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 이주여성의 몸과 교차적 정치성 = Body and Intersectional Identit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8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nal/external hierarchy of the oppressive structure and the possibility/impossibility of solidarity by analyzing the unique experience of oppression experienced by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sectional recognition. The concept of intersectionality reveals the matrix of oppression in which various oppressive mechanisms intensify and amplify one another rather than a single axis of oppression. It is a concept which reasons the problem of marginalized women in political sense for the fact that the oppressive mechanism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continue one after another to amplify the intensity of oppression, providing a basis for criticizing structures that makes vulnerable people more vulnerable.
      The intersectional oppression of Hae-hwa,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appears in following aspects; First, it appears as the control image such as the ‘Wife of State’ and the ‘Bride Bought.’ The proces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experienced by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bought’ by the state and family system for care work and reproduction, is amplified through a path closely intertwined with state-family-woman-society-capital. Here, the body of marriage immigrant woman is re-hierarchized into settled woman and other women, sub-subjects and other sub-subjects, male immigrants and other immigrants. Second, the essence of the image of the 'Wife of State' or 'Bride Bought' lies in the sexuality of migrant women. Marriage migrant women's sexuality creates love with other men. Here, love becomes the arena of competition between oppression and desire. The male characters are violent and cynical and drive the main character to death by making a relationship of dis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solidarity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paralyzes the matrix of oppression even for a while through empathy and criticism. The intersectional politic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post-national era criticize the duplexing and re-hierarchy within the category and suggest that the possibility/impossibility of love and solidarity to be carefully rearranged.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nal/external hierarchy of the oppressive structure and the possibility/impossibility of solidarity by analyzing the unique experience of oppression experienced by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sectional recogniti...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nal/external hierarchy of the oppressive structure and the possibility/impossibility of solidarity by analyzing the unique experience of oppression experienced by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sectional recognition. The concept of intersectionality reveals the matrix of oppression in which various oppressive mechanisms intensify and amplify one another rather than a single axis of oppression. It is a concept which reasons the problem of marginalized women in political sense for the fact that the oppressive mechanism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continue one after another to amplify the intensity of oppression, providing a basis for criticizing structures that makes vulnerable people more vulnerable.
      The intersectional oppression of Hae-hwa,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appears in following aspects; First, it appears as the control image such as the ‘Wife of State’ and the ‘Bride Bought.’ The proces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experienced by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bought’ by the state and family system for care work and reproduction, is amplified through a path closely intertwined with state-family-woman-society-capital. Here, the body of marriage immigrant woman is re-hierarchized into settled woman and other women, sub-subjects and other sub-subjects, male immigrants and other immigrants. Second, the essence of the image of the 'Wife of State' or 'Bride Bought' lies in the sexuality of migrant women. Marriage migrant women's sexuality creates love with other men. Here, love becomes the arena of competition between oppression and desire. The male characters are violent and cynical and drive the main character to death by making a relationship of dis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solidarity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paralyzes the matrix of oppression even for a while through empathy and criticism. The intersectional politic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post-national era criticize the duplexing and re-hierarchy within the category and suggest that the possibility/impossibility of love and solidarity to be carefully rearrang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천운영의 󰡔잘가라, 서커스󰡕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고유한 억압의 경험을 교차성 인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억압구조의 내외부적 위계화와, 연대의 불/가능성을 탐색한다. 교차성 개념은 여성억압이 단일축이 아니라, 여러 억압기제들이 서로 강화하고 증폭하는 억압의 매트릭스를 드러낸다. 그것은 억압기제들이 상호작용하고, 연쇄적으로 이어지면서 억압의 강도를 증폭시키고, 취약한 정체성을 가진 이들을 더욱 취약하게 하는 구조를 비판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변화된 여성의 문제를 정치적으로 사유할 수 있게 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에서 주인공 해화의 교차적 억압의 양상은 첫째, ‘국가의 아내’, ‘돈 주고 사온 신부’ 라는 통제 이미지로 나타난다. 국가와 가족제도가 돌봄노동과 재생산을 위해 돈을 주고 사온 결혼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차별과 배제의 과정은 국가-가족-여성-사회-자본과 긴밀한 경로를 통해 맞물리며 증폭된다. 여기서 결혼 이주여성의 몸은 정주여성과 다른 여성, 하위주체와 다른 하위주체, 남성 이주자와 다른 이주자로 재위계화 된다. 둘째, ‘국가의 아내’나 ‘돈 주고 사온 신부’ 이미지의 핵심은 이주여성의 섹슈얼리티에 있다. 결혼 이주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다른 남성들과의 사랑을 만든다. 여기서 사랑은 억압과 욕망의 각축장이 되는 장소다. 남성인물들은 폭력적이고 냉소적이며, 무관계적인 관계를 만듦으로써 주인공을 죽음으로 내몬다. 반면 같은 이주여성들의 연대는 공감력과 비판기능을 통해 억압의 매트릭스를 잠깐이나마 마비시킨다. 이처럼 탈국가 시대 결혼 이주여성의 교차적 정치성은 범주내부의 이중화와 재위계화를 비판하고, 사랑과 연대의 불/가능성을 세심하게 재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천운영의 󰡔잘가라, 서커스󰡕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고유한 억압의 경험을 교차성 인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억압구조의 내외부적 위계화와, 연대의 불/가능성을 ...

