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은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발달하고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은 어느 수준이며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33886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2009
한국어
741.5 판사항(22)
서울
viii, 128 장 : 삽도 ; 26 cm.
참고문헌(119-126 장)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은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발달하고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은 어느 수준이며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은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발달하고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은 어느 수준이며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혼합방법(mixed methods) 중 동시적 삼각화(concurrent triangulation)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고용지원센터에 재직 중인 16인의 직업상담자를 동료지명방식으로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상담자의 개념, 역할과 자질, 전문역량에 관한 선행연구와 심층면담 결과를 토대로 ‘직업상담자의 전문역량(안)’을 도출한 후 41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직업상담자의 전문성 자가평가 척도’를 제작하여 전문성 수준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직업상담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자기효능감, 조직풍토,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업상담 경험과 교육에 대한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한 후 209명의 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은 초보과정, 경험과정, 숙련과정, 전문과정을 통하여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직업상담자들이 고용지원센터 생활 중 전문성 부족을 경험하는 인과적 조건은 ‘직업상담자가 됨’이었고 전문성 부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직업상담의 초창기’, ‘몰려오는 내담자’, ‘직업상담자 교육’, ‘직업상담에 대한 인식’, ‘대학전공과 직업상담’이었다. 그리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인 전문성 발달 대처행동은 ‘프로의식’, ‘꾸준한 자기학습’, ‘교육기회 활용’, ‘상담자 모임 참여’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거나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문성 발달 대처행동 영향요인은 ‘고용지원센터 내담자’, ‘동료 직업상담자의 기대’, ‘고용지원센터 관리자’, ‘직업상담 전문가로서 인식’, ‘고용 불안’이었다. 전문성 발달 대처행동 결과, 직업상담자들은 ‘직업상담 이론과 현실 접목’, ‘고용지원센터 업무영역 개척’, ‘진로계획과 포부’, ‘자신과 직업상담자 일체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직업상담자의 전문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중간 이상을 상회하여 아직까지 높은 수준에 이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수준이 높은 영역은 ‘정보 관리’와 ‘직업상담 실시’였고, 전문성 수준이 낮은 영역은 ‘지역사회 연계’,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었다. 전문성은 연령이 높고,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 입직하기 전에 상담에 관련된 교육·훈련을 경험한 직업상담자, 상담 관련 전공인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이 높았다. 인력은행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직업상담자, 담당해 온 업무가 직업지도 영역인 직업상담자, 재직기간이 긴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이 높았다. 입직한 후 직업상담에 관련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교육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전문성이 높았다. 그리고 집단직업상담 프로그램 진행자로 선발된 경험이 있는 직업상담자, 상담 슈퍼비전을 경험해 본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이 그렇지 않은 직업상담자보다 높았다.
셋째, 직업상담자의 직업상담 관련 직무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는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집단직업상담 프로그램 진행자 선발 경험, 그동안 직업상담 관련 교육참여 횟수가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을 많이 설명하였다. 직업상담 사례를 동료나 다른 전문가로부터 슈퍼비전을 받은 경험, 인력은행 근무 경험은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외에도 상담 관련 전공, 입직전에 상담에 관련된 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험, 재직기간과 같은 요인도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상담자의 내적 요인 중 전문직업적 정체성에서 ‘준거로서 전문조직 활용’, ‘전문직업적 정체성 전체’,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 자기효능감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이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요인 중 조직풍토에서 ‘보상체계의 적절성’, 조직몰입에서 ‘조직몰입 전체’, ‘계속적 조직몰입’, ‘규범적 조직몰입’, ‘정서적 조직몰입’, 직무만족 요인에서 ‘외적 직무만족’이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직업상담자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직무교육의 내용과 방법 개선, 직업상담 슈퍼바이저의 양성과 배치, 직업상담을 위한 여건과 환경 조성, 직업상담자의 평가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직업상담자 직업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직업상담자의 전문성과 발달과정을 다루는 후속연구들을 기대한다.오늘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미디어가 발전됨에 따라 생성되는 지식과 정보의 양도 늘어났으며, 이것은 우리가 습득해야하는 정보도 그 만큼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레비는 이러한 많은 양의 정보를 집약시키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그 방법으로 제시한다. 이 연구가 정보의 소통(疏通)공간을 인터넷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늘날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매체를 따로 떼어 놓고 생각 할 수는 없으며, 이것은 현재 정보의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적인 얘기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터넷이 정보전달에 끼치는 영향력은 최근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네이버나 위키피디아와 같은 인터넷 지식공유 사이트에서 나타나는 정보소비형태의 변화를 통해 가늠해 볼 수 있다. 레비가 말하듯 인터넷 공간은 함께 사유하고 협동하여 경험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간이며, 사람들은 이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생산에 참여하고 정보를 소비한다. 