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페트리샤 콜린스, "흑인페미니즘사상" 여이연 1-520, 2009
2 강진구,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1) : 171-191, 2011
3 이춘호, "한국 이주노동자의 위치인식에 따른 정체성 변화"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093-1112, 2017
4 이미림, "표류하는 동아시아 여성의 타자적 삶" 한국문명학회 15 : 81-108, 2014
5 허윤,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3-98, 2016
6 윤지영,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급진퀴어페미니즘은 가능한가?" 한국여성학회 33 (33): 141-198, 2017
7 권혜린, "탈국경 서사의 민족 번역 - 강영숙 『리나』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4 (14): 171-194, 2015
8 김재영, "코끼리" 실천문학사 1-358, 2005
9 소영현,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 이주의 여성화, 이주노동의 가정주부화" 대중서사학회 23 (23): 85-117, 2017
10 김수미, "정체성, 권력, 교차성" 5 : 29-42, 2018
1 페트리샤 콜린스, "흑인페미니즘사상" 여이연 1-520, 2009
2 강진구,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1) : 171-191, 2011
3 이춘호, "한국 이주노동자의 위치인식에 따른 정체성 변화"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093-1112, 2017
4 이미림, "표류하는 동아시아 여성의 타자적 삶" 한국문명학회 15 : 81-108, 2014
5 허윤,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3-98, 2016
6 윤지영,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급진퀴어페미니즘은 가능한가?" 한국여성학회 33 (33): 141-198, 2017
7 권혜린, "탈국경 서사의 민족 번역 - 강영숙 『리나』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4 (14): 171-194, 2015
8 김재영, "코끼리" 실천문학사 1-358, 2005
9 소영현,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 이주의 여성화, 이주노동의 가정주부화" 대중서사학회 23 (23): 85-117, 2017
10 김수미, "정체성, 권력, 교차성" 5 : 29-42, 2018
11 천운영, "잘가라, 서커스" 문학동네 1-290, 2005
12 게일 루빈, "일탈" 현실문화 1-904, 2015
13 이혜경,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258-298, 2006
14 연남경, "이주여성 재현의 서사학적 분석 - 『리나』, 『테러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62) : 217-246, 2016
15 공선옥, "유랑가족" 실천문학사 1-267, 2005
16 수전 밀러,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남성, 여성 그리고 강간의 역사" 오월의 봄 1-696, 2018
17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폭력 피해 여성들의 생존 분투기" 오월의 봄 37-49, 2018
18 서성란, "쓰엉" 산지니 1-288, 2016
19 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길 1-165, 2010
20 김애란, "비행운" 문학과지성사 129-168, 2012
21 박찬순, "발해풍의 정원" 문학과지성사 1-383, 2009
22 황석영, "바리데기" 창비 1-301, 2007
23 강영숙, "리나" 랜덤하우스 1-382, 2006
24 이미림, "다문화경계인으로서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연구-박찬순 소설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41) : 205-228, 2013
25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 (50): 289-303, 2015
26 래윈 코넬, "남성성/들" 이매진 1-448, 2013
27 최종렬,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 - 방법론적ㆍ윤리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4 (4): 147-205, 2008
28 한우리, "교차성×페미니즘" 여이연 1-187, 2018
29 임지연, "공감 개념의 확장과 다문화적 공감서사-<이슬람 정육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7 : 225-254, 2018
30 정현주, "경계를 가로지르는 결혼과 여성의 에이전시: 국제결혼이주연구에서 에이전시를 둘러싼 이론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109-121, 2009
31 에바 일루즈, "감정 자본주의" 돌베개 1-238, 2010
32 황정미,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여성연구소 9 (9): 1-37, 2009
33 Crenshaw, Kimberlé,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43 : 1241-1299, 1991
34 Crenshaw, Kimberlé,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1989 (1989): 139-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