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화에 따른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 Changes in Family's Education Functions due to Information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8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looking at changes in families and of education paradigms due to informationization, prospecting changes in families’ education functions, and seeking political implications to cope with them. The informationization has changed education paradigms from rigid and closed ones to flexible and open ones. Changes in education paradigms can be suggested as changes in information of education objects, role changes among education subjects, changes of new education methods, and the spread of lifelong learning, etc. Changes in families and education paradigms due to informationization will produce considerable changes in families’ education functions. In perpendicular sphere, family's direct participation in education, enlargement of parents' role using the information media and increased family's role in creativity education are suggested. In horizontal spher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subject in family, increased needs for family life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supports for family's lifelong education are suggested. Finally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or countermeasure on changes in family's education function due to informationization are propos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looking at changes in families and of education paradigms due to informationization, prospecting changes in families’ education functions, and seeking political implications to cope with them. The informationization has changed ed...

      This study aims at looking at changes in families and of education paradigms due to informationization, prospecting changes in families’ education functions, and seeking political implications to cope with them. The informationization has changed education paradigms from rigid and closed ones to flexible and open ones. Changes in education paradigms can be suggested as changes in information of education objects, role changes among education subjects, changes of new education methods, and the spread of lifelong learning, etc. Changes in families and education paradigms due to informationization will produce considerable changes in families’ education functions. In perpendicular sphere, family's direct participation in education, enlargement of parents' role using the information media and increased family's role in creativity education are suggested. In horizontal spher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subject in family, increased needs for family life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supports for family's lifelong education are suggested. Finally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or countermeasure on changes in family's education function due to informationization a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에 따른 가족의 변화 및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그러한 변화에 따라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를 전망하고, 정보화 진전에 따른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보화는 기존의 경직되고 폐쇄적인 교육 패러다임을 유연하고 개방적인 열린 교육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대상 지식의 변화, 교육주체들 간의 역할 변화, 교육방법의 변화, 평생학습의 확산 등으로 요약된다. 정보화로 인한 가족의 변화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그동안 가족이 수행했던 교육기능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의 변화로는 가족의 수직적 교육기능 면에서는 가족의 직접적 교육 참여 증가, 정보매체 활용을 통한 부모역할의 확대, 창의력 교육에 대한 가족의 역할 증대를, 가족의 수평적 교육기능 면에서는 가족 내 교육주체의 다양화, 가족생활교육 요구의 증대, 가족 구성원의 평생학습 지원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가족친화적인 정보환경 조성, 가족관계 및 가족생활교육 확대, 정보매체를 활용한 세대공동체 활성화,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 가족-교육기관-지역사회 간 교육 네트워크(Network) 구축 등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에 따른 가족의 변화 및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그러한 변화에 따라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를 전망하고, 정보화 진전에 따른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에 대응하기...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에 따른 가족의 변화 및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그러한 변화에 따라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를 전망하고, 정보화 진전에 따른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보화는 기존의 경직되고 폐쇄적인 교육 패러다임을 유연하고 개방적인 열린 교육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대상 지식의 변화, 교육주체들 간의 역할 변화, 교육방법의 변화, 평생학습의 확산 등으로 요약된다. 정보화로 인한 가족의 변화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그동안 가족이 수행했던 교육기능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의 변화로는 가족의 수직적 교육기능 면에서는 가족의 직접적 교육 참여 증가, 정보매체 활용을 통한 부모역할의 확대, 창의력 교육에 대한 가족의 역할 증대를, 가족의 수평적 교육기능 면에서는 가족 내 교육주체의 다양화, 가족생활교육 요구의 증대, 가족 구성원의 평생학습 지원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족의 교육기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가족친화적인 정보환경 조성, 가족관계 및 가족생활교육 확대, 정보매체를 활용한 세대공동체 활성화,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 가족-교육기관-지역사회 간 교육 네트워크(Network) 구축 등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희, "현대사회와 부모교육" 학문사 2000

      2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 교육비전 2030"

      3 배장오, "평생교육의 이해" 서현사 2003

      4 박인우, "지식정보화 사회와 우리 교육의 방향" 14 (14): 94-111, 2002

      5 양재진, "지식정보화 사회와 교육 불평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6 손연기, "지식정보사회의 역기능 해소정책을 위한 조사연구 결과보고서. 한국사회학회"

