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법의 연원의 의의와 그 구성요소 = Source of International Law: Its Significance and Constituent Elem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sources of positive international law. The primary and most important issue in the theory of source of international law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ource of law'. The research of source of international law presuppose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law'. In international relations, differently from internal society in which only general legal norms imposed by a State are recognized as law, not merely general international law binding all th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also treaties between individual States, regional customary law, and any other norms imposing legal obligations to particular States should be considered as law. Therefore, any procedure and act creating these norms could be recognized as sources of international law.
      In this article, we define, first of all, the concept of source of law in legal science in general. In this regard, the original and general meaning of source of law is to be reminded and the source of law i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ncepts such as base of law, forms of existence of law, cause of law, applicable rules for legal decision, etc. And we distinguish the material sources and formal sources in international law. In the latter half of this article, we make search for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source of international law, limiting them to formal sources. The question is to investigate the procedures, acts or channels through which international norms are vested with legal binding force. In this section, it is emphasized that all the international norms which impose binding obligations to States could be considered as international law. From this point of view, we search for formal sources of such legal norms: treaties, customs, unilateral acts of States, decis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judgements of international tribunals, etc.
      번역하기

      This paper deals with the sources of positive international law. The primary and most important issue in the theory of source of international law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ource of law'. The research of source of international law presupposes the...

      This paper deals with the sources of positive international law. The primary and most important issue in the theory of source of international law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ource of law'. The research of source of international law presuppose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law'. In international relations, differently from internal society in which only general legal norms imposed by a State are recognized as law, not merely general international law binding all th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also treaties between individual States, regional customary law, and any other norms imposing legal obligations to particular States should be considered as law. Therefore, any procedure and act creating these norms could be recognized as sources of international law.
      In this article, we define, first of all, the concept of source of law in legal science in general. In this regard, the original and general meaning of source of law is to be reminded and the source of law i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ncepts such as base of law, forms of existence of law, cause of law, applicable rules for legal decision, etc. And we distinguish the material sources and formal sources in international law. In the latter half of this article, we make search for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source of international law, limiting them to formal sources. The question is to investigate the procedures, acts or channels through which international norms are vested with legal binding force. In this section, it is emphasized that all the international norms which impose binding obligations to States could be considered as international law. From this point of view, we search for formal sources of such legal norms: treaties, customs, unilateral acts of States, decis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judgements of international tribunals,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실정국제법의 연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법 연원론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것은 ‘법의 연원’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국제법 연원의 탐구는 아울러 ‘국제법’의 개념 정의를 전제로 한다. 오로지 국가에 의하여 부과되는 전체규범만을 법으로 인정하는 국내사회와는 달리, 국제관계에서는 국제공동체 전구성원을 구속하는 일반국제법뿐만 아니라 개별국가간의 조약과 지역관습법, 그 외에 개별 국가들에 대하여 법적 의무를 부과하는 여하한 규범도 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규범들을 창설하는 모든 절차 또는 행위가 국제법의 연원으로 취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법학 일반에서의 ‘법의 연원’의 개념을 정의하면서, 국제법의 연원의 의의를 규명한다. 이를 위하여 법의 연원의 본래적이고 일반적 개념을 파악한 후, 국제법에서 연원을 다룸에 있어서 이를 실질적 연원과 형식적 연원으로 구분한다. 이어서 국제법에 있어서 법의 연원을 법의 근거와 구별한 후, 이를 법의 존재형식, 법의 증거, 법의 원인, 재판준칙 등 타 개념들과 구분한다.
      이어서,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국제법의 연원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탐색함에 있어서, 이를 형식적 연원의 범주로 국한한다. 여기에서는 국제관계에 있어서 개별국가들에게 구속력있는 의무를 부과하는 규범들의 총체를 ‘국제법’으로 전제하고, 그러한 규범들의 창설 방식 및 절차인 형식적 연원들을 가급적 망라적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국제법의 형식적 연원으로서 조약, 관습, 국가의 일방적 행위, 국제기구의 결정, 국제법정의 판결 등을 언급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실정국제법의 연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법 연원론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것은 ‘법의 연원’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국제법 연원의 탐구는 아울러 ...

