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기계약 전환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균등대우 원칙의 적용 =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Non-fixed Term Worker and Application of Equal Treatment Princi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0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간제근로자가 기간제법 제4조 제2항에 따라 무기계약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당사자 사이에 별단의 합의가 없다면 원칙적으로 기간의 정함 부분을 제외한 종전의 근로조건이 계속 적용된다. 법률에 의하여 고용형태뿐만 아니라 근로조건까지 강제로 정하는 것은 당사자의 계약자유 원칙을 중대하게 훼손하는 것으로 체약강제에 다름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간제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의 시정이 무기계약직의 합리적 근로조건 형성에도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무기계약직 전환 근로자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정규직 취업규칙이 곧바로 적용된다거나 기간제법 제8조 제1항에 의하여 차별시정 신청권이 인정된다고 본 대법원 판결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근로기준법 제6조의 사회적 신분은 장기간 점유되어 개인적 노력으로는 회피할 수 없을 정도로 고정화된 개인적 속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당사자의 사적자치(계약)에 의하여 형성된 고용상 지위에 대해서까지 사회적 신분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기계약직에 대한 차별금지 또는 균등대우 원칙을 정한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헌법의 기본적 가치질서로서 평등의 원칙과 민법상 신의칙에 기하여 사용자의 배려의무 또는 인사권 행사에 있어서 공정한 재량의 원칙에 따라 무기계약직의 근로조건을 공정하게 처우해야 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권한을 자의적으로 행사해서는 아니 된다(자의금지원칙). 독일과 일본에서도 사실상 동일한 원리를 승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기계약직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계약상의 지위이므로 여기에도 사적자치의 원칙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합리적인 근거 없이 자의적으로 무기계약직의 근로조건을 일방적으로 결정하거나 특정 수당을 감액하거나 지급하지 않는 것은 노동법상 평등취급의 원칙을 의미하는 일반 균등대우원칙 또는 균형적 처우의 원칙에 위반될 수 있다. 이 경우 근로자의 보호 관념을 고려하면서 사적자치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해석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기간제근로자가 기간제법 제4조 제2항에 따라 무기계약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당사자 사이에 별단의 합의가 없다면 원칙적으로 기간의 정함 부분을 제외한 종전의 근로조건이 계속 적용된다...

      기간제근로자가 기간제법 제4조 제2항에 따라 무기계약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당사자 사이에 별단의 합의가 없다면 원칙적으로 기간의 정함 부분을 제외한 종전의 근로조건이 계속 적용된다. 법률에 의하여 고용형태뿐만 아니라 근로조건까지 강제로 정하는 것은 당사자의 계약자유 원칙을 중대하게 훼손하는 것으로 체약강제에 다름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간제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의 시정이 무기계약직의 합리적 근로조건 형성에도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무기계약직 전환 근로자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정규직 취업규칙이 곧바로 적용된다거나 기간제법 제8조 제1항에 의하여 차별시정 신청권이 인정된다고 본 대법원 판결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근로기준법 제6조의 사회적 신분은 장기간 점유되어 개인적 노력으로는 회피할 수 없을 정도로 고정화된 개인적 속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당사자의 사적자치(계약)에 의하여 형성된 고용상 지위에 대해서까지 사회적 신분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기계약직에 대한 차별금지 또는 균등대우 원칙을 정한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헌법의 기본적 가치질서로서 평등의 원칙과 민법상 신의칙에 기하여 사용자의 배려의무 또는 인사권 행사에 있어서 공정한 재량의 원칙에 따라 무기계약직의 근로조건을 공정하게 처우해야 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권한을 자의적으로 행사해서는 아니 된다(자의금지원칙). 독일과 일본에서도 사실상 동일한 원리를 승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기계약직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계약상의 지위이므로 여기에도 사적자치의 원칙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합리적인 근거 없이 자의적으로 무기계약직의 근로조건을 일방적으로 결정하거나 특정 수당을 감액하거나 지급하지 않는 것은 노동법상 평등취급의 원칙을 의미하는 일반 균등대우원칙 또는 균형적 처우의 원칙에 위반될 수 있다. 이 경우 근로자의 보호 관념을 고려하면서 사적자치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해석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there is a transition of a fixed-term worker to an non-fixed term contract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Article 4 of Fixed-Term Employment Act, previous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are continuously applied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parties concerned. Thus, corrections on the discriminative treatment on the fixed-term worker are the important preconditions for creating reasonabl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indefinite-term employment.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interpret that rules of employment for regular employee should be applied on the fixed-term worker after transition to the non-fixed term employment. According to Article 6 of Labor Standards Act, social status means an individual attribute which is firmly fixed and cannot be avoided by personal efforts because it has been occupied for too long. Therefore, social status cannot be guaranteed on an employment status formed upon a private autonomy (contract). Even if there is no written provisions on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equal treatment principle toward the indefinite-term employment, th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the non-fixed term employment shall be treated fairly in accordance with a principle of fair discretionary power in exercising the employer’s duty to care or exercising personnel management right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s a fundamental value order of the Constitution and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Civil Act. Also, employer shall not exercise his or her right arbitrarily (Principle of Prohibition on Arbitrariness). In fact, Germany and Japan adopt the same principles. Since non-fixed term employment is a contractual status that employer and employee can choose,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s an important matter to be considered. However, when the employer decides th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non-fixed term employment arbitrarily and unilaterally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reduces certain allowances, or does not pay such allowances, such acts violate the equal treatment principle and balanced treatment principle meaning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in the labor law. In such cases, there should be a harmonious interpretation by considering the protection of employee while not damaging the essence of private autonomy.
      번역하기

