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국현, "텍스트종류 연구의 과제 및 절차" 79 : 401-422, 2001
2 이성만, "텍스트유형학의 현황과 과제" 26 : 1-53, 2009
3 이미영, "텍스트 기반 과정 중심 작문 교수·학습 방안 연구 : 고등학교 독일어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4 박혜경, "중학생의 수준에 따른 영어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34 : 1-19, 2006
5 조국현,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의 의사소통적 특성 분석"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1 (11): 407-425, 2004
6 신형욱, "의사소통 중심 독일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7 (7): 235-266, 2000
7 신형욱, "외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 개발의 원칙" 5 (5): 253-272, 1999
8 유귀열, "영어 독해. 그 원리와 지도" 9 : 197-246, 1997
9 조국현, "독일어 교재의 연습에 대한 분석 고찰 -『Schritte international』과 『Delfin』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48 (48): 65-94, 2010
10 조국현, "독일어 교재 텍스트의 변화 양상 고찰 - 의사소통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51 (51): 131-158, 2011
1 조국현, "텍스트종류 연구의 과제 및 절차" 79 : 401-422, 2001
2 이성만, "텍스트유형학의 현황과 과제" 26 : 1-53, 2009
3 이미영, "텍스트 기반 과정 중심 작문 교수·학습 방안 연구 : 고등학교 독일어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4 박혜경, "중학생의 수준에 따른 영어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34 : 1-19, 2006
5 조국현,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의 의사소통적 특성 분석"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1 (11): 407-425, 2004
6 신형욱, "의사소통 중심 독일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7 (7): 235-266, 2000
7 신형욱, "외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 개발의 원칙" 5 (5): 253-272, 1999
8 유귀열, "영어 독해. 그 원리와 지도" 9 : 197-246, 1997
9 조국현, "독일어 교재의 연습에 대한 분석 고찰 -『Schritte international』과 『Delfin』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48 (48): 65-94, 2010
10 조국현, "독일어 교재 텍스트의 변화 양상 고찰 - 의사소통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51 (51): 131-158, 2011
11 조국현, "독일어 교재 Schritte international과 Delfin의 워크북 분석"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 (18): 365-386, 2011
12 송휘재, "그림동화를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텍스트 읽기 교육" 6 : 5-23, 2003
13 신명선,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적 특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7차 중학교 『국어』 1-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0 : 73-110, 2011
14 신형욱, "교과서의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 텍스트언어학의 과제와 한계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0 : 135-160, 2011
15 심문숙,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안 탐색" 13 (13): 103-119, 2000
16 박여성, "“비난 또는 헌사?” - 서평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4 : 89-137, 1997
17 Gansel, Christina, "Textsortenlinguistik" 2011
18 Rolf, Eckard, "Die Funktionen der Gebrauchstextsorten" 1993
19 Huneke, Hans-Werner, "Deutsch als Fremdsprache. Eine Einführung" 1997
20 Häussermann, Ulrich, "Aufgaben-Handbuch. Deutsch als Fremdsprache - Abriß einer Aufgaben- und Übungstypologie"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