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부 방언의 단모음 체계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Vowel System in Southern Dial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6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방언자료집≫과 ≪지역어 조사 보고서≫, ≪지역별· 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동남 방언과 서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 변화를 방언 분포를 통해 살피고, 이와 관련한 음운 현상을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남 방언에서는 ‘ㅡ’와 ‘ㅓ’의 변별이 1930년대생 화자에게서부터 가능해지기 시작하였고, 서남 방언에서 ‘ㅔ’와 ‘ㅐ’의변별은 1970년대생 화자들부터 불가능해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서남방언 단모음 ‘ㅟ’, ‘ㅚ’가 이중모음으로 실현되는 것은 이보다 조금 더 늦게일어났다는 사실 역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들을 통해 두 방언권의 모음 체계는 결과적으로 7모음(/i, E, ɨ, ə, a, u, o/) 체계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음 체계의 변화와 함께 고모음화 및 모음조화에도 일정한변화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방언자료집≫과 ≪지역어 조사 보고서≫, ≪지역별· 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동남 방언과 서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 변화를 방언 분포를 통해 ...

      본 연구는 ≪한국방언자료집≫과 ≪지역어 조사 보고서≫, ≪지역별· 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동남 방언과 서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 변화를 방언 분포를 통해 살피고, 이와 관련한 음운 현상을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남 방언에서는 ‘ㅡ’와 ‘ㅓ’의 변별이 1930년대생 화자에게서부터 가능해지기 시작하였고, 서남 방언에서 ‘ㅔ’와 ‘ㅐ’의변별은 1970년대생 화자들부터 불가능해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서남방언 단모음 ‘ㅟ’, ‘ㅚ’가 이중모음으로 실현되는 것은 이보다 조금 더 늦게일어났다는 사실 역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들을 통해 두 방언권의 모음 체계는 결과적으로 7모음(/i, E, ɨ, ə, a, u, o/) 체계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음 체계의 변화와 함께 고모음화 및 모음조화에도 일정한변화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vowel systems of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dialects based on data from ≪한국방언자료집≫, ≪지역어 조사 보고서≫, and ≪지역별·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vowel system change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dialects and to explain the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It was foun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ㅡ’ and ‘ㅓ’ in southeastern dialects began to be possible from speakers born in the 1930s,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ㅔ’ and ‘ㅐ’ in southwestern dialects became impossible from speakers born in the 1970s. It was also note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diphthongs ‘ㅟ’ and ‘ㅚ’ as monophthongs in southwestern dialects occurred slightly later.
      Through these chan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vowel systems of the two dialect areas ultimately converge to a 7-vowel system(/i, E, ɨ, ə, a, u, o/).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certain changes in vowel harmony and high-vowelization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vowel system.
      번역하기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vowel systems of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dialects based on data from ≪한국방언자료집≫, ≪지역어 조사 보고서≫, and ≪지역별·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 The purpose is to i...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vowel systems of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dialects based on data from ≪한국방언자료집≫, ≪지역어 조사 보고서≫, and ≪지역별·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vowel system change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dialects and to explain the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It was foun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ㅡ’ and ‘ㅓ’ in southeastern dialects began to be possible from speakers born in the 1930s,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ㅔ’ and ‘ㅐ’ in southwestern dialects became impossible from speakers born in the 1970s. It was also note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diphthongs ‘ㅟ’ and ‘ㅚ’ as monophthongs in southwestern dialects occurred slightly later.
      Through these chan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vowel systems of the two dialect areas ultimately converge to a 7-vowel system(/i, E, ɨ, ə, a, u, o/).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certain changes in vowel harmony and high-vowelization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vowel syst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