      이 글은 천운영의 󰡔잘가라, 서커스󰡕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고유한 억압의 경험을 교차성 인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억압구조의 내외부적 위계화와, 연대의 불/가능성을 탐색한다. 교차성 개념은 여성억압이 단일축이 아니라, 여러 억압기제들이 서로 강화하고 증폭하는 억압의 매트릭스를 드러낸다. 그것은 억압기제들이 상호작용하고, 연쇄적으로 이어지면서 억압의 강도를 증폭시키고, 취약한 정체성을 가진 이들을 더욱 취약하게 하는 구조를 비판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변화된 여성의 문제를 정치적으로 사유할 수 있게 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에서 주인공 해화의 교차적 억압의 양상은 첫째, ‘국가의 아내’, ‘돈 주고 사온 신부’ 라는 통제 이미지로 나타난다. 국가와 가족제도가 돌봄노동과 재생산을 위해 돈을 주고 사온 결혼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차별과 배제의 과정은 국가-가족-여성-사회-자본과 긴밀한 경로를 통해 맞물리며 증폭된다. 여기서 결혼 이주여성의 몸은 정주여성과 다른 여성, 하위주체와 다른 하위주체, 남성 이주자와 다른 이주자로 재위계화 된다. 둘째, ‘국가의 아내’나 ‘돈 주고 사온 신부’ 이미지의 핵심은 이주여성의 섹슈얼리티에 있다. 결혼 이주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다른 남성들과의 사랑을 만든다. 여기서 사랑은 억압과 욕망의 각축장이 되는 장소다. 남성인물들은 폭력적이고 냉소적이며, 무관계적인 관계를 만듦으로써 주인공을 죽음으로 내몬다. 반면 같은 이주여성들의 연대는 공감력과 비판기능을 통해 억압의 매트릭스를 잠깐이나마 마비시킨다. 이처럼 탈국가 시대 결혼 이주여성의 교차적 정치성은 범주내부의 이중화와 재위계화를 비판하고, 사랑과 연대의 불/가능성을 세심하게 재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페트리샤 콜린스, "흑인페미니즘사상" 여이연 1-520, 2009

      2 강진구,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1) : 171-191, 2011

      3 이춘호, "한국 이주노동자의 위치인식에 따른 정체성 변화"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093-1112, 2017

      4 이미림, "표류하는 동아시아 여성의 타자적 삶" 한국문명학회 15 : 81-108, 2014

      5 허윤,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3-98, 2016

      6 윤지영,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급진퀴어페미니즘은 가능한가?" 한국여성학회 33 (33): 141-198, 2017

      7 권혜린, "탈국경 서사의 민족 번역 - 강영숙 『리나』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4 (14): 171-194, 2015

      8 김재영, "코끼리" 실천문학사 1-358, 2005

      9 소영현,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 이주의 여성화, 이주노동의 가정주부화" 대중서사학회 23 (23): 85-117, 2017

      10 김수미, "정체성, 권력, 교차성" 5 : 29-42, 2018

      1 페트리샤 콜린스, "흑인페미니즘사상" 여이연 1-520, 2009

      2 강진구,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1) : 171-191, 2011

      3 이춘호, "한국 이주노동자의 위치인식에 따른 정체성 변화"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093-1112, 2017

      4 이미림, "표류하는 동아시아 여성의 타자적 삶" 한국문명학회 15 : 81-108, 2014

      5 허윤,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3-98, 2016

      6 윤지영,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급진퀴어페미니즘은 가능한가?" 한국여성학회 33 (33): 141-198, 2017

      7 권혜린, "탈국경 서사의 민족 번역 - 강영숙 『리나』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4 (14): 171-194, 2015

      8 김재영, "코끼리" 실천문학사 1-358, 2005

      9 소영현,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 이주의 여성화, 이주노동의 가정주부화" 대중서사학회 23 (23): 85-117, 2017

      10 김수미, "정체성, 권력, 교차성" 5 : 29-42, 2018

      11 천운영, "잘가라, 서커스" 문학동네 1-290, 2005

      12 게일 루빈, "일탈" 현실문화 1-904, 2015

      13 이혜경,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258-298, 2006

      14 연남경, "이주여성 재현의 서사학적 분석 - 『리나』, 『테러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62) : 217-246, 2016

      15 공선옥, "유랑가족" 실천문학사 1-267, 2005

      16 수전 밀러,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남성, 여성 그리고 강간의 역사" 오월의 봄 1-696, 2018

      17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폭력 피해 여성들의 생존 분투기" 오월의 봄 37-49, 2018

      18 서성란, "쓰엉" 산지니 1-288, 2016

      19 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길 1-165, 2010

      20 김애란, "비행운" 문학과지성사 129-168, 2012

      21 박찬순, "발해풍의 정원" 문학과지성사 1-383, 2009

      22 황석영, "바리데기" 창비 1-301, 2007

      23 강영숙, "리나" 랜덤하우스 1-382, 2006

      24 이미림, "다문화경계인으로서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연구-박찬순 소설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41) : 205-228, 2013

      25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 (50): 289-303, 2015

      26 래윈 코넬, "남성성/들" 이매진 1-448, 2013

      27 최종렬,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 - 방법론적ㆍ윤리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4 (4): 147-205, 2008

      28 한우리, "교차성×페미니즘" 여이연 1-187, 2018

      29 임지연, "공감 개념의 확장과 다문화적 공감서사-<이슬람 정육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7 : 225-254, 2018

      30 정현주, "경계를 가로지르는 결혼과 여성의 에이전시: 국제결혼이주연구에서 에이전시를 둘러싼 이론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109-121, 2009

      31 에바 일루즈, "감정 자본주의" 돌베개 1-238, 2010

      32 황정미,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여성연구소 9 (9): 1-37, 2009

      33 Crenshaw, Kimberlé,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43 : 1241-1299, 1991

      34 Crenshaw, Kimberlé,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1989 (1989): 139-1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