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CF 모델에 근거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구조 모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8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WHO의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260명...

      본 연구는 WHO의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260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 모든 지수 기준을 충족하여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신체 · 심리적 상태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이 적을수록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좋았다. 직접적인 영향력이 두 번째로 큰 요인은 시각-운동 통합능력으로 확인되었고, 세 번째로 큰 요인은 사회활동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 요인,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 순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2%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model was based on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model was based on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odel. The participants were 260 elderly who were more than 65 years ol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visual-motor integration and social activities had direct effects on IADL. That is,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the less chronic illness, the better IADL.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had indirect effect on IADL. This model explained 32% of the variance in IAD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6 (6): 273-280, 2002

      2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3 정지연, "한국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가정의학회 30 (30): 598-609, 2009

      4 김덕주,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운동실행과 시지각 능력과의 상관관계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4 (14): 69-79, 2006

      5 백옥미,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정요인 - 앤더슨모형의 적용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8) : 1-27, 2011

      6 강윤희, "재가노인의주관적건강, 일상생활수행능력, 영양상태간의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8 (38): 122-130, 2008

      7 신은경, "장애인의 기능과 장애, 환경요인에 관한 ICF 활용방안 - 일본의 생활기능장애건강분류(ICF)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151-175, 2013

      8 권미형, "일 지역사회 노인의 웰빙 예측모형" 94 (94): 94-96, 2013

      9 주애란, "일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 노인의 건강 관련 특성, 우울, 사회적 지지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간호학회 13 (13): 154-162, 2011

      10 김미애, "연령에 따른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변화" 한국노년학회 33 (33): 39-52, 2013

      1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6 (6): 273-280, 2002

      2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3 정지연, "한국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가정의학회 30 (30): 598-609, 2009

      4 김덕주,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운동실행과 시지각 능력과의 상관관계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4 (14): 69-79, 2006

      5 백옥미,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정요인 - 앤더슨모형의 적용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8) : 1-27, 2011

      6 강윤희, "재가노인의주관적건강, 일상생활수행능력, 영양상태간의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8 (38): 122-130, 2008

      7 신은경, "장애인의 기능과 장애, 환경요인에 관한 ICF 활용방안 - 일본의 생활기능장애건강분류(ICF)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151-175, 2013

      8 권미형, "일 지역사회 노인의 웰빙 예측모형" 94 (94): 94-96, 2013

      9 주애란, "일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 노인의 건강 관련 특성, 우울, 사회적 지지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간호학회 13 (13): 154-162, 2011

      10 김미애, "연령에 따른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변화" 한국노년학회 33 (33): 39-52, 2013

      11 안태규, "시, 지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 지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5 (5): 51-60, 2011

      12 왕명자,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기 효능감,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의 관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01-109, 2010

      13 정은숙, "노인의 우울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수면의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89-297, 2013

      14 이연숙,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343-364, 2008

      15 임주영, "노인의 스트레스와 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위협적 상황 인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16 조근종,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사회적지지 및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39 (39): 198-207, 2000

      17 한영란, "노인의 건강상태, 종교성과 죽음에 대한 공포간의 관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8 (18): 400-409, 2007

      18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제2편 :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28 (28): 508-513, 1989

      19 임영규,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연관된 인자" 14 (14): 97-108, 2008

      20 윤효순, "노인 당뇨환자의 시각-운동 통합능력 평가" 한국노년학회 31 (31): 641-652, 2011

      21 배진희,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 (29): 353-368, 2009

      22 "http://www.who.int/classifications/icf/en/"

      23 "http://www.kostat.go.kr"

      24 K. E. Beery, "The Beery–Buktenic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Pearson 2010

      25 T. A. Stamm, "Impairment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osteoporosis, osteoarthritis and chronic back pain : a secondary analysis of population-based health survey data" 17 : 139-, 2016

      26 S. Mueller-Schotte, "Fatigue as a long-term risk factor for limitations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or mobility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fter 10years" (9) : 1579-1587, 2016

      27 K. Tomioka, "Associ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26 (26): 553-561, 2016

      28 M. P. Lawton, "Assessment of Older People :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9 (9): 179-186, 1969

      29 김계수, "AMOS 18. 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3

      30 M. P. Lawton,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37 (37): 91-9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