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2 안병직, "필사본 경세유표에 대한 서지적 검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8) : 167-196, 2011
3 노관범, "청년기 張志淵의 학문 배경과 博學風" 조선시대사학회 (47) : 229-268, 2008
4 정인보, "정양완 역, 薝園文錄" 태학사 2006
5 "정약용 저작 필사본"
6 최익한, "정다산연구" 과학원철학연구소 1999
7 박홍식,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45-93, 2010
8 최재목,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95-131, 2010
9 임미정, "이담속찬의 이본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8) : 239-272, 2011
10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 1989
1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2 안병직, "필사본 경세유표에 대한 서지적 검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8) : 167-196, 2011
3 노관범, "청년기 張志淵의 학문 배경과 博學風" 조선시대사학회 (47) : 229-268, 2008
4 정인보, "정양완 역, 薝園文錄" 태학사 2006
5 "정약용 저작 필사본"
6 최익한, "정다산연구" 과학원철학연구소 1999
7 박홍식,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45-93, 2010
8 최재목,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95-131, 2010
9 임미정, "이담속찬의 이본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8) : 239-272, 2011
10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 1989
11 장문석, "식민지 출판과 양반 ― 1930년대 신조선사의 고문헌 출판 활동과 전통 지식의 식민지 공공성" 민족문학사학회 (55) : 351-407, 2014
12 노경희, "미국 소재 정약용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서지적 특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5) : 81-118, 2009
13 방인,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7-44, 2010
14 김보름, "단국대 연민문고 소장 『매씨상서평』의 학술적 가치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27 : 2012
15 박종천, "다산의 『논어』 주석서 전승에 대한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3) : 133-174, 2013
16 실학박물관, "다산과 가장본 여유당집" 실학박물관 2010
17 임미정, "다산茶山의 『이담속찬耳談續纂』 편찬 과정에 대하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4) : 45-79, 2009
18 박철상, "다산茶山 저작 고본稿本의 제문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3) : 7-40, 2013
19 노경희,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133-169, 2010
20 김문식, "다산 정약용의 『상서尙書』 주석서 계열 고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3) : 85-132, 2013
21 박종천, "다산 예집禮集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 : 307-360, 2012
22 나카무라 겐토, "경성부근 수해실황기(1925년)(근대 수문조사 고문서 번역시리즈2)" 국토해양부 2010
23 장길상, "通草"
24 이병곤, "退修齋日記"
25 정인보, "薝園鄭寅普全集"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3
26 노경희, "茶山 저술의 전승과 유통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 茶山家藏의 稿本에서 『與猶堂全書』에 이르기까지" 한국한문학회 (50) : 169-205, 2012
27 정석종, "茶山 著作에 대한 2․3의 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6) : 1983
28 조성을, "與猶堂集의 문헌학적 연구" 혜안 2004
29 "與猶堂全書" 신조선사 1938
30 "每日申報"
31 황현, "梅泉野錄" 국사편찬위원회 1971
32 "東亞日報"
33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天命, 茶山의 하늘, 丁若鏞 250" 2012
34 "京鄕新聞"
35 김영호, "丁茶山硏究의 現況" 민음사 1985
36 조성을, "丁若鏞著作의 體系와 <與猶堂集> 雜文의 再構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8 : 1984
37 방인, "『주역사전周易四箋』의 텍스트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 정고본定稿本 및 신조본新朝本의 저본底本을 찾기 위한 시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4) : 5-43, 2009
38 김언종, "『여유당전서보유』의 저작별 진위문제에 대하여(中)"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305-331, 2007
39 김언종, "『여유당전서보유』의 저작별 진위문제에 대하여(下)"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1) : 321-353, 2007
40 김언종, "『여유당전서보유』의 저작별 진위문제에 대하여(上)"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123-175, 2006
41 장동우, "『여유당전서』정본사업을 위한 필사본 연구 - 경집經集을 중심으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7) : 251-289, 2005
42 노경희, "『아언각비雅言覺非』 의 이본과 유전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3) : 175-210, 2013
43 김문식,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필사본의 원문 비교"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227-258, 2007
44 박종천, "『민보의民堡議』필사본에 대한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2) : 145-173, 2008
45 조성을, "『경세유표經世遺表』의 문헌학적 검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259-304, 2007
46 정석태, "『退溪集』의 編刊 經緯와 그 體裁" 영남퇴계학연구원 (2) : 157-326, 2008
47 조성을, "『與猶堂集』 禮學關聯 著作의 再構成과 年代考證-「自撰墓誌銘」體制에 의거한 『喪禮四箋』 『喪禮外編』 『四禮家式』 『典禮考』의 復元-" 한국서지학회 (29) : 2005
48 김보름, "“여유당집”의 성립에 관한 고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8) : 197-236, 2011
49 채관식, "1930년대 '조선학'의 심화와 전통의 재발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