또한 미디어의 발전은 과거 수동적이고 일방적으로 전달되었던 정보를 상호주체적인 쌍방향 전달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것은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데 있어 큰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집단지성에서 효율적 집단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에 정보의 유희적인 시각표현을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유희는 인간이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요소로서 그 자체로도 흥미롭고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들인다. 그리고 이러한 유희적 요소를 정보와 결합시킴으로써 정보를 좀 더 쉽고 친근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유희가 나타나는 시각적 표현을 통해 유희성이 창출되고 표현되는 현상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이것은 유희적인 시각전달이 집단 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과정을 통해 인포테인먼트의 유희적 시각표현이 집단소통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데 도움이 됨을 분석할 것이다. 현대적 논의에서 유희적 시각표현의 유희성이 확장적으로 논의 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 현상을 살펴 본 결과, 매개적으로 미디어의 환경적 요인과 미디어에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유희적인 성격을 담고 있었다. 즉, 우리는 이미 그 패러다임 안에서 유희적으로 소통하고 있었음을 도출할 수 있다.
즐거움을 근간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와 정보(Information)의 결합인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는 다양한 매체에 적용되어 소통의 확장을 가져다준다. 그리고 이러한 소통의 확장은 집단지성을 이루는 기본 전제조건으로 작용하므로, 소통의 확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집단지성에서 원활한 소통의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의 발전에 따른 변화된 정보의 소비 형태를 이해하고, 집단지성에서 정보가 소통되는 범위를 좀 더 확장된 개념으로 논의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edia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se days, quanti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generated is increased too and this means information we need to learn is also increased that much. Pierre Lévy ha...
As media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se days, quanti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generated is increased too and this means information we need to learn is also increased that much. Pierre Lévy had suggested ‘Collective Intelligence’ in cyber space as a method for collecting these large quantities of information intensively and for transmitting them fficiently. This does not limit communication space of information only to Internet but it is to talk about phenomenal story of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information. Impacts of Internet o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can be imponderable through changes of types of information consumption appearing in Internet knowledge sharing sites such as Naver or Wikipedia which recently share the recent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create new knowledge. As Lévy had said, Internet space is a space peoples can increase experiences by thinking and cooperating together and peoples participate in production of information in diverse methods in this space and also consume information. In addition, development of media is changing information, which was delivered passively and unilaterally in the past, into mutually subjective both directional transmission methods. This has a big meaning in producing and consuming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thods capable to accomplish efficient collective communication i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for this, amusement visual expression of information is suggested as its alternative plan. Amusements are interesting in themselves and also induce positive participations of users as an element for people to feel pleasures. And by combining these amusement elements with information, we may be able to transmit information more easier and friendlier. For this, I plan to review phenomena comprehensively in which nature of amusement is created through visual expression appearing amusement and this is to find out what impacts does visual transmission of amusement on collec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study, it will be analyzed that amusement visual expression of infortainment helps collective communication to be conducted efficiently. In modern discussion, nature of amusement of amusement visual expression was regarded to be discussed in expansion and as the result of reviewing that phenomenon, a method to communicate while mediating environmental factor of media and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media has contained the nature of amusement. That is, it was possible to draw out that we were already communicating with amusement within that paradigm.
Infortainment based on pleasure delivers expansion of communication as it is applied to diverse media. And since this expansion of communication is acting as a basic prerequisite for comprising collective intelligence,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as a method for smooth communication in collective intelligence by reviewing how expansion of communication is achieved. We have to understand consumption types of transform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which transmit information and also have to discuss the scope of information to be communicated in collective intelligence in a more expanded concep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