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전통 음악을 보존 계승 발전시켜 왔던 남한에 비해 민족 음악의 현대화와 혁명적 음악 예술의 창작 필요성을 강조한 북한은 음정을 우리의 전통 음정이 아닌 평균율로 바꾸고 또 전통 악기 개량 사업을 실시하여 가야금의 줄도 12줄에서 13, 16, 21줄 등으로 현대적인 악기와 비슷하게 개량하였다. 따라서 북한에서는 이에 맞는 연주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연구를 통해 가야금의 전통적인 주법과 북한에서 개량된 가야금이 사용됨에 따라 생겨난 주법을 비교함으로써 분단 이후 북한에서 변화된 가야금의 연주법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 나타난 오른손 주법과 왼손 주법, 특수 주법 등을 남한 주법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주법의 연습곡을 살펴보았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른손 주법은 크게 뜯는 주법, 퉁기는 주법, 미는 주법, 집는 주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오른손 주법에는 ‘뜨는법’, ‘뜯는법’, ‘튀기는법’, ‘덧튀김법’, ‘미닥법’, ‘엄지 미닥법’, ‘훑는법’, ‘집는법’으로 7가지이다. 북한의 ‘뜨는법’은 2지로 줄을 위로 떠 올리면서 소리내는 법으로 남한의 뜯는 주법과 방법은 같으나 명칭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북한의 ‘뜯는법’은 1지와 2지를 합여 줄을 집어 뜨는 주법으로 북한의 곡에서 자주 사용하는 주법인데 반해 남한에서는 산조 연주 중 한 음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주법으로 공식적인 명칭이나 기호가 없다. 북한의 ‘튀기는법’은 2지의 손톱 부분을 1지 안에 굽혀 넣고 줄을 튀기는 주법으로 남한의 퉁기는 주법에 해당하는데 주법의 기호에서 ‘ 2 ′’와 ‘ 0 ’으로 다르다. 북한의 ‘덧튀기는법’은 3지, 2지로 차례대로 튀기는 주법으로 남한의 연퉁기는법에 해당하며 주법의 방법은 같으나 기호에서 ‘ 3′ 2′’와 ‘ 80 ’으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미닥법’은 2지, 3지를 차례대로 미는 주법으로 남한의 산조에 쓰일 때는 주법의 방법이 같지만 정악에 쓰일 때는 달라진다. 즉 2지로 낸 여음을 3지로 막는 것을 막지 않고 두 음다 길게 울리도록 한다. 북한의 ‘엄지 미닥법’은 1지로 먼저 뜨고 2지로 뜨거나 1지, 2지, 3지를 차례대로 뜨는 주법으로 1지, 2지, 3지를 차례대로 뜨는 주법은 남한의 김죽파류 중모리 중 경드름에 많이 쓰는 주법이다. 북한의 ‘훑는법’은 2지로 두 줄을 훑으며 올라가는 주법으로 남한과 주법의 기호는 같지만 방법이 서로 다르다. 즉 북한은 아래 음과 윗 음을 훑으며 올라가는 주법이고 남한은 아래 줄은 밀고 윗 줄은 뜯는 주법이다. 오른손 주법은 방법에선 남북이 크게 다르지 않지만 주법의 명칭이나 기호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왼손 주법은 크게 농현, 전성, 퇴성, 추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왼손 주법은 규칙적으로 흔드는 ‘롱현’, 음정 변화를 위한 ‘롱현’, 장식음을 위한 ‘롱현’, ‘겹롱현’, 구르는 ‘롱현’, 엄지손’가락에 의한 ‘롱현’으로 6가지이다. 규칙적으로 흔드는 ‘롱현’은 남한의 가늘게 떠는표, 중간으로 떠는표, 굵게 떠는표로 나뉜다. 음정 변화를 위한 ‘롱현’은 남한의 점진적으로 올리는표, 점진적으로 내리는표, 떨면서 내리는표, 아래줄표, 제자리표, 추성, 퇴성, 음을 올려 떠는표, 음을 내려 떠는표로 나뉜다. 장식음을 위한 ‘롱현’은 남한의 꺽는표로 북한의 ‘겹롱현’은 남한의 여음표에 해당한다. 북한의 구르는 ‘롱현’은 남한의 전성으로 북한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롱현’은 남한의 모지표, 엄지표에 해당한다. 북한은 창작 음악 연주를 위한 악기 개량과 평균율 사용으로 전통곡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음정 표현을 위한 왼손 주법이 사라졌다. 즉 서양 음악적인 창작 음악에 맞는 오른손 주법을 중심으로 표현하고 전통 음악의 표현을 위한 왼손 주법은 생략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북한?가야금 교칙본?의 특수 주법은 남한의 신곡 주법으로 ‘곱울림 연주법’, ‘소리 멈추는법’, ‘화음 연주법’, ‘이어 훑는 주법’, ‘버팀음 연주법’, ‘도르뱅이 주법’으로 6가지이다. ‘곱울림 연주법’은 줄의 ½ 위치에서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C.S나 Hamonics에 해당하는데 본음보다 옥타브 위의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하며 또한 남한에서는 음색을 탁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소리 멈추는법’은 여운을 짧게 끊는 주법으로 남한의 staccato주법이며 ‘화음 연주법’은 1지, 2지 등을 동시에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동시 화음 주법이다. 