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속의 조선 도공과 한류 = Korean Potter in Japan And the Korean Wave – Cultural Archetype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Meeting in the world’s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13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류의 범위 확대 및 해외 현지 기업에서의 활용 방안을 일본의 근대도자기 산업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의 근대 도자기 산업은 문화 원형으로서 임진왜란 이후 조선 도공에 의한 도자기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의 적극적인 산업지원책과 함께 중국 도자기 기술을 접목하여 발전을 시작했다. 여기에 명청 교체기 중국의 유럽시장이 일시적으로 폐쇄되자, 일본이 그 수출시장에 진입하게 되었고 서구의 취향을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 개발로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일본 근대도자기 산업 분석 결과, 한류의 시각 확대 방안으로 먼저 한류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문화원류’라는 기본적이고 탄탄한 우리 문화, 기 술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복합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현지 기업에서도 그 지역의 문화뿐만 아니라 주변 여러 형태의 문화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로 받아들이고 접목하는 직접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생산허브화의 작업이다. 국내를 비롯한 전 세계를 사업무대로 볼 때 각 지역의 필요와 욕구를 분석하여 생산에서부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 이 과정은 모두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각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대응방식을 효과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시스템화 된 교육을 통하여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한류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세계 속의 한류’란 숨은 요소가 시장을 만나 변화의 계기를 만들고,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런 요소를 적극적이고 의도적으로 찾아 나가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류의 범위 확대 및 해외 현지 기업에서의 활용 방안을 일본의 근대도자기 산업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의 근대 도자기 산업은 문화 원형으로서 임진왜란 이후 조...

      본 연구는 한류의 범위 확대 및 해외 현지 기업에서의 활용 방안을 일본의 근대도자기 산업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의 근대 도자기 산업은 문화 원형으로서 임진왜란 이후 조선 도공에 의한 도자기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의 적극적인 산업지원책과 함께 중국 도자기 기술을 접목하여 발전을 시작했다. 여기에 명청 교체기 중국의 유럽시장이 일시적으로 폐쇄되자, 일본이 그 수출시장에 진입하게 되었고 서구의 취향을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 개발로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일본 근대도자기 산업 분석 결과, 한류의 시각 확대 방안으로 먼저 한류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문화원류’라는 기본적이고 탄탄한 우리 문화, 기 술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복합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현지 기업에서도 그 지역의 문화뿐만 아니라 주변 여러 형태의 문화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로 받아들이고 접목하는 직접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생산허브화의 작업이다. 국내를 비롯한 전 세계를 사업무대로 볼 때 각 지역의 필요와 욕구를 분석하여 생산에서부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 이 과정은 모두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각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대응방식을 효과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시스템화 된 교육을 통하여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한류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세계 속의 한류’란 숨은 요소가 시장을 만나 변화의 계기를 만들고,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런 요소를 적극적이고 의도적으로 찾아 나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recipe for expanding the Korean wave’s coverage and the application of local businesses through modern Japanese pottery industry. As a cultural archetype, modern Japanese ceramics industry that based on Korean potter’s technolog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s developed by Japanese aggressive industrial support and combining Chinese pottery technology. In addition, China’s European market has temporarily clos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ing to Qing. Then Japan has entered European market instead of China, and enjoyed boom by new design development that reflected Western preference.
      From a result of analysis on modern Japanese ceramics industry, perspective range of the Korean wave should be expanded for its extension. Also, as the base of fundamental and robust Korean culture and technology called cultural archetype, culture complex is necessary. It is important to local businesses are open to local cultures but also other multiform cultures and combine them in a straightforward way too.
      Next is making a hub of production. From a global perspective as a place of businesses, the platform needs to be formed which can make a role of productive hub such as, analyzing each region’s needs and want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Because the process targets on world market, immediate reaction to the each markets’ change and making strategies are required.
      At last, a structure that can hand down know-hows through systemized education is needed to sustain these strategies effectively. The Korean wave has various factors. A forbidden factor, ‘Being together with Korean wave’ can be utilized with markets and influence to be changed, also construct the hub. These factors needs to be found aggressively and deliberately.
      번역하기

      This study suggests a recipe for expanding the Korean wave’s coverage and the application of local businesses through modern Japanese pottery industry. As a cultural archetype, modern Japanese ceramics industry that based on Korean potter’s techno...

      This study suggests a recipe for expanding the Korean wave’s coverage and the application of local businesses through modern Japanese pottery industry. As a cultural archetype, modern Japanese ceramics industry that based on Korean potter’s technolog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s developed by Japanese aggressive industrial support and combining Chinese pottery technology. In addition, China’s European market has temporarily clos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ing to Qing. Then Japan has entered European market instead of China, and enjoyed boom by new design development that reflected Western preference.
      From a result of analysis on modern Japanese ceramics industry, perspective range of the Korean wave should be expanded for its extension. Also, as the base of fundamental and robust Korean culture and technology called cultural archetype, culture complex is necessary. It is important to local businesses are open to local cultures but also other multiform cultures and combine them in a straightforward way too.
      Next is making a hub of production. From a global perspective as a place of businesses, the platform needs to be formed which can make a role of productive hub such as, analyzing each region’s needs and want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Because the process targets on world market, immediate reaction to the each markets’ change and making strategies are required.
      At last, a structure that can hand down know-hows through systemized education is needed to sustain these strategies effectively. The Korean wave has various factors. A forbidden factor, ‘Being together with Korean wave’ can be utilized with markets and influence to be changed, also construct the hub. These factors needs to be found aggressively and deliberat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조선 도공의 도일과 일본 도자기 산업의 발전
      • Ⅲ. 명청교체기 유럽수출 도자기 생산지의 이동
      • Ⅳ. 일본의 지원책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조선 도공의 도일과 일본 도자기 산업의 발전
      • Ⅲ. 명청교체기 유럽수출 도자기 생산지의 이동
      • Ⅳ. 일본의 지원책
      • Ⅴ. 결론 - 한류 창조의 새로운 지표와 해외 산업에의 적용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