      7 김규원?정용교, "지식정보사회의 교육혁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8 한세억, "정보화의 정책영역과 과제:지능적 가정을 지향하며" 2 : 1-34, 2003

      9 김규원?박경, "정보화와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6 : 1-34, 2004

      10 유영만, "정보화와 성인학습의 생활화" 3 (3): 104-140, 2000

      1 김명희, "현대사회와 부모교육" 학문사 2000

      2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 교육비전 2030"

      3 배장오, "평생교육의 이해" 서현사 2003

      4 박인우, "지식정보화 사회와 우리 교육의 방향" 14 (14): 94-111, 2002

      5 양재진, "지식정보화 사회와 교육 불평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6 손연기, "지식정보사회의 역기능 해소정책을 위한 조사연구 결과보고서. 한국사회학회"

      7 김규원?정용교, "지식정보사회의 교육혁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8 한세억, "정보화의 정책영역과 과제:지능적 가정을 지향하며" 2 : 1-34, 2003

      9 김규원?박경, "정보화와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6 : 1-34, 2004

      10 유영만, "정보화와 성인학습의 생활화" 3 (3): 104-140, 2000

      11 함인희, "정보화와 가족생활의 변화" 15 (15): 59-80, 2001

      12 조정문, "정보화시대의 공동체: 가족규범의 변화" 33 (33): 389-415, 1999

      13 변화순, "정보화 시대의 가족 변화와 여성의 지위" 8 : 71-86, 2003

      14 박성연, "정보화 사회의 부모 역할" 159-170, 1996

      15 조정문, "정보사회와 한국가족의 변화" 2 : 107-132, 2000

      16 김종두, "정보사회와 교육" 양서원 2004

      17 차성란, "정보사회와 가족자원경영학의 학문적 지향" 대한가정학회 40 (40): 221-224, 2002

      18 고선주, "정보사회와 가족: 정보사회에서 가족의 삶의 변화를 중심으로" 38 (38): 167-183, 2000

      19 차성란, "정보사회에서의 가족과 생활정보" 시그마프레스 2003

      20 조정문, "정보사회에서의 가족 및 세대 공동체" 12 (12): 45-70, 1997

      21 강신임, "정보사회 문화와 교육" 문음사 2003

      22 김정원, "웹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46 (46): 1-14, 2008

      23 김정인,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유치원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 27 (27): 3890405-, 2000

      24 김경신, "성인여성의 정보화와 개인 및 가족생활 변화 - 광역시 및 중소도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171-187, 2002

      25 이기숙, "산업화, 정보화와 가족의 변화" 34 : 275-400, 1992

      26 이경면, "사이버공동체와 장애아동 가족 간 지원" 4 : 313-347, 2003

      27 박명희, "부모자녀 간 정보격차에 따른 의사소통, 갈등, 소비자 사회화에 관한 질적 연구" 42 (42): 11-25, 2004

      28 전경원,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학문사 2000

      29 한정란, "노인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5

      30 권건일, "교육학개론" 양서원 2006

      31 김민환, "교사의 임파워먼트 결정 요인 및 개인 특성과 학교 특성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29, 2002

      32 박태영,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학지사 2006

      33 박미석, "가정정보화가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0 (40): 71-85, 2002

      34 Brown, B. L., "Web-based Training. ERIC Digest No.218. ERIC Clearinghouse on Ad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olumbus, OH. ED 445234"

      35 Sanders, C. E., "The relationship of internet use to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among adolescents" 35 (35): 237-242, 2000

      36 Kraut, R., "Internet para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53 (53): 1017-1031, 1998

      37 함인희, "IT와 아동교육 환경의 변화: 교육기관-가족-지역사회 관계의 재구조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38 정태명, "IT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39 Taoscott, D., "Growing up digital: The rise of the net generation" McGraw Hill 1998

      40 Merrill, M. D., "Constructivism and instructional design" 31 (31): 45-53, 1991

      41 Coleman, M., "Connecting families and classrooms using family involvement webs" 76 (76): 209-214, 2000

      42 Walberg, J., "Childhood and eminence" 13 : 225-231, 1979

      43 구자순, "21세기 정보사회와 가족의 교육기능" 10 (10): 35-65,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