북한의 ‘이어 훑는 주법’은 1지, 2지 등을 차례대로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분산 화음과 같다. ‘버팀음 연주법’은 3지, 1지, 2지, 1지로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최옥산류에서 말발굽 연주법이라 한다. 북한의 ‘도르뱅이 주법’은 남한의 연퉁기는법 중의 하나이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서는 산조, 정악보다 신곡에 많이 쓰이는 주법이라 하여 특수 주법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남한의 교본에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남한의 신곡 주법에는 네 가지 Arpeggio 주법과 3지, 2지를 거의 동시에 퉁기는 주법과 5지, 4지, 3지, 2지로 차례대로 퉁기는 주법, 줄을 긁음과 동시에 음을 확대시키면서 비벼주는 주법이 있는데 북한의 특수 주법은 남한의 신곡 주법과 다르게 왼손을 현침쪽으로 옮겨서 오른손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넷째, 북한의 ?가야금 교칙본?에 수록된 가야금 곡은 총 138곡으로 연습곡은 60곡, 정악곡은 타령, 군악 등 5곡, 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등 13곡, 민요는 아리랑, 풍년가, 진도 아리랑, 옹헤야 등 29곡과 민요 변주곡은 닐니리 변주곡, 경발림 변주곡, 등 5곡, 기타 체제 찬양의 성격을 띤 곡은 불평등가, 자유가 등 18곡, 동요는 어린이 동무 춤추자, 줄넘기 등 8곡, 판소리에 관련된 곡은 토끼화상, 방자의 노래로 2곡, 무용곡 물고기의 춤, 어부의 노래 등 4곡으로 다양한 장르의 곡들을 수록한 것을 알 수 있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연습곡은 다양한 조성을 연주할 수 있게 가야금의 조현 방법으로 조바꿈과 조옮김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 북한 『가약금 교칙본』은 오른손 주법과 왼손 주법의 연습곡을 같은 비중으로 다루고 있으며 오른손 주법, 왼손 주법, 특수 주법에 맞게 곡을 선정하여 그에 따라 연주곡을 분류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and South Korea have held many different aspects of ideologies since the Korean War. After Kore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no ideologies in these two regions have since been exchanged.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any information...
North and South Korea have held many different aspects of ideologies since the Korean War. After Kore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no ideologies in these two regions have since been exchanged.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any information in North Korea,which was restricted by its government to release to South Korea. Therefore, in the past, we only have assumed that North Korea had evolved in various areas like sociology, economics and culture, it was not yet confirmed or proved.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Pyung Yang artist team in Seoul in 1985, and the full-scaled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ince 1999 enabled the public to know at least to some degree about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in North Korea. These events allowed South Korea to learn and experience the style of performing Gayageum, which was not done since the division by the Korean peninsula in 1955.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the transformed style of Gayageum in North Korea after the War. This textbook of Gayageum in North Korea also allows u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Korean Classical Music in North and South Korea.
