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새로 육성한 오디 생산용 뽕품종 대성뽕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Mulberry Cultivar Daesungppong (Morus Lhou(Ser.) Koidz.) for Mulberry Fruit Prod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407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로 누에사육을 위한 사료 생산용으로 이용되던 뽕나무의 용도가 다양화 되면서, 부산물로 이용되어 온 오디가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디 생산에 적합한 뽕...

      주로 누에사육을 위한 사료 생산용으로 이용되던 뽕나무의 용도가 다양화 되면서, 부산물로 이용되어 온 오디가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디 생산에 적합한 뽕 품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새로운 오디용 뽕품종으로 대성뽕을 육성하였으며 이 품종의 육성 경위와 특성은 아래와 같다. 1. `02-`06년까지 수원, 청주 및 공주 3개 지역에서 청일뽕을 대조품종으로 하여 지역적응시험을 거쳤으며, 직무 육성신품종 심의회에서 오디 생산용으로 우수한 품종임이 인정되어 품종으로 등록하였다. 2. 대성뽕은 2배성 Ficus 계통에 콜히친을 처리하여 만든 염색체수가 2n=56인 4배체 품종이다. 3. 대성뽕은 노상형(Morus Lhou(Ser.) Koidz)에 속하는 암나무이며, 발아개엽기는 청일뽕과 비슷한 직립성의 중생종이다. 4. 잎의 크기는 대형으로 두꺼우며, 잎 모양은 타원형이다. 5. 오디는 식재 후 3년 차부터 결실하기 시작하였으며, 10 a당 연간수량은 결실 1년 차에는 청일뽕보다 57% 높았으며, 2년 차에는 39% 증수되어 2년 평균 47% 증수되는 다수성 품종으로 초기 결실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6. 오디의 단과중은 3.3g으로 대과형이며, 완숙된 오디의 색상은 적자색이다. 오디의 당도는 청일뽕보다 낮으나 생리활성물질인 C3G, rutin 및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bred new mulberry cultivar through local adaptability test, which was registered as a new cultivar for fruit production. Local adaptability test had been carried out at three places(Suwon, Konju and Cheongju) for three years since 2002. This is tet...

      We bred new mulberry cultivar through local adaptability test, which was registered as a new cultivar for fruit production. Local adaptability test had been carried out at three places(Suwon, Konju and Cheongju) for three years since 2002. This is tetraploidy variety belonging to (Morus Lhou(Ser.) Koidz.) made by colchicine treatment on growing point of winter buds. Daeseongppong was high yielding in productivity by 48% compared to control cultivar Chungilppong for two years. Although Daesungppong was a little lower in sugar content of mulberry fruits, it contains more bioactive materials like C3G, rutin and amino acids than Chungilppong. It is adaptable to every where except the places where cold damage and sclerotial disease happen frequent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