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5세기 유향소 복립 논의를 통해 본 지방통치 방식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ance in the 15th Century Joseon through the Discussion on the Re-establishment of Yuhyangs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6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iscussion on re-establishing yuhyangso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reconsider its meaning. This particular discussion over re-establishing yuhyangso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of academic research in understandin...

      This paper examines the discussion on re-establishing yuhyangso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reconsider its meaning. This particular discussion over re-establishing yuhyangso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of academic research in understanding the political powers and local governance measures in early Joseon period. Whereas conventional scholarship mainly understood yuhyangso from a dichotomous point of view, that is Confucian literati versus meritorious elite or central versus local,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discussion’s background and points of debate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and examine the meaning of re-establishing yuhyangso in relation to the state’s local governing policy.
      From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Joseon proceeded with its centralist control of local governance, which became the very background of the work of re-establishing yuhyangso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central government expected yuhyangso to play the role of handling local customs, or more in particular observing local clerks. In addition, yuhyangso was understood based on ancient China’s hyangdaebu system or Koryeo’s sasimgwan institution which aimed at centralized control of the local society. Opinions on the issue varied over the probable side effects of re-establishing yuhyangso and how to overcome them, which was also determined by their perceptions of local officials. In short,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was whether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successfully carry out the centralist control of local governance through yuhyangso.
      Certain rules and laws regarding yuhyangso commonly specify ways of restraining the power and actions of local officials by having yuhyangso controlled by the state. This indicates that the intention behind re-establishing yuhyangso was not that of restoring the former yuhyangso with autonomous character but of incorporating yuhyangso into one of the centralized local governing systems, regulating such matters ranging from personnel appointment to its operation within the bureaucratic system. It was likely for the yuhyangso to operate in the old way regardless of the state’s attempt, and thus it needed constant supervisio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work as expected. The subsequent discussion on abolishing yuhyangso signale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regarding the institution but basically, it was also in line with the previous re-establishment issue.
      With this new approach to the discussion on re-establishing yuhyangso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we can get more of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 of early Joseon political forces and enable diverse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matter of the state’s local governance in the following period.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dward W. Wagner, "李朝 士林問題에 관한 再檢討" 4 : 1980

      2 정두희, "회고와 전망: 조선전기" 104 : 1984

      3 "향헌 1, 무신유향소복설마련절목"

      4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지식산업사 1986

      5 정두희, "한국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한국 중세의 정치사상과 周禮" 혜안 2005

      7 "태종실록 권11"

      8 "중종실록"

      9 최선혜, "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경인문화사 2007

      10 최종석, "조선전기 淫祀的 城隍祭의 양상과 그 성격 - 중화 보편 수용의 일양상 -" 역사학회 (204) : 189-236, 2009

      1 Edward W. Wagner, "李朝 士林問題에 관한 再檢討" 4 : 1980

      2 정두희, "회고와 전망: 조선전기" 104 : 1984

      3 "향헌 1, 무신유향소복설마련절목"

      4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 지식산업사 1986

      5 정두희, "한국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한국 중세의 정치사상과 周禮" 혜안 2005

      7 "태종실록 권11"

      8 "중종실록"

      9 최선혜, "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경인문화사 2007

      10 최종석, "조선전기 淫祀的 城隍祭의 양상과 그 성격 - 중화 보편 수용의 일양상 -" 역사학회 (204) : 189-236, 2009

      11 김범, "조선전기 ‘훈구·사림세력’ 연구의 재검토" 고려사학회 (15) : 75-103, 2003

      12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반,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카넷 2000

      13 송웅섭, "조선 중기 시기 구분에 대한 검토 — 사족사회의 형성 문제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3) : 129-153, 2020

      14 "인조실록 권14"

      15 "연산군일기 권31"

      16 "세종실록 권69"

      17 "세조실록 권19"

      18 "성종실록"

      19 "문종실록 권8"

      20 "명종실록 권26"

      21 송웅섭, "고려에서 조선으로: 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역사비평사 2019

      22 "고려사 권75"

      23 박은경, "高麗의 事審官과 朝鮮初의 留鄕所에 대하여" 168 : 2000

      24 홍승기, "高麗後期 事審官制度의 運用과 鄕吏의 中央進出" 17 : 1989

      25 홍승기, "高麗前期의 事審과 鄕吏" 166 : 2000

      26 "經國大典 「刑典」 元惡鄕吏"

      27 "淸江先生鯸鯖瑣語"

      28 이수건,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민음사 1989

      29 이성무, "朝鮮兩班社會硏究" 일조각 1995

      30 "大典續錄 「禮典」 雜令"

      31 "周禮 권3, 地官司徒第二, 鄕大夫 (中國基本古籍庫)"

      32 송웅섭, "中宗代 己卯士林의 構成과 出身背景" 41 : 2001

      33 이태진, "16세기 士林의 歷史的 性格" 13 : 1979

      34 배기헌, "16世紀 鄕村支配秩序와 留鄕所의 性格" 35 : 1988

      35 박사랑, "15세기 조선 정부의 향례 논의와 향촌 질서 구축" 62 : 2016

      36 백승아, "15ㆍ16세기 部民告訴禁止法의 추이와 지방통치" 61 : 128-131,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2.0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