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8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ir smooth socialization in new workplace.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n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and analyzed the data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perienced blurred job descriptions and divisions and unreasonable treatments due to family based management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and long and hard working and lack of job security and personal development (large enterprise). They tri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th various solutions such as dialogues with supervisors and/or colleagues, preparation for turnover, and just endurance. In addition, they wanted employers to provide systematic division and assignment of work, more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formal channels for communication and so 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ir smooth socialization in new workplace. We conducted focus group 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ir smooth socialization in new workplace.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n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and analyzed the data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perienced blurred job descriptions and divisions and unreasonable treatments due to family based management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and long and hard working and lack of job security and personal development (large enterprise). They tri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th various solutions such as dialogues with supervisors and/or colleagues, preparation for turnover, and just endurance. In addition, they wanted employers to provide systematic division and assignment of work, more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formal channels for communication and so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이들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대졸 초기경력자들이 조직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대졸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하였으며, 일정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업무분장의 불분명과 가족경영으로 인한 불합리한 처우(중소기업), 전문성을 쌓기 어려운 업무, 장시간 근무, 직업안정성 부재(대기업)를 이직을 고려하게 하는 어려움으로 언급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 이들은 갈등 당사자와의 대화 시도, 주변 사람들에게 어려움 털어놓기, 이직을 위한 준비하기, 무조건 참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며 문제 해결을 시도하였다. 이들은 체계적인 업무분담 시스템 마련, 직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기회 제공, 의사소통을 위한 공식적인 통로 마련 등을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을 위해 회사가 제공해야 할 지원으로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이들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대졸 초기경력자들이 조직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

      이 연구는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이들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대졸 초기경력자들이 조직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대졸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하였으며, 일정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업무분장의 불분명과 가족경영으로 인한 불합리한 처우(중소기업), 전문성을 쌓기 어려운 업무, 장시간 근무, 직업안정성 부재(대기업)를 이직을 고려하게 하는 어려움으로 언급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 이들은 갈등 당사자와의 대화 시도, 주변 사람들에게 어려움 털어놓기, 이직을 위한 준비하기, 무조건 참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며 문제 해결을 시도하였다. 이들은 체계적인 업무분담 시스템 마련, 직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기회 제공, 의사소통을 위한 공식적인 통로 마련 등을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을 위해 회사가 제공해야 할 지원으로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희, "학교로부터 노동시장으로 이행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 심우정, "초기경력자의 학습과 적응에서 개발지원관계망의 역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3 장주희, "초기경력자의 실행공동체 참여와 학습 및 적응과의 상관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4 이철선, "직장인의 이직 실태 조사: 직장인의 이직과 기업의 대응 방안" 현대경제연구원 2007

      5 나인강,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이직행위의 관계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18 (18): 509-530, 2005

      6 김형만, "지역인재채용장려제 도입을 위한 지방대생 민간기업 취업현황 파악 연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7 김형만, "중소제조업의 인력구조와 직업교육훈련수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김한얼, "조직사회화 과정에서 멘토의 역할" 22 (22): 269-294, 1993

      9 정윤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의 차이에 관한 연구" 6 (6): 95-121, 2004

      10 박경규,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7 (7): 43-82, 1999

      1 이병희, "학교로부터 노동시장으로 이행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 심우정, "초기경력자의 학습과 적응에서 개발지원관계망의 역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3 장주희, "초기경력자의 실행공동체 참여와 학습 및 적응과의 상관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4 이철선, "직장인의 이직 실태 조사: 직장인의 이직과 기업의 대응 방안" 현대경제연구원 2007

      5 나인강,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이직행위의 관계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18 (18): 509-530, 2005

      6 김형만, "지역인재채용장려제 도입을 위한 지방대생 민간기업 취업현황 파악 연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7 김형만, "중소제조업의 인력구조와 직업교육훈련수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김한얼, "조직사회화 과정에서 멘토의 역할" 22 (22): 269-294, 1993

      9 정윤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의 차이에 관한 연구" 6 (6): 95-121, 2004

      10 박경규,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7 (7): 43-82, 1999

      11 김종인,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채용과정의 정보의 현실성을 중심으로" 27 (27): 77-104, 2002

      12 김태형, "멘토링 기능과 조직몰입과의 관련성" 3 (3): 99-121, 1999

      13 윤종록, "멘토관계와 신입사원의 조직적응" 19 : 665-697, 1998

      14 백지연, "멘토 기능이 직무유형에 따라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0 (10): 51-72, 2007

      15 김소영,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요인들과 심리사회적, 구조적, 학습경험적 요인들 간의 정준상관 분석연구" 34 (34): 109-133, 2007

      16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장원섭, "대졸 청년층 직장생활 적응능력 향상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18 한국경영자총협회, "대졸 신입사원 평균 재교육기간 20.3개월, 비용 6,218만원 소요" (6월) : 62-63, 2005

      19 한국경영자총협회, "대졸 신입사원 업무능력 평가조사. 한국경영자총협회"

      20 이병희, "노동이동과 인력개발" 28 (28): 1-28, 2005

      21 채창균,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Bills, D. B., "교육과 일: 사회학적 접근" 원미사 2004

      23 Merriam, S. B., "What can you tell form an N of 1: Issue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qualitative research" 4 : 51-60, 1995

      24 Van Maanen, J.,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1 : 209-264, 1979

      25 Feldman, D. C., "The multiple socializ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6 (6): 309-318, 1981

      26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Aldine 1968

      27 Louis, M. R., "Surprise and sense making: What newcomers experience in entering unfamiliar organizational setting" 25 (25): 26-251, 1980

      28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1998

      29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 Sage Publication Inc. 1998

      30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1990

      31 Driscoll, M.,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Allyn & Bacon 2000

      32 Hall, D. T,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10 (10): 8-16, 1996

      33 Chao, G. 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ts content and consequences" 79 (79): 730-743, 1994

      34 Saks, A. M.,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Making sense of the past and present as a prologue for the future" 51 : 234-279, 1997

      35 Ostroff, C.,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s a learning process: The role of information acquisition" 45 (45): 849-874, 1992

      36 Setton, R. P., "Newcomer socialization: The role of supervisors, coworkers, fiends and family members" 11 (11): 507-516, 1997

      37 Holton Ⅲ, E. F., "New employee development: A review and reconceptualization" 7 (7): 233-252, 1996

      38 Feldman, D. C., "Managing careers in organizations" Scott, Foresman 1988

      39 Ashford, S. J., "Adaptation to work transitions: An integrative approach In: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JAI Press 1-39, 1990

      40 Feldman, D. C., "A contingency theory of socialization" 21 (21): 433-452,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