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Arnett(2000)가 제안한 새로운 발달단계인 성인진입기(emerging adulthood)의 시작 시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유형(일반고, 특성화고)과 성별에 따른 성인진입기 인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89247
2021
-
370
KCI등재
학술저널
65-86(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rnett(2000)가 제안한 새로운 발달단계인 성인진입기(emerging adulthood)의 시작 시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유형(일반고, 특성화고)과 성별에 따른 성인진입기 인식...
본 연구는 Arnett(2000)가 제안한 새로운 발달단계인 성인진입기(emerging adulthood)의 시작 시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유형(일반고, 특성화고)과 성별에 따른 성인진입기 인식을 조사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일반고 학생 114명(남: 54명, 여: 60명)과 특성화고 학생 109명(남: 39명, 여: 70명)에게 주관적 성인 도달 인식, Arnett의 성인기준 목록, 성인진입기 특성에 대해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5.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유형과 성별에 상관없이 응답 학생의 대부분이 스스로 아직 성인이 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rnett의 성인기준들 가운데,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에 책임을 지는 것’을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성인기준으로 생각하였으나, 다른 기준에서는 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라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진입기 특성 6개 가운데, ‘정체성 탐색’에서 학교유형과 성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실험/가능성’, ‘불안정성’, ‘타인에게 집중’, ‘자신에게 집중’ 차원은 학교 유형이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간에 끼인 느낌’은 학교유형, 성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교육 및 상담에서의 시사점,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for high school seniors by type of school (professional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gender. The survey data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aving reached 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for high school seniors by type of school (professional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gender. The survey data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aving reached adulthood, Arnett s transition to adulthood questionnaire and Inventory of the dimensions of emerging adulthood(IDEA) collected from 11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54 males, 60 females) and 109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39 males, 70 femal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version. Result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school type and gender,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think they were adults yet. Second, the highest ranks in the whole groups were observed for the criteria, ‘accept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your actions.’ but in other criteria,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chool type or gender. Third, among the six subscales of the IDEA,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type and gender was found in identity exploration , and the subscale of experimentation/possibility , instability , other-focused , and self-focused differed depending on school type and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of feeling in between in terms of school type, gender, and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implication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지성, "한국 빈곤층 남성들의 연애와 결혼포기에 대한 연구 : 빈곤경험과 생계부양 책임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7
2 남재봉, "학교 유형과 청소년 비행" 27 (27): 59-91, 2010
3 김양분, "학교 다양화에 따른 고교 유형별 학교 및 학생 특성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2
4 이병임, "특성화고와 일반고 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4 (14): 35-48, 2014
5 강현구, "초기 청소년기 진로결정수준과 대학 및 전공 만족도가 자아정체감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8 (18): 57-88, 2015
6 김재희, "청년의 성인초기 발달과업 성취유형이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257-284, 2016
7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8 김동심,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부모지원, 교사지원, 진로성숙도,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 (20): 95-122, 2017
9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10 장미혜,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1 손지성, "한국 빈곤층 남성들의 연애와 결혼포기에 대한 연구 : 빈곤경험과 생계부양 책임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7
2 남재봉, "학교 유형과 청소년 비행" 27 (27): 59-91, 2010
3 김양분, "학교 다양화에 따른 고교 유형별 학교 및 학생 특성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2
4 이병임, "특성화고와 일반고 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4 (14): 35-48, 2014
5 강현구, "초기 청소년기 진로결정수준과 대학 및 전공 만족도가 자아정체감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8 (18): 57-88, 2015
6 김재희, "청년의 성인초기 발달과업 성취유형이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257-284, 2016
7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8 김동심,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부모지원, 교사지원, 진로성숙도,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 (20): 95-122, 2017
9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10 장미혜,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11 장희순, "대학생 자신의 발현 성인기 특성 인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99-420, 2019
12 송영준,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Mayseless, O., "What does it mean to be an adult? The Israeli experience" Summer (Summer): 5-20, 2003
14 Swanson, J. A., "Trends in literature about emerging adulthood : Review of empirical studies" 4 (4): 391-402, 2016
15 Nelson, L, J., "The influence of culture in emerging adulthood : Perspective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28 (28): 25-36, 2004
16 Maggs, J. L., "Social role patterning in early adulthood in the USA: Adolescent predictors and concurrent wellbeing across four distinct configurations" 3 (3): 190-210, 2013
17 Badger, S., "Perceptions of the transiton to adulthood among Chinese and American emerging adults" 30 (30): 84-93, 2006
18 Luyckx, K., "Perceived instability in emerging adulthood : The protective role of identity capital" 32 : 137-145, 2011
19 Shanahan, M. J., "On the frontier of adulthood: Theory, research, and public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5-255, 2005
20 Päivi, F., "Implications of timing of entering adulthood for identity achievement" 22 (22): 504-530, 2007
21 Newcomb, M. D., "Impact of adolescent drug use and social support on problems of young adults : A longitudinal study" 97 : 64-75, 1988
22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23 Johnson, M. K., "Growing up faster, feeling older : Har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72 : 39-60, 2009
24 Davis, S. N., "Gender ideology: Components, predictors, and consequences" 35 : 87-105, 2009
25 Reifman, A., "Emerging adulthood: Theory, assessment, and application" 2 (2): 37-48, 2007
26 Arnett, J. J.,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7 Lanctot, J., "Emerging adulthood features and adjustment : A person-centered approach" 6 : 91-103, 2018
28 Arnett, J. J., "Emerging adulthood :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55 : 469-480, 2000
29 Seiffge-Krenke, I., "Does successful attainment of developmental tasks lead to happiness and success in later developmental tasks? A test of Havighurst’s(1948) theses" 31 (31): 33-52, 2008
30 Mitchell, L. L., "Does college matter for emerging adulthood?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ducational groups" 44 : 2012-2027, 2015
31 Nelson, L. J., "Distinguishing features of emerging adulthood: The role of self-classification as an adult" 20 : 242-262, 2005
32 Havighurst, R.,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McKay 1952
33 Arnett, J. J., "Conceptions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 Perspective from adolescence through midlife" 8 (8): 133-143, 2001
34 Burton, L., "Childhood adultification 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families: A conceptual model" 56 : 329-345, 2007
35 Côté, J. E.,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 the UK and Canada: The role of structure and agency in emerging adulthood" 11 : 251-268, 2008
36 Schoon, I., "Becoming adults in Britain : Lifestyles and well-being in times of social change" 3 : 173-189, 2012
37 Nelson, L. J., "An examination of emerging adulthood in Romanian college student" 33 (33): 402-411, 2009
38 Arnett, J. J.,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A cultural approach" Pearson 2004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실수행목표구조와 공격성의 관계: 학업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아동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의 맞춤관여(Parental Accommodation)가 아동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퍼비전 스타일이 소집단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퍼바이지 비개방과 동료집단 친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10-04-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발달지원학회 -> 한국발달지원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