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교사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평가 척도 개발 =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of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Sca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0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조사를 실...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사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의 하위 요인은 ‘교육학 지식(PK), 교과내용지식(CK), 테크놀로지 지식(TK), 테크놀로지 내용지식(TCK),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TPK)’의 5개 요인의 34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특수교육교사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의 5개 요인을 설명하는 측정 모형의 타당성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특수교육교사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 34개 문항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34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는 특수교육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rvey instrument to measure for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o evaluate the scale’s construct validity. For this purpose, 250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rvey instrument to measure for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o evaluate the scale’s construct validity. For this purpose, 25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a scale of 34 items of 5 factors of 'pedagogical knowledge(PK), Technology Knowledge(TK), Content Knowledge(CK),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TPK),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TCK' was developed.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ierarchical model explaining five fact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echnology teaching content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erefore, the scale consisting of 34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suitable as a measure to measure the technology teaching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윤우, "특수교육교사의 전환교육 실행 동기요인과 인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113-131, 2018

      2 박남수,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과 수업 참여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적용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45-59, 2013

      3 백종남, "통합교육교사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TPACK) 모형의 타당성 검증"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65-182, 2018

      4 나지연, "테크놀로지 도입에 대한 과학교육학 연구동향의 분석 및 과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내용지식(TPCK)을 위한 시사점" 과학교육연구소 53 (53): 511-524, 2014

      5 엄미리,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41-165, 2011

      6 김현진, "초등학교의 교육정보화가교수학습문화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55-186, 2007

      7 정윤우, "초등학교 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 만족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1-20, 2015

      8 소연희, "초등교사들이 지각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 지식(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교수효능감과 수업전문성 인식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소 14 (14): 125-147, 2013

      9 이태수, "증강현실 기반 중재와 개념적 의미지도가 정신지체 학생의 과학과 학습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21-441, 2015

      10 이태수, "증강현실 기반 언어교육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언어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31-52, 2014

      1 정윤우, "특수교육교사의 전환교육 실행 동기요인과 인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113-131, 2018

      2 박남수,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과 수업 참여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적용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45-59, 2013

      3 백종남, "통합교육교사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TPACK) 모형의 타당성 검증"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65-182, 2018

      4 나지연, "테크놀로지 도입에 대한 과학교육학 연구동향의 분석 및 과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내용지식(TPCK)을 위한 시사점" 과학교육연구소 53 (53): 511-524, 2014

      5 엄미리,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41-165, 2011

      6 김현진, "초등학교의 교육정보화가교수학습문화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55-186, 2007

      7 정윤우, "초등학교 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 만족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1-20, 2015

      8 소연희, "초등교사들이 지각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 지식(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교수효능감과 수업전문성 인식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소 14 (14): 125-147, 2013

      9 이태수, "증강현실 기반 중재와 개념적 의미지도가 정신지체 학생의 과학과 학습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21-441, 2015

      10 이태수, "증강현실 기반 언어교육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언어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31-52, 2014

      11 이태수, "증강현실 기반 안내된 탐구학습활동이 학습장애 학생의 과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2 (12): 251-271, 2017

      12 강경숙, "장애학생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적용 및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1-28, 2017

      13 서경혜,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수업연구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49-76, 2012

      14 신원석,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변화에 관한 연구: 테크놀로지 활용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71-80, 2012

      15 교육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안)"

      16 오혜정,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301-318, 2014

      17 김희규, "모의 수업 실연 과정이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과 교수내용지식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45-67, 2017

      18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의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19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20 정한호, "교실수업에서 나타나는 이러닝에 대한 생태학적 고찰" 한국교육공학회 24 (24): 31-69, 2008

      21 이민희,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TPACK의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 경력이 다른 두 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2 김정환, "고등학생의 실제적 지능, 초인지 및 의지력과 학업성취도간 인과구조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115-136, 2008

      23 한경근, "‘삶’ 중심의 사회과 융합 교육과정 설계의 논리와 과제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105-114, 2016

      24 Koehler, M. J.,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9 (9): 60-70, 2009

      25 Koehler, M., "What happens when teachers design educational technoolg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32 (32): 131-152, 2005

      26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1, 1986

      27 Schmidt, D. A.,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42 (42): 123-149, 2009

      28 Angeli, C., "Pre-service teachers as ICT designers :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an expanded view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21 (21): 292-302, 2005

      29 Honey, M., "Perspective of technology and education research : lessons from the past and present" 23 (23): 5-14, 2000

      30 Chaim C. S., "Modeling prim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for meaningful learning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57 : 1184-1193, 2011

      31 Knezek, G., "Impact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on teachers and students" 7 (7): 369-376, 2002

      32 신원석,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instruction"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239-260, 2011

      33 Inan, F. A.,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integration in K-12classrooms : a path model" 58 : 137-154, 2010

      34 Koh, J. H. L., "Examining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ingapore preservice teachers with a large-scale survey" 26 (26): 563-573, 2010

      35 Archambault, L. M., "Examining TPACK among K-12 online distance educator in the United States" 9 (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 1.28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