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영에 근거한 면접 점수의 통계적 모형 = A statistical model for interview score based on proj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78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면접 점수가 발생되는 통계적 모형을 사영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피면접자의 개인별 참값과 이와 관련된 변수값이 2차원 평면의 X와 Y축의 값으로 주어졌을 때, ...

      이 연구에서는 면접 점수가 발생되는 통계적 모형을 사영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피면접자의 개인별 참값과 이와 관련된 변수값이 2차원 평면의 X와 Y축의 값으로 주어졌을 때, 심사위원의 시각을 X축과의 각도로 생각하여 이 축에 사영된 값으로서 심사위원의 면접 점수의 평균으로 잡는 방법이다. 이 값에 개인적 편향과 관측 오차를 더해져 심사위원의 관측 면접 점수가 얻어지게 된다. 이 통계적 모형을 사용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는 면접 점수 표준화 방법인 절사평균법, 순위평균법, z-점수평균법을 비교하였다. 이 모의실험에서는 두 가지 면접 형태, 두 가지 면접자 수, 두 가지 면접자의 전문성 정도, 실제 점수와 관련된 변수 간의 분포 두 가지와 세 가지 상관계수가 고려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a statistical model based on projection that generates interview scores. In this model, each interviewee's true score and its related variable are viewed as X, Y values respectively in the two dimensional plane, and each inte...

      In this study, we propose a statistical model based on projection that generates interview scores. In this model, each interviewee's true score and its related variable are viewed as X, Y values respectively in the two dimensional plane, and each interviewer's score is the projected score of true score X to the axis rotated by some angle, which reflects the interviewer's perspective. Each interviewer's observed interview score is obtained by adding personal bias and observed error to this projected score. We compared commonly used standardizing methods of interview scores such as trimmed mean method, rank method, and z-score method based on the proposed statistical model. In this simulation, two types of interview methods, two numbers of interviewers, two degrees of interviewers' expertise and two distributions and three correlations between actual score and its related variable are all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만,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서 집단별 표준화변환을 이용한 강좌평가모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43-150, 2012

      2 민대기, "원점수 순위와 표준점수 순위 비교를 통한 표준화 방법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13-120, 2012

      3 허명회, "새 대학입시의 통계적 계획과 분석 - 문항분석과 선택과목 등화(표준점수제)를 중심으로" 1 : 215-225, 1994

      4 박철용, "면접점수 표준화 방법 모의실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2 (22): 189-196, 2011

      5 박성현, "대학입시에서의 선택과목 점수 표준화에 관한 연구" 28 : 124-132, 2000

      6 황형태, "대학입시에서의 면접점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3 (43): 309-314, 2004

      7 황형태, "대학 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통계학회 18 (18): 521-532, 2005

      8 Johnson, R. A.,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3rd edition" Prentice Hall 1992

      9 Kendall, M. G., "A new measure of rank correlation" 30 : 81-93, 1938

      1 이재만,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서 집단별 표준화변환을 이용한 강좌평가모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43-150, 2012

      2 민대기, "원점수 순위와 표준점수 순위 비교를 통한 표준화 방법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13-120, 2012

      3 허명회, "새 대학입시의 통계적 계획과 분석 - 문항분석과 선택과목 등화(표준점수제)를 중심으로" 1 : 215-225, 1994

      4 박철용, "면접점수 표준화 방법 모의실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2 (22): 189-196, 2011

      5 박성현, "대학입시에서의 선택과목 점수 표준화에 관한 연구" 28 : 124-132, 2000

      6 황형태, "대학입시에서의 면접점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3 (43): 309-314, 2004

      7 황형태, "대학 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통계학회 18 (18): 521-532, 2005

      8 Johnson, R. A.,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3rd edition" Prentice Hall 1992

      9 Kendall, M. G., "A new measure of rank correlation" 30 : 81-93, 193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1 0.911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