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성인에서 골격형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전, 후와 정상교합자의 근활성도에 대한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N MUSCLE ACTIVITIES OF PRE- AND POST-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 AND NORMAL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35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두개악안면 영역은 많은 해부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근골격구조(musculodentos keletal system)로 두부골격의 구조, 악궁상태, 저작근의 형성 및 기능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두개악안...

      두개악안면 영역은 많은 해부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근골격구조(musculodentos keletal system)로 두부골격의 구조, 악궁상태, 저작근의 형성 및 기능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두개악안면 영역의 성장과 발육은 유전적인 요인이외에 환경적인 요인들 즉, 두개안면부의 근육을 포함한 주위조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대로 두개안면부의 골격구조가 변화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두개안면근육의 기능 또한 변화, 적응되는지에 대해서는 체게적인 연구결과가 미흡한 상태이다.
      저자는 골격형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수술 전, 후의 근활성도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두부 골격구조와 교합상태에 따른 저작근 기능의 상호관계 및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남자 15명과 술전 및 술후 골격형 제 Ⅲ급 부정교합자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저작효율검사 및 rest, clenching, chewing, swallowing시의 전측두근, 교근, 상순의 근활성도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의 안정위(rest)에서 술전 부정교합군에서 술후군보다 전측두군, 교근, 상순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였으며, 술후군에서는 상순에서만 정상대조군보다 의미있는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2. 최대교합(clenching)시는 술후군에서 술전 부정교합보다 전측두근, 교근, 상순에서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3. 저작(chewing)시는 술후군이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전측두근 및 교근에서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상순에서는 감소된 근활성도를 보였다.
      4. 연하(swallowing)시 술후군에서 상순은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감소되었으나 정상대조군보다 증가된 근활성도를 나타냈으며, 각 군간에 전측두근 및 교근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5. 저작효율은 술전부정교합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술후군에서 술전 부정교합군보다 증가되었으나 두군 모두 정상대조군과 유의차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aniofacial region is a musculodentoskeletal system that consists of many anatomical structures ; cranioskeletal structures, dental arches, and formation and functions of masticatory muscles have close correlations.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

      Craniofacial region is a musculodentoskeletal system that consists of many anatomical structures ; cranioskeletal structures, dental arches, and formation and functions of masticatory muscles have close correlations.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region are influenced by not only hereditory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raniofacial muscles and surrounding tissues. On the contrary, however, study on changes in functions or adaptations of craniofacial muscles following changes of craniofacial skeletal structures has been somewhat insufficient.
      The author's purpose was to observe correlations between masticatory muscular functions and change patters according to cranial skeletal structures and occlusion patters ; for this, comparative study of muscle activity changes of preand post-orthognathic surgery states in skeletal Cl Ⅲ malocclusion patients was performed.
      The selected sample groups were 15 normal male patients, 15 skeletal Cl Ⅲ pre-orthognatic surgery patients and 15 skeletal Cl Ⅲ post-orthognatic surgery patients. For each sample groups, cephalometric x-ray taking, masticatory efficiency test and measurements of muacle activities in anterior temporal muscle, masseter and upper lip in rest, clenching, chewing and swallowing were carried ou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resting state of mandible, pre-surgery malocclusion group showed higher m. activities in ant. temporalis, masseter and upper lip than post-surgery group. Post-surg. malocc.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m. activity only in upper li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2. In clenching state, post-surg. malocc. group showed higher m. activities in ant. temporalis, masseter and upper lip than pre-surg. malocc. group.
      3. In chewing state, post-surg. malocc. group showed higher m. activities in ant. temporalis and masseter than pre-surg. malocc. group ; on the other hand, decreased upper lip activity was noticed.
      4. In swallowing state, post-surg. malocc. group showed lower upper lip activity than pre-surg. malocc. group but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 activities of ant. temporalis and masseter was noticed among the three groups.
      5. Masticatory efficiency was lower in pre-surg. malocc. group than normal group ; masticatory efficiency showed and increase in post-surg. malocc. group compared to the pre-surg. malocc. group. However,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