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시장의 발전에 따라 영화 속의 사운드도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영화 속의 사운드는 영화음악, 음향 효과, 영화대사로 나뉜다. 예전의 문헌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 세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862475
부산 :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영상콘텐츠학과 , 2019. 2
2019
한국어
부산
92 ; 26 cm
지도교수: 이상윤
I804:21007-20000018680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영화 시장의 발전에 따라 영화 속의 사운드도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영화 속의 사운드는 영화음악, 음향 효과, 영화대사로 나뉜다. 예전의 문헌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 세 가...
영화 시장의 발전에 따라 영화 속의 사운드도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영화 속의 사운드는 영화음악, 음향 효과, 영화대사로 나뉜다. 예전의 문헌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 세 가지 영화 사운드에서 음악의 기능이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음악의 개념과 기능을 연구했다. 그 다음으로 선행 연구 성과와 이론적인 논증을 통해 <Kung Fu Panda> 중의 음악 기능을 세 가지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했다.
'감정 해설자'라는 기능을 연구할 때 필자는 <Kung Fu Panda>에서 세 명의 주인공을 선정하여 세 주인공의 줄거리와 음악을 대상으로 '정서 그림'을 그렸다. '정서 그림'과 '프리드리히 마르푸르크에 의한 분류'를 통해 주인공의 정서 변화와 음악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주인공의 정서가 변화할 때 음악의 특성이 주인공의 정서에 따라 변화하고 관중들로 하여금 자신을 주인공의 캐릭터 정서에 대입시키게 한다.
'연속성 유지'라는 기능을 연구할 때 필자가 <Kung Fu Panda>의 줄거리에 따라 전체 영화를 네 개의 '시퀀스 (Sequence)'로 나누었고 모든 '시퀀스'에 '장면 음악 시간라인 지도'을 그렸다. '장면 음악 시간라인 지도' 위에 있는 것은 영화 장면의 전환이고 '장장면 음악 시간라인 지도' 아래에 있는 것은 음악의 전환이다. 장면과 음악의 전환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음악이 영화화면 변화에 있어 어떠한 기능('연속성 유지')을 하는지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화 <Kung Fu Panda>에서 영화 음악은 세 가지 방법으로 장면과 화면을 연결시켰다. 1. 음악 한 절로 비슷한 줄거리의 두 개 또는 여러 개 장면을 연결한다. 2. 'J-cut'이나 'L-cut' 두 가지 편집 기법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장면을 연결한다. 3. 음악 특성의 변화로 서로 다른 시간의 똑같은 장면을 연결한다. 상기한 세 가지 방법으로 화면 전환의 갑작스러움을 약화시켜 관중들로 하여금 영화 줄거리에 주목하게 한다.
'서사적인 신호'라는 기능을 연구할 때 필자는 <Kung Fu Panda>의 줄거리 구조에 따라 '정서 구조와 음악 특성 변화 그림'을 그렸고 줄거리 변화할 때 음악 특성의 변화를 분석했다. <Kung Fu Panda>에서 음악의 '서사적인 신호' 기능을 분석한 결과 필자는 <Kung Fu Panda>의 줄거리에 있어 줄거리가 변화할 때 앞부분 줄거리 끝의 음악 특성에 극단적인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부드럽고 느린 음악 특성이 갑자기 시끄럽고 빠른 특성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런 방식을 통해 관중들에게 일종의 심리적인 암시를 주며 뒤의 줄거리로 전환했을 때 갑작스런 느낌을 주지 않는다.
필자는 음악의 어떤 기능을 사용하든 결국 모두 관중들에게 작용하고 관중들이 영화에 대한 인상을 깊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관중들이 좋아하는 영화가 바로 성공적인 영화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영화 <Kung Fu Panda>는 큰 성공을 하였고 이 성공은 영화 속 음악 제작과 갈라놓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 문헌 찾기, 사례 분석 등 방법을 통해 상기 연구 작업을 진행했다. 새로운 각도로 영화 속 영화 음악의 기능을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애니메이션 창작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영화와 참고 문헌을 통해 영화음악의 기능, 영화음악 영화 속 표현 효과, 영화음악의 기능 등과 관련한 지식을 습득했고, 이런 지식들을 구체적으로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의 창작과 편집에 있어서 음악에 추가된 시간과 방식을 표준화시킬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