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재생사업 과정에서 본 기존 주민의 사회적 재생 - 서울시 “다시 세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7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제정된 도시재생법은 기존 도시공간의 물리적 재개발에서 경제ㆍ사회ㆍ문화적 활기를 되찾는 총체적인 도시재생으로의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재생과 더불어 비물리적 즉 사회적 재생이 함께 제고되어야 하지만, 물리적 환경개선에 비해 사회적 재생은 가시적이지 않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부문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사업 전 과정에 걸쳐 사회적 재생이 적절히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이에 사회적 재생이 환경적ㆍ경제적 재생에 미치는 영향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사업지인 세운상가를 대상으로, 사업 초기와 1차 사업 완료 이후 두 번에 걸쳐 기존 주민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변화를 관찰하고 도시재생사업의 활용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사업을 전후해 기존 네트워크가 유실되고 도시재생 세부 추진사업에 대한 기존 주민의 활용도 및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도시재생 세부사업이 목표했던 바가 사회적 재생으로 원활히 이어지지 못하였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현 사업은 외부인과의 사회적 연결 및 협업을 장려하는 공간운영과 프로그램에 편중되어 있으나 기존 주민의 입장을 통해 보았을 때 이 부분이 활성화되지 못했으며 사회적 연결망의 해체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재생을 위해서는 기존 주민들의 최소한의 사회적 연결망 확보를 보장하는 한편, 도시재생의 주체가 되는 주민들의 일상을 보전하고 생업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2013년 제정된 도시재생법은 기존 도시공간의 물리적 재개발에서 경제ㆍ사회ㆍ문화적 활기를 되찾는 총체적인 도시재생으로의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재생과 더불어 비물...

      2013년 제정된 도시재생법은 기존 도시공간의 물리적 재개발에서 경제ㆍ사회ㆍ문화적 활기를 되찾는 총체적인 도시재생으로의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재생과 더불어 비물리적 즉 사회적 재생이 함께 제고되어야 하지만, 물리적 환경개선에 비해 사회적 재생은 가시적이지 않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부문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사업 전 과정에 걸쳐 사회적 재생이 적절히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이에 사회적 재생이 환경적ㆍ경제적 재생에 미치는 영향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사업지인 세운상가를 대상으로, 사업 초기와 1차 사업 완료 이후 두 번에 걸쳐 기존 주민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변화를 관찰하고 도시재생사업의 활용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사업을 전후해 기존 네트워크가 유실되고 도시재생 세부 추진사업에 대한 기존 주민의 활용도 및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도시재생 세부사업이 목표했던 바가 사회적 재생으로 원활히 이어지지 못하였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현 사업은 외부인과의 사회적 연결 및 협업을 장려하는 공간운영과 프로그램에 편중되어 있으나 기존 주민의 입장을 통해 보았을 때 이 부분이 활성화되지 못했으며 사회적 연결망의 해체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재생을 위해서는 기존 주민들의 최소한의 사회적 연결망 확보를 보장하는 한편, 도시재생의 주체가 되는 주민들의 일상을 보전하고 생업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rban Regeneration Act enacted in 2013 provides a turning point from the physical redevelopment of existing urban spaces to holistic urban regeneration that restore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Thus, social regeneration is one of the key drivers and the ultimate indicator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social regeneration is hard to monitor as physical improvements, making it difficult to meas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perspectives of residents and store owners on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nd interactions throughout the Dasi Sewoon Project. Social network changes were survey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that existing residents included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existing social network suffered a noticeable shrinkage and, in some cases, a complete loss left many residents to vex over not having a safety net. Like many oth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asi Sewoon Project focused on new common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to encourage new social connections and collaborations with outsiders. However, this research provided a ground for providing the minimum safety ne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safeguard and protect the existing residents" livelihoods.
      번역하기

      The Urban Regeneration Act enacted in 2013 provides a turning point from the physical redevelopment of existing urban spaces to holistic urban regeneration that restore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Thus, social regeneration is one of the ...

      The Urban Regeneration Act enacted in 2013 provides a turning point from the physical redevelopment of existing urban spaces to holistic urban regeneration that restore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Thus, social regeneration is one of the key drivers and the ultimate indicator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social regeneration is hard to monitor as physical improvements, making it difficult to meas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perspectives of residents and store owners on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nd interactions throughout the Dasi Sewoon Project. Social network changes were survey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that existing residents included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existing social network suffered a noticeable shrinkage and, in some cases, a complete loss left many residents to vex over not having a safety net. Like many oth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asi Sewoon Project focused on new common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to encourage new social connections and collaborations with outsiders. However, this research provided a ground for providing the minimum safety ne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safeguard and protect the existing residents" liveliho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기존 주민의 도시재생 활용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기존 주민의 도시재생 활용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
      • 4.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