      이 글은 실정국제법의 연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법 연원론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것은 ‘법의 연원’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국제법 연원의 탐구는 아울러 ‘국제법’의 개념 정의를 전제로 한다. 오로지 국가에 의하여 부과되는 전체규범만을 법으로 인정하는 국내사회와는 달리, 국제관계에서는 국제공동체 전구성원을 구속하는 일반국제법뿐만 아니라 개별국가간의 조약과 지역관습법, 그 외에 개별 국가들에 대하여 법적 의무를 부과하는 여하한 규범도 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규범들을 창설하는 모든 절차 또는 행위가 국제법의 연원으로 취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법학 일반에서의 ‘법의 연원’의 개념을 정의하면서, 국제법의 연원의 의의를 규명한다. 이를 위하여 법의 연원의 본래적이고 일반적 개념을 파악한 후, 국제법에서 연원을 다룸에 있어서 이를 실질적 연원과 형식적 연원으로 구분한다. 이어서 국제법에 있어서 법의 연원을 법의 근거와 구별한 후, 이를 법의 존재형식, 법의 증거, 법의 원인, 재판준칙 등 타 개념들과 구분한다.
      이어서,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국제법의 연원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탐색함에 있어서, 이를 형식적 연원의 범주로 국한한다. 여기에서는 국제관계에 있어서 개별국가들에게 구속력있는 의무를 부과하는 규범들의 총체를 ‘국제법’으로 전제하고, 그러한 규범들의 창설 방식 및 절차인 형식적 연원들을 가급적 망라적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국제법의 형식적 연원으로서 조약, 관습, 국가의 일방적 행위, 국제기구의 결정, 국제법정의 판결 등을 언급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핵실험 사건」(ICJ Reports 1974, pp. 253 ff.)"

      2 "「동부그린란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사건」(PCIJ, Series A/B, vol. 2, No.53)"

      3 김부찬, "국제법특강" 보고사 77-, 2014

      4 김대순, "국제법론(제18판)" 삼영사 42-, 2015

      5 杉原高嶺, "現代國際法講義" 有斐閣 13-, 2007

      6 정인섭, "新국제법강의" 박영사 31-32, 2013

      7 李漢基, "國際法學" 博英社 1959

      8 柳炳華, "國際法 I" 법문사 69-, 1999

      9 J. G. Starke, "Treaties as a Source of International Law" 23 : 1946

      10 H. Kelsen, "The Pure Theory of Law" Univ. of California Press 1970

      1 "「핵실험 사건」(ICJ Reports 1974, pp. 253 ff.)"

      2 "「동부그린란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사건」(PCIJ, Series A/B, vol. 2, No.53)"

      3 김부찬, "국제법특강" 보고사 77-, 2014

      4 김대순, "국제법론(제18판)" 삼영사 42-, 2015

      5 杉原高嶺, "現代國際法講義" 有斐閣 13-, 2007

      6 정인섭, "新국제법강의" 박영사 31-32, 2013

      7 李漢基, "國際法學" 博英社 1959

      8 柳炳華, "國際法 I" 법문사 69-, 1999

      9 J. G. Starke, "Treaties as a Source of International Law" 23 : 1946

      10 H. Kelsen, "The Pure Theory of Law" Univ. of California Press 1970

      11 P. E. Corbett, "The Consent of States and the Sources of the Law of Nations" 20 : 1925

      12 H. L. A. Hart, "The Concept of Law" Clarendon Press 294-, 1994

      13 R. Kolb, "Réflexions de philosophie du droit international" Bruylant 2003

      14 G. Scelle, "Précis du droit des gens - principes et systématique, première partie" Sirey

      15 I. Brownlie,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6 H. Kelsen,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Holt, Rinehart and Winston 437-438, 1967

      17 M. Virally, "Panorama du droit international public"(Cours général de droit international public), Recueil des Cours de l'Académie de Droit International"

      18 R. Jennings, "Oppenheim's International Law, Vol. I" Longman 23-, 1992

      19 J. - L. Bergel, "Méthode du droit - Théorie générale du droit" Dalloz 1985

      20 M. Virally, "Manual of Public International Law" Macmillan 1968

      21 F. Horchani, "Les sources du droit international public" L.G.D.J 71-, 2008

      22 L. Le Fur, "La théorie du droit naturel depuis le XVIIe siècle et la doctrine moderne"

      23 Ch. de Visscher, "La codification du droit international"

      24 M. Virally, "La Pensée juridique" L. G. D. J 148-, 1960

      25 J. Salmond, "Jurisprudence" Sweet and Maxwell 1947

      26 Nuclear Tests, "Judgment, I.C.J. Reports 1974"

      27 J. H. W. Verzjil,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Vol. I" Sijthoff 1-, 1968

      28 L. Oppenheim, "International Law - A Treatise, vol. I" Longmans, Green and Co 20-21, 1905

      29 H. Thirlway,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 Press 2010

      30 M. N. Shaw,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 Press 2008

      31 H. Grotius, "F. W. Kelsey" Oceana Publication 14-15, 1964

      32 "E. de Vattel, The Law of Nations or the Principles of Natural Law Applied to the Conduct and to the Affairs of Nations and of Sovereigns, vol. III, translation of the Edition of 1758 by Charles G. Fenwick(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916)"

      33 Ch. Rousseau, "Droit international public, Tome" Sirey 1970

      34 P.-M. Dupuy, "Droit international public" Dalloz 231-, 1998

      35 J. Combacau, "Droit international public" Montchretien 42-, 2004

      36 N. Q. Dinh, "Droit international public" L.G.D.J 2009

      37 J. Salmon, "Dictionnaire de droit international public" Bruylant 1041-, 2001

      38 H. Thierry, ""L'évolution du droit international"(Cours général de droit international public)"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0.86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