      When there is a transition of a fixed-term worker to an non-fixed term contract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Article 4 of Fixed-Term Employment Act, previous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are continuously applied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

      When there is a transition of a fixed-term worker to an non-fixed term contract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Article 4 of Fixed-Term Employment Act, previous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are continuously applied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parties concerned. Thus, corrections on the discriminative treatment on the fixed-term worker are the important preconditions for creating reasonabl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indefinite-term employment.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interpret that rules of employment for regular employee should be applied on the fixed-term worker after transition to the non-fixed term employment. According to Article 6 of Labor Standards Act, social status means an individual attribute which is firmly fixed and cannot be avoided by personal efforts because it has been occupied for too long. Therefore, social status cannot be guaranteed on an employment status formed upon a private autonomy (contract). Even if there is no written provisions on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equal treatment principle toward the indefinite-term employment, th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the non-fixed term employment shall be treated fairly in accordance with a principle of fair discretionary power in exercising the employer’s duty to care or exercising personnel management right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s a fundamental value order of the Constitution and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Civil Act. Also, employer shall not exercise his or her right arbitrarily (Principle of Prohibition on Arbitrariness). In fact, Germany and Japan adopt the same principles. Since non-fixed term employment is a contractual status that employer and employee can choose,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s an important matter to be considered. However, when the employer decides th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non-fixed term employment arbitrarily and unilaterally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reduces certain allowances, or does not pay such allowances, such acts violate the equal treatment principle and balanced treatment principle meaning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in the labor law. In such cases, there should be a harmonious interpretation by considering the protection of employee while not damaging the essence of private aut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사안과 쟁점 Ⅱ. 판결의 내용 Ⅲ. 무기계약직 전환 후의 근로조건 Ⅳ. 근로기준법 제6조의 사회적 신분 의 의미와 무기계약 Ⅴ. 무기계약 근로자의 균등대우 또는 균형처우에 관한 법리 Ⅵ. 맺음말
      • Ⅰ. 사안과 쟁점 Ⅱ. 판결의 내용 Ⅲ. 무기계약직 전환 후의 근로조건 Ⅳ. 근로기준법 제6조의 사회적 신분 의 의미와 무기계약 Ⅴ. 무기계약 근로자의 균등대우 또는 균형처우에 관한 법리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毛塚勝利, "「限定正社員」 論の法的問題を考える" 勞働開發硏究會 (245) : 2014

      2 荒木尙志, "勞働法" 有斐閣 2020

      3 川口美貴, "勞働法" 信山社 2015

      4 野川忍, "勞働法" 日本評論社 2018

      5 菅野和夫, "勞働法" 弘文堂 2019

      6 土田道夫, "勞働契約法" 有斐閣 2016

      7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8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18

      9 강성태, "비정규직법 시행 1년의 평가 -차별시정제도의 현황과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5 (25): 169-185, 2008

      10 조연민, "무기계약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의 시정 ― 균등처우조항에 대한 최근 판례 검토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45) : 1-49, 2018

      1 毛塚勝利, "「限定正社員」 論の法的問題を考える" 勞働開發硏究會 (245) : 2014

      2 荒木尙志, "勞働法" 有斐閣 2020

      3 川口美貴, "勞働法" 信山社 2015

      4 野川忍, "勞働法" 日本評論社 2018

      5 菅野和夫, "勞働法" 弘文堂 2019

      6 土田道夫, "勞働契約法" 有斐閣 2016

      7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8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18

      9 강성태, "비정규직법 시행 1년의 평가 -차별시정제도의 현황과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5 (25): 169-185, 2008

      10 조연민, "무기계약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의 시정 ― 균등처우조항에 대한 최근 판례 검토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45) : 1-49, 2018

      11 한국노동법학회, "노동판례백선" 2021

      12 김형배, "노동법강의" 신조사 2021

      13 임종률, "노동법" 박영사 2021

      14 노동법실무연구회, "근로기준법주해 Ⅰ" 박영사 2020

      15 하갑래, "근로기준법" 중앙경제사 2021

      16 鶴 光太郞, "雇用制度改革-規制改革會議のアプローチ" 勞働開發硏究會 (247) : 2014

      17 荒木尙志, "詳說勞働契約法" 弘文堂 2014

      18 島田陽一, "正社員改革と雇用政策" 勞働開發硏究會 (247) : 2014

      19 西谷民, "勞働法" 日本評論社 2013

      20 西谷敏, "勞働基準法ㆍ勞働契約法" 日本評論社 2020

      21 Küttner, "Personalbuch" C.H.Beck 2014

      22 Henssler, "Müncher Kommentar zum BGB, Band 5" C.H.Beck 2020

      23 Hueck, "Lehrbuch des Arbeitsrecht I" F. Vahlen 1957

      24 Ascheid, "Kündigungsrecht" C.H.Beck 2021

      25 Müller-Glöge, "Erfurter Kommentar zum Arbeitsrecht" C.H.Beck 2021

      26 Wiedemann, "Die Gleichbehandlungsgebote im Arbeitsrecht" Mohr Siebeck 2001

      27 G. Hueck, "Der Grundsatz der gleichmäßigen Behandlung im Privatrecht" Beck 1958

      28 Hunnold, "Ausgewählte Rechtsprechung zur Gleichbehandlung im Betrieb - 2. Teil, NZA-RR" C.H.Beck 617-, 2006

      29 Thüsing, "Arbeitsrechtlicher Diskriminierungsschutz" C.H.Beck 2007

      30 Preis, "Arbeitsrecht Individualarbeitsrecht" Otto Schmidt 2020

      31 Waltermann, "Arbeitsrecht" Vahlen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4 1.23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