Upon evealuation of the textbook Gayageum of North Korea, Many differences were uncovered pertaining to right and left hand skills, unique skills, and other developments. Moreover, I have seen how these techniques are practiced in actual songs. Analyzed results of the Gayageum Textbook of the Nort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even different kinds of right hand execution involved. There are 'Tteudneunbeop', 'Tteuneunbeop', 'Twigineunbeop', 'Deos-twigineunbeop', 'Midakbeop', 'Eomji-midakbeop', 'Hultneunbeop', 'Jipneunbeop'. 'Tteudneunbeop' in North Korea style is similar to how it is performed in South Korea but they differ in their uses for this execution. While 'Tteuneunbeop' is used quite frequently in North Korea, it is only used in few cases in South Korea when emphazsing one sound in Sanjo. 'Twigineunbeop' of the North is performed by strumming the string through putting the nail of the thumb on to the first finger and it is marked as '2'. This is different from South Korea where strumming is marked as '0'. 'Deos-twigineunbeop' of North Korean execution uses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by strumming them in order. This skill would fall into the category of 'Yeon ttunggineunbeop' in South Korea. Although they are the same in terms of methodology, they use different ways of marking; '3' and '2' in North Korea, and '80' in South Korea. 'Midakbeop' uses first and second fingers by pushing them. While it is used as same method as in the South when it is applied in Sanjo, it is applied quite differently when it is used in Jeongak. Specially, the second finger does not absorb the initiated sound formed by the first finger. Rather, it is left untouched to allow a continuous sound. 'Eomji-midakbeop' of the North is picked by either the thumb, the first finger, or thumb, first finger or second finger in sequence. The last alternative is commonly used in Gyeongdeureum of Gimjukparyu and Jungmori. 'Hultneunbeop' of the North uses first finger to scratch two strings upward and its symbol is the same as in the South, although the methods are different. While both strings are plucked in the North, only one string is scratched and the remaining strings are picked in the South. Thus, it could be claimed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methodology, although they are quite different in t
Secondly, left hand skills are very distinctly divided into Nonghyeon, Jeonseong, Toeseong and Chuseong. However, according to the Gayageum Textbook of in the North, the left hand skill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y are as follows: vibrating 'Longhyeon', 'Longhyeon' for the change in the interval, 'Longhyeon' for the ornament grace, 'Gyeop-longhyeon', 'Guruneun-longhyeon', 'Longhyeon' of the thumb. Vibrating 'Longhyeon' is divided into weak, medium and strong trembling notes. 'Longhyeon' for the change in the interval is divided into gradually raising note, gradually lowering note, tremulously lowering note, lower string note, original note, Chuseong, Toeseong, raised trembling sound note, and lowered trembling sound note. Longhyeon for the ornament grace is referred as kkeokneunpyo in the South and gyeop-longhyeon is referred as lingering sound note in South Korea. 'Guruneun-longhyeon' in the North can be seen as jeonseong in the South. 'Longhyeon' of the thumb is divided into Mojipyo and Eomjipyo. The left hand executions that were used in the traditional music to perform a variety of sound expressions has been eliminated in the North due to their instrument's improvement in creative music performance and the usage of equal temperament. In other words, the creative music of the North is expressed based on right hand execution and the North tends to neglect the left hand execution that is used in expressing the traditional music.
Thirdly, the North's special execution is the same as the South's new musical composition and refers to all the execution that is created after the formally existed execution of Jungak and Sanjo. According to the Gayageum textbook of the North, the special execution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y are: 'Gopullim-yeonjubeop','Sori meomchuneunbeop', 'Hwaeum-yeonjubeop','Ieo-hultneunbeop', 'Beotimeum-yeonjubeop', 'Doreubaengi-jubeop'.
'Gopullim-yeonjubeop' refers to a method of picking the middle of the string. This is the same as the execution of CS or Hamonics in South Korea. This execution is used to express a sound above its octave, rather than its original sound. The South also uses it to express a think sound.
'Sori meomchuneunbeop' is a method of stopping the lingering sound and is known as a staccato execution in the South. 'Hwaeum-yeonjubeop' uses picking of the thumb, the first finger and etc. and is known as a chord in South Korea. 'Ieo-hultneunbeop' is a picking of the thumb, first finger and etc. in order and is known as broken chords in the South. 'Beotimeum-yeonjubeop' is a picking method of second finger, thumb, first finger and thumb and is known as 'Malbalgup-yeonjubeop' in the 'Choeksanryu' in the South. 'Doreubaengi-jubeop' of North Korea is known as one of 'Yeon ttunggineunbeop'. Both particular styles in the North and the new-music style in the South sound splendid using harmony. But, those particular styles do not use Hyun-chim.
Fourth, there are various genres of music in the textbook for Gayakeum rendering styling of North Korea, included are a total of 138 genres of music: 61 for etude, 5 for Chung-ak, 28 for folk song, 5 for variation of folk song, 18 for praise of Il-sung kim, 6 for children's song, and 2 for Pan-so-ri. There are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for providing various tonalities in Gayakeum rendering styling of North Korea. The standardization of name and symbol for rendering style in South Korea is imperative, compared to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